$\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의한 국가 수자원 영향분석 및 평가체계 적용
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Analysis and Evaluation System on Korean Water Resourc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세종대학교
Sejone university
연구책임자 배덕효
참여연구자 정일원 , 이병주 , 윤성심 , 전태현 , 손경환 , 이문환 , 김동찬 , 지희숙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1-05
과제시작연도 2010
주관부처 교육과학기술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연구재단
등록번호 TRKO201100006763
과제고유번호 1345141537
DB 구축일자 2015-01-08
키워드 기후변화,기후변화 수자원 영향 평가,불확실성,전구기후모델,기후시나리오,통계적 상세화,역학적 상세화,일기산출기,수문 시나리오,취약성,증발산량,기후패턴,공간균형모델Climate change,Climate-water resources impact assessment,uncertainty,Global Climate Model,climate scenario,statistical downscaling,dynamic downscaling,weather generator,multi-model ensemble(MME),hydrologic scenario,vulnerability,evapotranspiration,climate pattern,spatial equilibrium model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5대강 유역에 대해 기후변화 수자원 영향 평가 및 불확실성 평가를 최종 목표로 하였으며 단위과제별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음.
1. 앙상블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및 기후변화 전망
■ 전구기후모델(AOGCM)의 기온과 강수 자료로부터 한반도 지역에 대한 통계적 상세화 기법 개발 및 기후시나리오 생산
■ RegCM3 이중둥지격자체계를 구축하여 동아시아 60km와 한반도 20km 분해능을 가지는 역학적 상세화 기후시나리오 생산 및 변동성 분석
2. 시공간 상관성을 고려한 일기산출기

Abstract

○ Collection of IPCC DDC climate model data and development of Multi-model Ensemble technique
-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GCM scenarios provided the IPCC DDC.
- Characteristics and their uncertainties assessment of an individual GCM.
- Construction of Multi-model Ensemble technique for

목차 Contents

  • 표지 ...1
  • 제출문 ...3
  • 보고서요약서 ...5
  • 요약문 ...7
  • SUMMARY ...17
  • CONTENTS ...27
  • 목차 ...29
  • 표목차 ...31
  • 그림목차 ...35
  • 제1장 연구 개발 과제의 개요 ...53
  • 1. 앙상블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및 기후변화 전망 ...53
  • 2. 시공간 상관성을 고려한 일기산출기 개발 ...53
  • 3. 기후변화에 의한 수자원 영향평가 및 취약성 평가 ...54
  • 4. 기후변화에 의한 식생변화를 고려한 수문예측기술 개발 ...54
  • 5. 관측자료에 의한 기후변화 수자원 영향의 통계적 평가 ...54
  • 6. 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평가를 통한 수자원 부문의 적응정책 개발 ...54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55
  • ■ 기후시나리오의 역학적 상세화 생산 ...55
  • ■ 시공간 상관성을 고려한 일기산출기 개발 ...55
  • ■ 기후변화에 의한 수자원 영향평가 및 취약성 평가 ...56
  • ■ 기후변화에 따른 식생 및 증발산의 민감도 분석 ...57
  • ■ 동아시아에서의 기후변화 변동성에 대한 국내기후변화 연관성 분석 ...58
  • ■ 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평가를 통한 수자원 부문의 적응정책 개발 ...59
  • 제3장 연구 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61
  • 제1절 수자원영향평가를 위한 기후변화시나리오 생산 및 전망분석 ...61
  • 1. IPCC DDC 기후모델 자료 수집 및 멀티모델 앙상블 기법의 개발 ...61
  • 2. IPCC DDC 기후시나리오의 통계적 상세화 시나리오 구축 ...67
  • 3. 수자원 영향평가를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역학적 상세화 자료 생산 ...70
  • 4. 통계적 역학적 상세화 결과 비교 ...95
  • 제2절 시공간 상관성을 고려한 일기산출기 모형 ...104
  • 1. 기존 일기산출기 모형 연구조사 ...104
  • 2. 분석 지역 및 자료 ...104
  • 3. 일차적 일기 산출기 모형 ...105
  • 4. 변량효과 모형을 이용한 다중지역 일기 산출기 모형 ...112
  • 5. 프로그램 설명 ...117
  • 6. 결론 ...119
  • 제3절 기후변화에 의한 수자원 영향평가 및 취약성 평가 ...120
  • 1. 기후변화 수자원 영향평가의 불확실성 평가 ...120
  • 2. 앙상블 기후 시나리오를 이용한 수자원 ...145
  • 3.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수자원 전망 ...156
  • 4.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의 취약성 평가기법 개발 ...169
  • 5. 고해상도 기후시나리오를 이용한 수자원 변동성 평가 ...190
  • 제4절 식생을 고려한 수문 예측 기술 개발 ...202
  • 1. 식생을 고려한 증발산량 추정기법 조사 및 분석 ...202
  • 2. 식생변화를 고려한 증발산량 추정기법 정립 ...208
  • 3. 기후변화에 따른 식생 및 증발산의 민감도 분석 ...215
  • 4. 기후변화와 식생변화를 고려한 증발산량 변동성 평가 ...235
  • 제5절 관측 자료에 의한 기후변화 수자원 영향의 통계적 평가 ...257
  • 1. 수문자료 수집 및 QC ...257
  • 2. 기후타입에 대한 수문변수 변화 분석 ...259
  • 3. 국내 기후인자별 변동성 분석과 기후변화 상관 분석 ...284
  • 4. 유역별 동아시아 기후변화와 연계한 수자원영향 분석 ...303
  • 5. 예측모형의 개발 및 예측성 비교 ...310
  • 6. 결 론 ...315
  • 제6절 기후변화에 대비한 수자원의 적응정책 기법 개발 ...317
  • 1. Global adaptation strategies to climate change ...317
  • 2. Application of a Hydro-economic Model to the Willamette River Basin ...325
  • 3. Case study in the Han River Basin (HRB) ...366
  • 4. Framework for adaptive Korean water resources management ...384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389
  • ■ 기후시나리오의 역학적 상세화 생산 ...389
  • ■ 시공간 상관성을 고려한 일기 산출기 개발 ...389
  • ■ 기후변화에 의한 수자원 영향평가 및 취약성 평가 ...390
  • ■ 기후변화에 따른 식생 및 증발산의 민감도 분석 ...390
  • ■ 동아시아에서의 기후변화 변동성에 대한 국내기후변화 연관성 분석 ...391
  • ■ 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평가를 통한 수자원 부문의 적응정책 개발 ...391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393
  • ■ 기후시나리오의 역학적 상세화 생산 ...393
  • ■ 시공간 상관성을 고려한 일기 산출기 개발 ...393
  • ■ 기후변화에 의한 수자원 영향평가 및 취약성 평가 ...394
  • ■ 기후변화에 따른 식생 및 증발산의 민감도 분석 ...394
  • ■ 동아시아에서의 기후변화 변동성에 대한 국내기후변화 연관성 분석 ...394
  • ■ 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평가를 통한 수자원 부문의 적응정책 개발 ...395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397
  • ■ 기후시나리오의 역학적 상세화 생산 ...397
  • ■ 시공간 상관성을 고려한 일기 산출기 개발 ...397
  • ■ 기후변화에 의한 수자원 영향평가 및 취약성 평가 ...397
  • ■ 기후변화에 따른 식생 및 증발산의 민감도 분석 ...398
  • ■ 동아시아에서의 기후변화 변동성에 대한 국내기후변화 연관성 분석 ...398
  • ■ 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평가를 통한 수자원 부문의 적응정책 개발 ...399
  • 제7장 참고문헌 ...401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