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연구책임자 |
허옥순
|
참여연구자 |
박유경
,
정래석
,
엄준호
,
변정아
,
이은미
,
김미라
,
나미애
,
정우영
,
김창수
,
손상혁
,
주인선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9-12 |
과제시작연도 |
2009 |
주관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청 |
연구관리전문기관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
등록번호 |
TRKO201000012980 |
과제고유번호 |
1475005022 |
사업명 |
식품 등 안전관리 |
DB 구축일자 |
2013-04-18
|
키워드 |
타르색소.건강기능식품.함량.tar colors.health functional food.nutraceutical.content.
|
초록
▼
건강기능식품의 타르색소는 정제의 외피와 캅셀기제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9종 16품목이 허용되어 있으며, 일반식품에서의 분석법에 의해 사용여부가 관리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건강기능식품 중의 미량 첨가물인 타르색소의 사용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으므로, 캅셀과 코팅정제로 대표되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타르색소 함량 분석법을 확립하였고, 최근 2년간 국내에 유통된 건강기능식품(국내제조 9,301건, 수입 2,728건)의 타르색소 사용현황을 살펴보고, 시중에 판매되는 타르색소사용 건강기능식품 156 품목에 대한 타
건강기능식품의 타르색소는 정제의 외피와 캅셀기제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9종 16품목이 허용되어 있으며, 일반식품에서의 분석법에 의해 사용여부가 관리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건강기능식품 중의 미량 첨가물인 타르색소의 사용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으므로, 캅셀과 코팅정제로 대표되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타르색소 함량 분석법을 확립하였고, 최근 2년간 국내에 유통된 건강기능식품(국내제조 9,301건, 수입 2,728건)의 타르색소 사용현황을 살펴보고, 시중에 판매되는 타르색소사용 건강기능식품 156 품목에 대한 타르색소 함유량을 모니터링 하였다. 확립된 분석법은 직선성과 검출한계, 회수율 등의 면에서 검증이 되었으며, 9종의 타르색소를 높은회수율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 종류, 제형에 무관하게 적용이 가능한 간편한 방법이다. 국내에서 제조되거나 수입된 건강기능식품 중 타르색소의 사용비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국내에서 제조한 캅셀품목이며, 정제품목은 국내외 품목 모두 2% 이내의 범위에서만 타르색소를 사용하였다. 수입품목의 경우 2005년부터 2008년 사이에 연도에 따른 타르색소 사용비율에 차이가 없었으며, 국내제조품목의 경우 2004년부터 2006년까지는 타르색소 사용비율이 증가하다가 2008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품목당 사용되는 타르색소 수는 수입품목에서 최대 3개, 국내제조품목에서는 최대 5개까지였으며, 연질캅셀에서 다른 제형에 비해 품목당 많은 수의 타르색소를 사용하였다. 주로 사용되는 타르색소의 종류는 청색1호, 적색40호, 황색4호, 황색5호였으며,수입품목에서 사용되는 타르색소의 종류가 더 다양하였다. 품목당 사용하는 타르색소의 조합은 ‘황색5호, 적색40호, 청색1호’의 조합이 가장 많았으며, 청색1호는 사용빈도는 높으나 함량은 매우 낮았다. 또한 국내유통 건강기능식품 중 타르색소가 사용된 경질캅셀, 연질캅셀, 코팅정제 제품의 타르색소의 평균농도는 0.23mg/g이었다. 건강기능식품의 타르색소의 분석법은 타르색소의 사용방식에 맞추어 쉽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며, 타르색소 함량 및 사용현황에 대한 분석결과는 국내 건강기능식품 중의 타르색소 함유량 실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
In Korea Food Additive Code, 9 tar colorants (Tartrazine, Sunset Yellow FCF, Amaranth, Erythrosine, Allura Red AC, Ponceau 4R, Brilliant Blue FCF, Indigo carmine and Fast Green FCF) are permitted to be used in capsule material or coating agent of nutraceuticals, which helps takers discriminate simil
