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
연구책임자 |
최성희
|
참여연구자 |
이만술
,
김우선
,
김운성
,
김용수
,
박선오
,
김애영
,
박인숙
,
이지연
,
김도희
,
박은영
,
김정원
,
조양희
,
권주연
,
김은아
,
박혜진
,
송은성
,
김상우
,
김현희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8-11 |
과제시작연도 |
2008 |
주관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청 |
연구관리전문기관 |
식품의약품안전청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
등록번호 |
TRKO201000014932 |
과제고유번호 |
1475004020 |
사업명 |
식품등안전관리 |
DB 구축일자 |
2013-04-18
|
키워드 |
식품첨가물.모니터링.식품첨가물섭취량.감미료.위해정보전달.위해정보교류위원회.소비자인식도조사.위해정보전달 도구/전략.Food Additive.Intake of Food Additive.sweetener.Monitoring.Risk communication.Risk perception survey.Communication tool/strategy.
|
초록
▼
최근 현대인의 저 열량식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인공감미료 사용제품이 증가 추세이다. 이에 한국인이 식사를 통하여 섭취하는 인공감미료의 섭취량 조사 및 섭취수준의 안전성여부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감미료에 대한 정확한 정보전달을 위한 Risk communication의 전략을 제시하고자 본 과제를 수행하였다. 인공감미료에 대한 섭취량조사는 국내에서 허용되어 있는 감미료(글리실리진산이나트륨, 글리실리진산삼나트륨, 삭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 스테비오사이드) 7품목에 대하여 시장조사, 품목제조보고신고
최근 현대인의 저 열량식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인공감미료 사용제품이 증가 추세이다. 이에 한국인이 식사를 통하여 섭취하는 인공감미료의 섭취량 조사 및 섭취수준의 안전성여부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감미료에 대한 정확한 정보전달을 위한 Risk communication의 전략을 제시하고자 본 과제를 수행하였다. 인공감미료에 대한 섭취량조사는 국내에서 허용되어 있는 감미료(글리실리진산이나트륨, 글리실리진산삼나트륨, 삭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 스테비오사이드) 7품목에 대하여 시장조사, 품목제조보고신고서를 근거로 분석대상 총 611건에 대해 삭카린나트륨 등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인공감미료 분석결과에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2007)’ raw data의 섭취량 결과(n=8,930)를 적용하여, 인공감미료의 일일섭취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Screening 평가, 단순평가 및 정밀평가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정밀평가인 Point estimation에서는 국민전체, 성별, 연령별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인공감미료의 일일섭취량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감미료의 섭취량은 JECFA에서 제시한 ADI의 30% 미만으로 섭취 수준은 안전하였으며, 섭취자군에 검출평균을 적용하여 평가한 결과에서도 11-58%수준으로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12세 이하의 어린이들의 섭취수준이 어른들에 비해 높게 평가 되었는데 이는 감미료가 함유된 식품을 특히 많이 섭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어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체중이 적어 ADI대비 섭취량이 높게 나타난 것이다. 또한 인공감미료 허용 대상 식품을 섭취한 사람들만을 대상으로 보수적인 시나리오를 적용한 확률통계분석의 노출량 평가 결과에서, ADI를 초과하여 섭취할 확률은 없었다. 따라서 인공감미료의 섭취량은 안전한 수준이었다. 식품첨가물(인공감미료)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취약계층인 어린이와 학부모(소비자) 각각 1,200명을 대상으로 인공감미료에 대한 인식과 수요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산?학?연?관및 소비자단체로 구성된 위해정보교류위원회를 구성 운영하여 연구전반에 걸친 자문과 의견수렴 및 Risk communication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용 “인공감미료대탐험”과 학부모용 “엄마의 밥상”을 책자와 웹진의 형태로 개발하였다. 