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동성시험 대상 성분 평가 및 생동성시험 연구자 전문교육 매뉴얼 개발
Evaluation of BCS-Based Biowaivers and Preparation of Education Manual of Bioequivalence Tes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Ewha Womans University
연구책임자 사홍기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0-07
과제시작연도 2009
주관부처 식품의약품안전청
사업 관리 기관 식품의약품안전청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등록번호 TRKO201000015751
과제고유번호 1475004786
사업명 의약품 등 안전관리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생동성시험.매뉴얼.용출시험.생물약제학적분류체계.생동 면제.BE test.Education mannual.Dissolution test.BCS.BE biowaiver.

초록

현재 BCS 규정을 활용한 경구용 정제 또는 캡슐제의 생동성시험 면제 요건은 지나치게 과도하며 또한 약물리스트가 공개되지 않아 국내에서의 활용도는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인식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a) BCS에 근거한 생동성시험 면제 대상 후보군 약물 선정; (b) 생동면제 후보 약물의 용해도 및 투과도 결정; (c) class III로 추정한 약물의 용해도 시험을 통한 BCS 분류 검증; (d) 후보 약물을 함유하고 있는 일반방출제제(시판되는 총 20가지 IR제품)의 용출시험; (e) 국내·외 BCS

Abstract

Even though our current BCS-based regulatory policy permits biowaivers for certain solid oral IR dosage forms, it is too conservative to be utilized by the pharmaceutical industry. To overcome this limitation, we have carried out a series of investigation including (a) selection of 4 class I/III dru

목차 Contents

  • 최종보고서 ...1
  • 제출문 ...2
  • 목차 ...3
  • I. 총괄연구개발과제 요약문 ...5
  • 1. 국문요약문 ...5
  • 2. Summary ...7
  • II.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9
  • 제1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적 및 필요성 ...9
  • 1.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표 ...9
  • 1.2.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표 달성도 ...12
  • 1.3. 총괄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3
  • 1.4. 총괄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국외과학기술정보 ...18
  • 제2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19
  • 2.1. 생동성시험 대상 성분 평가를 위한 연구 내용 및 방법 ...19
  • 2.2. 생동성시험 교육 매뉴얼 발간을 위한 연구개발 내용 ...24
  • 제3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결과 및 고찰 ...29
  • 3.1. 제 1세부 연구과제의 최종 결과 및 고찰 ...29
  • 3.2. 제 2세부 연구과제의 최종 결과 및 고찰 ...59
  • 제4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60
  • 4.1. 총괄활용성과 ...60
  • 4.2. 총괄활용계획 ...61
  • 제5장 총괄주요연구 변경사항 ...62
  • III. 제(1)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64
  • 제1장 제(1)세부 연구개발과제 요약문 ...64
  • 제2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적 ...67
  • 2.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적 ...67
  • 2.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71
  • 제3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72
  • 3.1. BCS에 근거한 생동성시험 면제 대상 후보군 약물 선정 ...72
  • 3.2. 생동면제후보 약물의 용해도 및 투과도 결정 ...73
  • 3.3. 후보 약물을 함유하고 있는 일반방출제제의 용출시험 ...73
  • 3.4. 국내.외 BCS 규정에 대한 비교 검토 ...74
  • 3.5. WHO의 필수의약품에 대한 BCS 분류 결과 제시 ...74
  • 3.6. FIP(International Pharmaceutical Federation)의 BCS 연구현황 조사 ...74
  • 3.7. 약물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첨가제 목록 작성 ...75
  • 3.8. 후보 약물을 함유하고 있는 일반방출 성형제제의 포물레이션 검토 ...76
  • 3.9. 제품간의 생물학적비동등성 발생 시의 위해성 판단 ...76
  • 3.10. BCS 분류기준에 대한 전문가 검증 ...81
  • 3.11. BCS 개정 필요성 제기 및 2011년도 의약품재평가사업 성분 중 생동면제 대상 제시 ...86
  • 제4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결과 및 고찰 ...86
  • 4.1. BCS에 근거한 생동성시험 면제 대상 후보군 약물 선정 ...86
  • 4.2. 후보 약물의 용해도 및 투과도 결정 ...88
  • 4.3. 후보 약물을 함유하고 있는 일반방출제제의 용출시험 ...117
  • 4.4. 전세계 BCS 규정 및 지침서 비교 및 고찰 ...217
  • 4.5. WHO의 BCS class 분류 결과에 대한 정리 및 해석 ...251
  • 4.6. FIP의 BCS 작업 진행 결과에 대한 요약 및 평가 ...264
  • 4.7. 약물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첨가제 목록 작성 ...267
  • 4.8. 후보 약물을 함유하고 있는 일반 방출 성형제제의 포물레이션 검토 ...289
  • 4.9. 제품간의 생물학적비동성 발생 시의 위해성 판단 ...295
  • 4.10. 국내·외 BCS 지침서 규정에 대한 비교 및 새로운 국내 ...304
  • 4.11. 주요 결과 재 고찰 ...321
  • 제5장 세부참고문헌 ...329
  • 별첨1 위해성 판단 자문 내용 ...344
  • 별첨2 BCS 분류기준에 대한 자문 내용 ...360
  • IV. 제(2)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416
  • 제1장 제(2)세부 연구개발과제 요약문 ...416
  • 제2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적 ...419
  • 2.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적 ...419
  • 2.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419
  • 제3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420
  • 제4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결과 및 고찰 ...425
  • 제5장 세부참고문헌 ...425
  • 별첨3 생물학적동등성시험 전문교육 매뉴얼 ...427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