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헛개나무로부터 간질환 치료제 및 숙취해소제 개발
The development of drugs for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 and ethanol intoxification from Hovenia dulcis var. koreana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임업연구원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연구책임자 나천수
참여연구자 김세현 , 정남철 , 김만조 , 신창호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0-10
주관부처 농림부
사업 관리 기관 농림부
등록번호 TRKO201100002223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본 연구는 1996년도부터 농림기술개발특정연구사업으로 “헛개나무로부터 간질환치료제 및 숙취해소제 개발”이란 제목으로 연구를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도된 간독성에 대한 효능은 과경 열수추출분획(Hdfhw- l), 과경 메탄올추출분획 (hdfm- l), 어린가지 메탄올추출분획 CHdbr- l)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목부 메탄올추출분획(Hd-2WS)은 단백질합성 능력이 나타나지 않았고, Acetaminophen에 의한 간독성 유발에서도 목부메탄올추출분획들(Hd-2WS, Hd-2WI)의 단백질합성에 의한

Abstract

Hou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is a rare endemic plant groWll1g 111 Korea. It has long been believed to contain some substances may be effective on the treatment of hang-over. In the present study, I have collected the trees from various locations throughout the country to preserve the genetic re

목차 Contents

  • 표지 ...1
  • 제출문 ...5
  • 요약문 ...7
  • SUMMARY ...13
  • CONTENTS ...17
  • 목차 ...19
  • 제 1 장 서 론 ...27
  • 제 2 장 유전자원 수집 보존과 재배법 개발분야 ...30
  • 제 1 절 서 설 ...30
  • 1. 임목의 유전변이 ...30
  • 가. 형태적 특성 ...30
  • 나. 동위효소 변이 ...31
  • 다. RAPD-PCR 에 의한 DNA 밴드패턴 ...32
  • 2. 임목의 번식 ...33
  • 가. 종자에 의한 번 식 ...33
  • 나. 영 양체에 의한 번식 ...34
  • 제 2 절 재료 및 방법 ...35
  • 1. 분포 및 표본목 선정 ...35
  • 가. 분포지 조사 ...35
  • 나. 분포지의 입지 환경 ...35
  • 다. 헛개나무 표본목 선정 ...35
  • 2 유전변이 조사 ...35
  • 가. 개화특성 조사 ...35
  • 나. 형태적 변이 ...38
  • 1) 종실 변이 조사 ...38
  • 2) 염형질 변이 조사 ...38
  • 다. 동위효소 변이 ...38
  • 라. RAPD-PCR에 의한 변이분석 ...42
  • 1) 집단선정 및 시료채취 ...42
  • 2) RAPD-PCR ...42
  • 가) 헛개나무 잎조직의 DNA 분리 ...42
  • 나) RAPD-PCR 수행 ...42
  • 다) RAPD-PCR 조건의 확립 ...43
  • 라) Printing screening ...43
  • 3) 자료수집 ...44
  • 4) 통계분석 ...45
  • 가)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45
  • 나) 집단간 유전적 분화와 유전적 거리의 추정 ...45
  • 다) AMOVA(analysis of molecular variance) 분석 ...45
  • 라) 유연관계 분석 ...46