In Korea Food Additive Code, 9 tar colorants (Tartrazine, Sunset Yellow FCF, Amaranth, Erythrosine, Allura Red AC, Ponceau 4R, Brilliant Blue FCF, Indigo carmine and Fast Green FCF) are permitted to be used in capsule material or coating agent of nutraceuticals, which helps takers discriminate similar capsules and tablets. Even though they are miscellaneous components in nutraceuticals, the concerns about their content have been increased according to the growing interest on the health effect of nutraceuticals. To date, method to determine the tar colorants in foodstuff is used for nutraceuticals, and little information of the content of tar colorants in nutraceuticals is availabl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imple method to quantify the tar colorants from gelatin matrix using alkaline condition
with protease. With this method, we monitored tar colorant content in 156 nutraceuticals samples which were labeled to use tar colorants. In addition we analysed the recent 2years' database of domestic(9,301 cases) or imported(2,728cases) nutraceuticals for the information of the patterns of tar colorants in nutraceuticals. Developed simple method showed good sensitivity and high resolution, and were very suitable to all types of nutraceuticals. The ratio of products which used tar colorants was highest in the group of domestic capsule products, and low(2%) in the group of tablet products of both local and abroad. The maximum number of colorants per unit product was 3 in imported product and 5 in domestic product. The group of soft capsule was higher both in of the content of tar colors per unit capsule and in the number of used colors than the group of hard capsule and tablet. Frequently used colors were blue1, red40, yellow4, yellow5 and the mostly used combination of colors in a unit product was 'yellow5, red40, blue1'. Although blue1 is the most frequent color but it's quantity in unit product is very low. Mean content of detected tar colors in capsule or tablet was 0.23mg/g. Newly developed method and the result about the pattern of using tar colorants in nutraceuticals can be a good scientific
data.
목차 Contents
- 자체연구개발과제 최종보고서...1
- 요약문...2
- Summary...3
- 목차...4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0
- 제1절 연구개발과제의 목표 ...10
- 제2절 연구개발과제의 필요성 ...11
- 제2장 연구개발과제의 국내.외 연구개발 현황 ...12
- 제1절 타르색소의 특성 ...12
- 제2절 건강기능식품 중 타르색소 함량 분석법에 관한 연구현황 ...15
- 제3절 건강기능식품 중 타르색소 함량 모니터링 관련 연구현황...17
- 제3장 연구개발과제의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18
- 제1절 건강기능식품의 타르색소 함량 분석법 확립 ...18
- 1. 시약 및 기기 ...18
- 2. 색소의 추출 및 정제방법 확립 ...19
- 3. 기기분석 조건 설정 ...25
- 4. 분석법의 검증 ...35
- 5. 캅셀 중 타르색소 정성분석법 개선 ...39
- 제2절 국내 유통 중인 건강기능식품의 타르색소 함량 분석 ...41
- 1. 시료의 구입 및 시료의 특성 ...41
- 2. 시료의 분석방법 ...45
- 3. 시료 중의 타르색소 분석결과 ...47
- 제3절 국내 유통 중인 건강기능식품의 타르색소 사용현황 분석 ...62
- 1.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62
- 2. 국내제조 건강기능식품 ...64
- 3. 수입 건강기능식품 ...75
- 제4장 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85
- 1. 간편하고 유용한 건강기능식품 중 타르색소 함량 분석법 확립 ...85
- 2. 국내에 유통 중인 건강기능식품의 타르색소 사용현황 파악 ...85
- 제5장 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88
- 1. 건강기능식품의 타르색소 분석에 적합한 분석법 확립...88
- 2. 타르색소 함유량 분석(156건)과 국내 유통 중인 건강기능식품의 타르색소 현황조사...88
- 3. 건강기능식품의 품질 및 안전관리에 직접 기여함...88
- 제6장 연구개발과제 연구개발 결과 활용계획 ...89
- 제1절 활용성과...89
- 제2절 활용계획...90
- 제7장 참고문헌 ...9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