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물을 이용한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평가기술 개발 -탄닌 및 관련 페놀성 화합물을 이용한 미백 및 항산화 효능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평가기술
Development of Evaluation Techniques on Cosmeceuticals using Natural Products - Evaluation Techniques of Whitening and Anti-oxidative Cosmeticals using Natural products contained Tannin and Related Phenolic Compound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중앙대학교
Chung Ang University
연구책임자 이민원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4-11
과제시작연도 2004
주관부처 식품의약품안전청
사업 관리 기관 식품의약품안전청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등록번호 TRKO201000016224
과제고유번호 1470000114
사업명 식품의약품안전성관리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기능성화장품.천연물.탄닌.페놀성화합물.미백.항산화.규격화.cosmeticals.tannin.whitening effect.natural product.antioxidative activity.phyto-phenolic compounds.specification.

초록

천연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평가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복분자 딸기 열매, 오리나무 그리고 왕느릅나무 중 pedunculagin, oregonin 그리고 taxifolin-glycoside를 각각 유효지표성분으로 선택하여 1차적으로 각각의 식물 중에서의 함량분석법을 확립하였다. 2차적으로는 이러한 성분을 이용한 화장품 제제를 만들었을 때에 유효성분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실제로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 제제를 만들어서 유효지표성분을 검출할 수 있는 분석방법을 확립하였다. 그 결과, 각 식물의 유효지표

Abstract

To establish the herbal whitening cosmetics as a international competitive goods in the cosmetic industry, we selected phenolic compounds as a whitening-effect cosmetics material and HPLC analysis about each phenolic compound of three plant. The selected phenolic compounds are 1 tannin compounds (pe

목차 Contents

  • 제출문 ...1
  • 연구결과보고서 요약문 ...2
  • Project Summary ...3
  • 목차 ...4
  • 제1장 서론 ...5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7
  • 1절 정책동향 ...7
  • 2절 연구동향 ...7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9
  • 1절 연구개발 수행 내용 ...9
  • 2절 연구수행 결과 ...13
  •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15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성과 및 계획 ...16
  • 가. 계량적 성과 ...16
  • 나. 성과내용기술 ...16
  • 다. 활용계획 ...16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17
  • 제7장 참고문헌 ...18
  • 제1세부과제 ...21
  • 목차 ...22
  • 제1장 서론 ...23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4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25
  • 1절 연구내용 수행 내용 ...25
  • 1. 페놀성화합물의 분리 및 구조연구 ...25
  • 2.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분석법 연구 ...26
  • 2절 연구결과 ...27
  • 1.페놀성화합물의 분리 및 구조분석 ...27
  • 2.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분석 ...37
  • 3. 화장품 제제속의 페놀성화합물의 분석 ...46
  •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49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성과 및 계획 ...50
  • 가. 계량적 성과 ...50
  • 나. 성과내용기술 ...50
  • 다. 활용계획 ...50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51
  • 제7장 참고문헌 ...52
  • 제2세부과제 ...55
  • 목차 ...56
  • 제1장 서론 ...57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58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60
  • 1절 연구개발 수행 내용 ...60
  • 1.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ssay ...60
  • 2. Melanoma cell에서 melanin 생성억제 실험 ...61
  • 3. DPPH법을 이용한 항산화효과 실험 ...62
  • 4.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assay ...63
  • 2절 연구 결과 ...64
  • 1. mushroom tyrosinase 효소를 이용한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ssay ...64
  • 2. Melanoma cell을 이용한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ssay ...65
  • 3. melanoma cell 에서의 melanin 생성 억제 효과 ...66
  • 4. DPPH법을 이용한 항산화효과 실험 ...67
  • 5.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assay ...68
  • 6.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melanoma cell에서의 melanin 합성 억제 효능, DPPH 소거능, elastase 억제 효능의 종합적인 평가 ...69
  • 7. 화장품에서의 sample 추출 ...70
  • 8. 생리활성 결과 ...71
  •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80
  • 가.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80
  • 나. 기여도 ...80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성과 및 계획 ...81
  • 가. 계량적 성과 ...81
  • 나. 성과내용기술 ...81
  • 다. 활용계획 ...81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82
  • 제7장 참고문헌 ...83
  • 총괄 연구과제 요약 ...84
  • 1세부 연구과제 요약 ...86
  • 2세부 연구과제 요약 ...88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