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기계의 시공안전기준(지침) 제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Construction Safety Standards(Guidelines) of Construction Equipmen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연구책임자 이경석
참여연구자 김병화 , 황인주 , 이종천 , 이홍철 , 김정만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5-12
과제시작연도 2003
주관부처 건설교통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Korea Insitute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등록번호 TRKO201000019219
과제고유번호 1500000208
사업명 건설기술기반구축사업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ㆍ국내외 건설기계 제작시 적용되는 안전지침 및 기준 자료조사 분석
ㆍ국내외 건설기계 제작안전 지침 및 기준 자료 분석
ㆍ건설기계의 안전기준 개정안 도출
ㆍ덤프트럭 등의 축중 및 총중량 관련 국외 기준 조사
ㆍ건설현장에서의 건설기계 사용 극대화에 관한 자료 분석
ㆍ건설기계의 시공안전기준 도출

Abstract

-Analyses of safety guidelines and reference data applicable to manufacturing home and overseas construction equipments.
-Analyses of manufacturing safety guidelines and reference data of home and overseas construction equipments.
-Establishment of revised construction equipment safety standar

목차 Contents

  • 제출문 ...1
  • 요약문 ...2
  • Summary ...5
  • 목차 ...8
  • 그림목차 ...14
  • 표목차 ...18
  • 사진목차 ...21
  • Contents ...22
  • List of Figures ...28
  • List of Tables ...32
  • List of Pictures ...35
  • 제1장 서론 ...36
  • 제2장 건설기계 일반 ...40
  • 2.1 건설기계의 분류 ...40
  • 2.1.1 국내외 건설기계 분류 ...40
  • 2.1.2 용도에 따른 건설기계 분류 ...45
  • 2.2 건설기계의 구조 ...51
  • 2.3 건설기계 생산 및 등록실적 ...58
  • 2.3.1 건설기계 생산 실적 ...58
  • 2.3.2 건설기계 등록 실적 ...59
  • 2.4 건설기계에 의한 재해실태 ...61
  • 2.4.1 건설기계에 의한 재해형태 및 원인 ...61
  • 2.4.2 건설기계에 의한 재해통계분석 ...61
  • 2.4.3 건설기계에 의한 재해 대응방안 ...64
  • 제3장 국제 규격 및 인증제도 ...68
  • 3.1 주요 규격 및 인증제도 현황 ...68
  • 3.2 주요 국제 규격 및 인증제도 비교 ...76
  • 3.3 국제 규격의 전개 방향 ...80
  • 3.3.1 EU의 환경정책 유형 ...80
  • 3.3.2. 환경관련 무역규제조치 동향 ...81
  • 3.3.3 EU의 기계류 환경규제 ...83
  • 3.3.4 상호인정협정(Mutual Recognition Agreement) ...87
  • 제4장 건설기계의 안전기준 ...90
  • 4.1 일반 제원 ...90
  • 4.2 규격 제원 ...90
  • 4.3 성능 제원 ...167
  • 제5장 건설기계별 제원 ...192
  • 5.1 굴삭기 ...192
  • 5.1.1 굴삭기 정의 ...192
  • 5.1.2 규격 ...196
  • 5.1.3 굴삭기 ...196
  • 5.1.4 굴삭기의 구성 ...200
  • 5.1.5 굴삭 작업 장치(equipment) ...209
  • 5.1.6 굴삭기의 질량 ...214
  • 5.1.7 버킷 ...215
  • 5.1.8 선회속도 ...238
  • 5.2. 로우더(Loader) ...239
  • 5.2.1 로우더 일반 ...239
  • 5.2.2 로우더의 종류 및 정의 ...241
  • 5.2.3 로우더의 구성 ...244
  • 5.2.4 로우더의 각 부분 명칭 ...257
  • 5.2.5 로우더의 성능 요소 ...259
  • 5.3 스크레이퍼 ...276
  • 5.3.1 정의 ...276
  • 5.3.2 규격 ...278
  • 5.3.3 용적 ...279
  • 5.4 덤프트럭 ...284
  • 5.5 불도우저 ...289
  • 5.5.1 정의 ...289
  • 5.5.2 앵글 및 틸트 ...295
  • 5.5.3 배토판 굴삭각 ...298
  • 5.5.4 배토판 최대올림높이 ...299
  • 5.5.5 배토판의 최대 내림 깊이 ...300
  • 5.6 지게차 ...301
  • 제6장 건설기계의 안전기준 신·구 대비표 ...308