  • 3. 헛개나무 증식특성 구명 ...47
  • 가 종자에 의한 증식 ...47
  • 나. 삽목에 의한 번식 ...47
  • 1) 발근촉진제 효과 ...47
  • 2) 삽목 시기별 효과 ...48
  • 3) 삽수채취 부위별 효과 ...48
  • 4) 모수령별 효과 ...48
  • 다. 조직배양에 의한 번식 ...48
  • 4. 재배법 개발 ...49
  • 제 3 절 결과 및 고찰 ...50
  • 1. 분포 및 표본목 선정 ...50
  • 가. 분포지 조사 ...50
  • 나. 분포지의 입지 환경 ...50
  • 다. 헛개나무 표본목 선정 ...51
  • 2. 유전변이 조사 ...52
  • 가. 개화특성 조사 ...52
  • 나. 형태적 변이 ...57
  • 1) 종설 변이 조사 ...57
  • 2) 엽형질 변이 조사 ...58
  • 다. 동위효소분석 ...59
  • 1) 동위효소별 유전양식 ...59
  • 가) Phosphoglucose isomerase (PGI) ...59
  • 나) Glutamate dehydrogenase (GDH) ...59
  • 다) Isocitric dehydrogenease (IDH) ...60
  • 라) Glutalllilte oxaloacetate transminase (GOT) ...60
  • 마) Leucine aminopeptidase (LAP) ...60
  • 바) Malate dehydrogenease (MDH) ...60
  • 사) 6-phosphogluconate dehydrogenease (6PG) ...61
  • 아) Phosphoglucomutase (PGM) ...61
  • 자) Shinkimate dehydrogenease(SKDH) ...61
  • 차) Aconitase (ACO) ...61
  • 라. RAPD-PCR ...61
  • 1) 유전적 다양성과 유전적 분화 ...61
  • 2) 유연관계분석 및 유전적 거리의 추정 ...64
  • 3) AMOVA 분석 ...65
  • 3. 증식법 개발 ...66
  • 가. 종자에 의한 증식 방법 ...66
  • 나. 삽목 증식법 개발 ...69
  • 1) 발근촉진제 효과 ...69
  • 2) 삼목 시기별 효과 ...69
  • 3) 삽수채취 부위별 효과 ...70
  • 4) 모수령간 발근력의 차이 ...71
  • 다. 조직배양에 의한 번식 ...72
  • 4. 재배법 개발 ...73
  • 제 3 장 간기능 활성물질 구명...75
  • 제 1 절 서 설 ...75
  • 제 2 절 재 및 방법 ...77
  • 1. 유용성분의 추출 및 정 제 ...77
  • 가. 용매 별,농도별 효과적인 추출법 개발 ...77
  • 나 효과적인 용매분획 및 정제 ...77
  • 2. 헛개나무 각 부위별 추출 ...77
  • 3 간독성활성물질의 분리 ...77
  • 4. GPC에 의한 절대분자량 측정(HPSEC-MALLS-RI Analysis) ...77
  • 5. 용융온도, 용융엔탈피 측정 ...80
  • 6. 단백질 및 당량분석 ...80
  • 7. 정제법 개발을 위한 TLC 조건 ...80
  • 8. 고분자 획분의 물질구조 ...80
  • 가 고분자 획분의 정제 ...80
  • 나. 당쇄 결합의 확인 ...81
  • 9. 분자량 측정 및 조성식 분석 ...81
  • 가. 질량분석 ...81
  • 나. 분자구조 분석 (NMR) ...82
  • 1) 조성식 확인 ...82
  • 2) 공명선 귀속 ...82
  • 3) 분자구조 분석 ...82
  • 제 3 절 결과 및 고찰 ...84
  • 1 유용성분의 추출 및 정제 ...84
  • 가. 용매별, 농도별 효과적인 추출법 개발 ...84
  • 나. 효과적인 용매분획 및 정 제 ...84
  • 2. 헛개나무 각 부위별 추출방법별 추출효율 ...86
  • 3 간기능 활성 물질의 분리 ...88
  • 4. GPC에 의한 절대분자량 측정 (HPSEC-MALLS-RI Analysis) ...99
  • 5. 용융온도, 용융엔탈피 측정 ...99
  • 6. 단백질, 아미노산 및 polyphenolgkafid 분석 ...106
  • 7. IR 과 UV spectrophotometery에 의한 function group 예상 ...106
  • 8. GC-MS를 이용한 당함량 분석 ...106
  • 9. 정제법 개발을 위한 TLC조건 ...113