동 연구결과는 추후 감미료에 대한 Risk communication 활용에 대한 과학적 근거로 활용가능하며, 또한 개발된 홍보책자 등의 배포를 통하여 식품첨가물에 대한 지속적인 Risk communication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risk management and risk communication strategy based on the transparent and fair analysis of food safety through dietary exposure assessment by Korean population under application of assessment model developed in 2004. The whole processes of dietary exp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risk management and risk communication strategy based on the transparent and fair analysis of food safety through dietary exposure assessment by Korean population under application of assessment model developed in 2004. The whole processes of dietary exposure assessment of food additive are based on “the assessment guideline of dietary exposure assessment of food additive (2004)”. To analyze the contents of sweetener, processed food 611 items are sampled(total analysis items 3,094), purchased, and analyzed based on the market share. Dietary intake assessment was conducted using the actual level of sweetener in the processed foods and food consumption amount drawn from “2005 Korea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7)” (n=8,930). In this study, various models for estimating exposure to food additives wer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excessive intake group including Budget Method, Poundage Method, Point Estimation and Probabilistic Model. The study result that sweeteners dietary intake is less than 30% of ADI set by JECFA is very safe for each dietary intake group for all national population, by gender, and by age, as for the intake group which takes the processed foods with sweeteners which takes only the processed foods with sweeteners, the sweeteners dietary intake is 18-58%of ADI. In case of less than 12years that sweeteners dietary intake is high estimated compare with adult, but it is not mean specially over intake the processed foods with sweeteners, as relativity weight of child is less than adult, compare with the ADI dietary intake is over intake It is very safe as there is no probability over ADI, the results of the probability statistics analysis of the conservative scenario that eater only with sweeteners are taken
목차 Contents
- 표지 ... 2
- 제 출 문 ... 3
- 차례 ... 4
- 연구결과보고서 요약문 ... 20
- Project Summary ... 21
- 총괄 ... 26
- 제1장 연구개발 목표 ... 27
- 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표 ... 27
- 제2장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 52
- 1세부 ... 52
- 1. 감미료 모니터링 내용 및 방법 ... 52
- 2. 감미료 함유 식품 섭취량조사 내용 및 방법 ... 56
- 3. 감미료의 노출량 평가 내용 및 방법 ... 57
- 4. 감미료의 안전성 평가 내용 및 방법 ... 60
- 2세부 ... 60
- 1. 어린이 및 학부모 대상 식품첨가물(감미료)에 대한 인식 및 정보수요도 조사 ... 60
- 2.감미료 risk communication 매체 개발 ... 61
- 3. 개발 매체의 현장 시범 적용 평가 ... 62
- 4. 위해정보교류위원회 운영 및 식품첨가물 위해정보전달 전략 개발 ... 63
- 5. 대중매체 및 도서의 식품첨가물 관련 위해정보 제공 사례 분석 ... 63
- 제3장 연구개발 결과 ... 64
- 1세부 ... 64