  • 6.1 건설기계 제원 ...309
  • 6.2 작업장치 ...322
  • 6.2.1 도저(작업장치) ...322
  • 6.2.2 굴삭기(작업장치) ...325
  • 6.2.3 로더(작업장치) ...330
  • 6.2.4 지게차(작업장치) ...333
  • 6.2.5 스크레이퍼(작업장치) ...339
  • 6.2.6 덤프트럭(작업장치) ...342
  • 6.2.7 기중기(작업장치) ...348
  • 6.2.8 모터 그레이더(작업장치) ...361
  • 6.2.9 롤러(작업장치) ...365
  • 6.2.10 노상안정기(작업장치) ...367
  • 6.2.11 콘크리트 뱃칭 플랜트(작업장치) ...368
  • 6.2.12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작업장치) ...371
  • 6.2.13 콘크리트 피니셔 (작업장치) ...373
  • 6.2.14 스프레더 (작업장치) ...374
  • 6.2.15 콘크리트 믹서 트럭 (작업장치) ...375
  • 6.2.16 콘크리트 펌프 (작업장치) ...378
  • 6.2.17 아스팔트 피니셔 (작업장치) ...382
  • 6.2.18 아스팔트 살포기 (작업장치) ...385
  • 6.2.19 골재 살포기 (작업장치) ...387
  • 6.2.20 쇄석기 (작업장치) ...388
  • 6.2.21 공기압축기 (작업장치) ...391
  • 6.2.22 천공기 (작업장치) ...392
  • 6.2.23 항타 및 항발기(디젤파일해머) (작업장치) ...393
  • 6.2.23 항타 및 항발기 (진동파일해머)(작업장치) ...394
  • 6.2.24 사리 채취기 (작업장치) ...395
  • 6.2.25 준설선 (작업장치) ...397
  • 6.3 공통사항 ...399
  • 6.3.1 원동기부 ...399
  • 6.3.2 차체부 ...403
  • 6.4 작업장치 등 ...427
  • 6.5 대형 건설기계 ...441
  • 6.5.1. 대형건설기계 ...441
  • 6.5.2 특별표지판 ...442
  • 6.5.3 경고표지판 ...445
  • 별표1 원동기 출력 표기 조건 ...446
  • 별표2 주제동 장치의 제동능력 ...447
  • 제7장 건설기계의 시공안전지침 ...451
  • 7.1 건설기계 재해 실태 ...452
  • 7.1.1 건설기계에 의한 재해통계분석 ...452
  • 7.1.2 건설기계별 사고사례 조사 ...454
  • 7.1.3 건설기계에 의한 재해형태 및 원인 ...457
  • 7.2 건설기계의 재해 대응 방안 ...459
  • 7.3 건설기계의 점검 ...462
  • 7.4 건설기계 사용 전의 운전자 안전 준수사항 ...469
  • 7.4.1 건설기계의 사용전 안전 ...469
  • 7.4.2 작업장 청결 유지, 통로 및 비상구 확보 ...473
  • 7.4.3 건설기계 시동 전의 안전 ...475
  • 7.4.4 건설기계 화재 안전 ...478
  • 7.4.5 고온 및 고압에 대한 안전 확보 ...485
  • 7.4.6 유해 가스에 대한 안전 확보 ...488
  • 7.4.7 점검 정비 시의 안전 확보 ...489
  • 7.4.8 환경 보호 ...493
  • 7.4.9 점검 및 정비 환경 ...495
  • 7.4.10 작업 기후 ...496
  • 7.4.11 고압선 부근에서의 작업 ...499
  • 7.4.12 견인 등 ...501
  • 7.4.13 주기 및 보관 ...503
  • 7.4.14 타이어 정비 시의 안전 ...505
  • 제8장 덤프트럭 등의 축중 및 총중량 ...507
  • 8.1 일반론 ...507
  • 8.2 일본의 축중 및 총중량 기준 ...509
  • 8.2.1 총론 ...509
  • 8.2.2 일본의 자동차 총중량 기준 ...510
  • 8.3 유럽의 기준 ...530
  • 8.3.1 독일의 기준 ...530
  • 8.3.2 스웨덴의 기준 ...536
  • 8.4 유럽 연합(EU) 기준 ...544
  • 8.5. 미국의 관련 기준 ...554
  • 8.6. 정리 ...557
  • 제9장 결론 ...563
  • 제10장 참고문헌 ...567
  • 부록A 기본 정의 (치수)(ISO) ...569
  • 부록B 장치 및 어태치먼트(치수, 기호)(ISO) ...573
  • 부록C 건설기계의 좌표계, 지표 기준면(GRP) 및 본체(Base Machine) ...579
  • 부록D 질량(Mass)과 중량(Weight) ...583
  • 부록E 건설기계의 범위 (건설기계관리법) ...585
  • 부록F 일본의 건설기계 분류 체계 ...587
  • 부록G 건설기계 분류 체계 (SAE J 1116) ...589
  • 부록H 자중계 관련 일본 법령 ...591
  • 부록I 건설기계 안전기준 ...593
  • 부록J-I 최대허용 중량 그리고 치수 ...646
  • 부록J-II 차량의 구동축의 에어 스프링 또는 이와 동등한 스프링 시스템 조건 ...652
  • 부록J-III 제6조1절a)목((8.2.3의 1)의 ①의 ⓐ) 에 따른 치수 표시판 ...656
  • 부록J-IV 제A부 삭제된 규정 ...658
  • 부록K 건설기계의 시공안전 지침(안) ...66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