  • 10. 활성분획 HDFHW-l의 물질구조 ...113
  • 가 Gel filtration에 의한 간질환 활성물질 분리 ...113
  • 나. GPC-MALLS에 의한 절대분자량 측정 ...118
  • 다. FT-IR에 의한 작용기 분석 ...120
  • 라. H-NMR 분석 ...120
  • 마. 간질환 활성분획의 물질구조 ...120
  • 11. 헛개나무 일년생 실생묘 지상부 추출물 물질구조 확인 ...124
  • 가. 단일물질의 분리 순수 분리 정제 ...124
  • 나. 질량분석기와 원소분석기와 이용한 분자량 측정 및 조성식 분석 ...124
  • 다. NMR을 이용한 분자구조 분석 ...124
  • 라. 공명선 귀속 및 구조 결정 ...127
  • 1) 질량분석 ...127
  • 2) 원소분석 ...127
  • 3) NMR Assignment와 예상구조 ...127
  • 제 4 장 간(肝)질환 및 숙취해소 약리 효능 및 안전성 평가...140
  • 제 1 절. 서 설 ...140
  • 1. 간독성 해소작용 ...140
  • 2. 숙취 해소작용 ...141
  • 제 2 절 재료 및 방법 ...144
  • 1. 간보호효과 구명 ...144
  • 가. 실험 동물 ...144
  • 나. 간세포 배양 ...144
  • 다. Liver slice culture를 이용한 in vitro 간독성 실험 ...144
  • 2. 사염 화탄소에 의한 간독성에 대한 효과 ...145
  • 가. 사염 화탄소 및 시료의 처 리 ...145
  • 나. 혈액내 glitamate-oxaloacetate transminase( GOT) 및 glutamatrpyruvatetransaminase(GPT) 활성 도 측정 ...145
  • 다. 간세포에서 total cytochrome P-450 및 microsomal monooxygenase활성 도 측정 ...146
  • 라. 간세포에서 lactic dehydrogenase(LDH)의 측정 ...146
  • 마. 간세포에서 RNA와 protein의 합성량 측정 ...147
  • 3. D-galactosamine/LPS에 의한 간독성에 대한 효과 ...147
  • 가. D-galactosamine 및 시료의 처리 ...147
  • 나. 간독성 치료 및 예방효과 실험 ...147
  • 4. Bromobenzene에 의한 간독성에 대한 효과 ...148
  • 5. 혈중알콜농도저하에 대한 효과 ...148
  • 가. 혈중알콜농도의 측정 ...148
  • 1) 효소학적 방법 ...148
  • 2) Gas Chromatography에 의한 측정 ...149
  • 3) Alcohol dehydrogenase 활성도 측정...149
  • 6. 아급성 독성시험을 퉁한 안전성 평가 ...149
  • 가. 실험동물 ...150
  • 나. 시약 및 조제 ...150
  • 다. 일반상태 관찰 ...150
  • 라. 체중, 사료섭취량 및 식수섭취량 측정 ...150
  • 마. 혈액학적 검사 및 혈청 생화학적 검사 ...151
  • 바. 뇨검사 ...151
  • 사. 장기 중량 측정 ...151
  • 아. 병리학적 검사 ...151
  • 자. 통계처리 ...152
  • 제 3 절 결과 및 고찰 ...153
  • 1. 사염 화탄소에 의해 유도된 간독성에 대한 효능 ...153
  • 2. D-galactosamine/LPS에 의해 유도된 간독성에 대한 효능 ...161
  • 3. Bromobenzene에 의 유도된 간독성에 대한 효능 ...173
  • 4. 헛개나무의 혈중알콜농도저하에 대한 영향 ...174
  • 5. 아급성 독성시험을 통한 안전성 평가 ...195
  • 가. 일반상태 관찰 ...195
  • 나. 체중, 사료섭취량 및 식수섭취량 변화 ...195
  • 다. 혈액학적 검사 및 혈청 생화학적 검사 ...199
  • 라. 뇨 검사 ...199
  • 마. 장기중량 ...200
  • 바. 병리학적 검사 ...200
  • 1) 육안적 소견 ...200
  • 2) 병리조직학적 소견 ...200
  • 參考文獻...205
  • 부록 1. Operon OPS, OPV, OPW primer set의 sequence ...215
  • 부록 2. Isozyme band patterns ampong populations ...216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