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탈레이트 류의 노출량평가 및 인체영향 연구
Exposure and Human Risk Assessment of Phthalat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용인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김판기
참여연구자 김민영 , 정지연 , 최경호 , 박찬구 , 고영림 , 김영희 , 지경희 , 유의경 , 이장우 , 김정현 , 김병모 , 김승훈 , 고문수 , 이지은 , 박성욱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7-11
과제시작연도 2007
주관부처 식품의약품안전청
사업 관리 기관 식품의약품안전청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등록번호 TRKO201000014839
과제고유번호 1475003228
사업명 안전성관리기반연구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프탈레이트.노출량.인체영향.대사체.크레아티닌 보정.혈중농도.뇨중농도.위해성평가.독성프로파일.phthalates.exposure.human risk.creatinine.urine.blood.endocrine disrupters.metabolite.risk assessment.toxicity profile.

초록

프탈레이트는 PVC 등의 프라스틱의 가소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서 식탁보, 실내장식품, 포장필름, 의료용품, 화장품, 바닥재, 벽지, 향수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광범위한 사용에 따라서 환경중에 유입량이 많아지고, 노출량이 증가하여, phthalate류 물질이 사람에게 미치는 건강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경로를 통해 사람의 체내로 흡수된 phthalate류물질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DEHP는 잠재적인 생식, 성장 독성물질로 고환 등에 영향을 미치는 등 번식장애를 유발할 수

Abstract

Phthalates are industrial chemicals that can act as plasticizer, which, when added to plastic, impart flexibility and resilience. Among these products are vinyl flooring; adhesive;detergents; lubricating oil; solvents; automotive plastic; plastic clothing, such as raincoats;and personal-care product

목차 Contents

  • 용역연구사업 연구결과보고서...1
  • 제출문...2
  • 목차...3
  • I 연구개발결과 요약문 ...4
  • 한글 ...4
  • Summary ...6
  • II 연구과제의 연구결과 ...9
  • 제1장 최종연구개발 목표 ...9
  • 1.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표...9
  • 1.2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11
  • 1.3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11
  • 제2장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7
  • 2.1. 연구대상 인구의 선정...17
  • 2.2. 연구대상자 심층면접조사와 시료채취...17
  • 2.3. 프탈레이트류 모니터링...18
  • 2.4. 혈액채취 및 대사산물 모니터링...26
  • 2.5. 분석방법의 타당성 평가...33
  • 2.6. 프탈레이트 노출량 평가...35
  • 2.7. 프탈레이트류의 국내 규제관리 현황 관련 정보수집 및 홍보자료 개발...39
  • 2.8. 자료 및 통계처리...40
  • 제3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41
  • 3.1. 프탈레이트 분석결과...41
  • 3.2. 프탈레이트 일일 노출량분석 결과...68
  • 3.3. 프탈레이트 분석의 타당성 평가 결과...76
  • 3.4. 프탈레이트 위해성평가 결과...98
  • 3.5. 프탈레이트 류의 독성 profile...106
  • 제4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107
  • 제5장 연구성과 ...115
  • 5.1 활용성과...115
  • 5.2 활용계획...116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116
  • 제7장 참고문헌...116
  • 제8장 첨부서류...116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