- 1. 감미료 사용 현황 ... 64
- 2. 감미료의 노출량 평가 ... 65
- 2세부 ... 69
- 1. 식품첨가물(감미료)에 대한 어린이 및 학부모의 인식 및 정보수요도 조사 결과 ... 69
- 2. 식품첨가물(감미료) risk communication 매체 개발 ... 70
- 3. 감미료 risk communication 매체 시범적용 평가 결과 ... 72
- 4. 식품첨가물 위해정보교류위원회 운영 및 위해정보전달 전략 개발 ... 72
- 5. 대중매체 및 책자의 식품첨가물 관련 정보제공 사례 분석 ... 72
- 6. 향후 식품첨가물 위해정보전달 방안 제언 ... 73
- 제4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76
- 1세부 ... 76
- 1. 감미료의 모니터링 결과 ... 76
- 2. 감미료의 노출량 평가 결과 ... 77
- 2세부 ... 78
- 1. 식품첨가물(감미료)에 대한 어린이와 학부모의 인식 및 정보요구도 ... 78
- 2. 감미료 risk communication 매체 개발 및 시범 평가 ... 81
- 3. 식품첨가물 위해정보교류위원회 운영 및 위해정보전달 전략 개발 ... 82
- 4. 대중매체 및 책자의 식품첨가물 관련 정보제공 사례 분석 ... 83
- 5. 향후 식품첨가물 정보교류 전략 방안 ... 83
- 제5장 연구 성과 ... 85
- 1. 활용성과 ... 85
- 2. 활용계획 ... 87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88
- 제7장 참고문헌 ... 89
- 제8장 첨부서류 ... 95
- 총괄 연구과제 요약 ... 96
- 1세부 ... 100
- 제1장 연구개발 목표 ... 102
- 1. 연구개발과제의 목표 ... 102
- 제2장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 141
- 1. 감미료 모니터링 내용 및 방법 ... 141
- 2. 감미료 함유 식품 섭취량조사 내용 및 방법 ... 158
- 3. 감미료의 노출량 평가 내용 및 방법 ... 168
- 4. 감미료의 안전성 평가 내용 및 방법 ... 174
- 제3장 연구개발 결과 ... 176
- 1. 감미료의 사용 현황 ... 176
- 2. 글리실리진산삼(이)나트륨의 노출량 평가 ... 178
- 3. 삭카린나트륨의 노출량 평가 ... 189
- 4. 아스파탐의 노출량 평가 ... 216
- 5. 아세설팜칼륨의 노출량 평가 ... 244
- 6. 수크랄로스의 노출량 평가 ... 271
- 7. 스테비오사이드의 노출량 평가 ... 301
- 제4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324
- 1. 감미료의 모니터링 결과 ... 324
- 2. 감미료의 노출량 평가 결과 ... 325
- 제5장 연구개발과제의 연구 성과 ... 327
- 1. 활용성과 ... 327
- 2. 활용계획 ... 328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330
- 제7장 참고문헌 ... 331
- 제8장 첨부서류 ... 337
- 1세부 연구과제 요약 ... 338
- 2세부 ... 340
- 제1장 연구개발 목표 ... 341
- 1. 연구개발과제의 목표 ... 341
- 제2장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 350
- 1. 어린이 및 학부모 대상 식품첨가물(감미료)에 대한 인식 및 정보수요도 조사 ... 350
- 2. 감미료 risk communication 매체 개발 ... 351
- 3. 개발 매체의 현장 시범 적용 평가 ... 352
- 4. 위해정보교류위원회 운영 및 식품첨가물 위해정보전달 전략 개발 ... 353
- 5. 대중매체 및 도서의 식품첨가물 관련 위해정보 제공 사례 분석 ... 354
- 제3장 연구개발 결과 ... 356
- 1. 식품첨가물(감미료)에 대한 어린이 및 학부모의 인식 및 정보수요도 조사 결과 ... 356
- 2. 식품첨가물(감미료) risk communication 매체 개발 ... 469
- 3. 감미료 risk communication 매체 시범적용 평가 결과 ... 480
- 4. 식품첨가물 위해정보교류위원회 운영 및 위해정보전달 전략 개발 ... 503
- 5. 대중매체 및 책자의 식품첨가물 관련 정보제공 사례 분석 ... 507
- 6. 향후 식품첨가물 위해정보전달 방안 제언 ... 524
- 제4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528
- 1. 식품첨가물(감미료)에 대한 어린이와 학부모의 인식 및 정보요구도 ... 528
- 2. 감미료 risk communication 매체 개발 및 시범 평가 ... 535
- 3. 식품첨가물 위해정보교류위원회 운영 및 위해정보전달 전략 개발 ... 536
- 4. 대중매체 및 책자의 식품첨가물 관련 정보제공 사례 분석 ... 537
- 5. 향후 식품첨가물 정보교류 전략 방안 ... 538
- 제5장 연구 성과 ... 539
- 1. 활용성과 ... 539
- 2. 활용계획 ... 541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542
- 제7장 참고문헌 ... 543
- 제8장 첨부서류 ... 545
- 2세부 연구과제 요약 ... 546
- 부록] 첨가물 대상식품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 LIST ... 548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