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목포대학교 Mokpo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박시형
|
참여연구자 |
김관수
,
이선희
,
김지영
,
이동헌
,
임동욱
,
Nimala J.P.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0-03 |
과제시작연도 |
2007 |
주관부처 |
농촌진흥청 |
연구관리전문기관 |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등록번호 |
TRKO201100016403 |
과제고유번호 |
1395012892 |
사업명 |
농업기술공동연구 |
DB 구축일자 |
2013-04-18
|
초록
▼
참깨의 품종별 표준 추출물을 제조하고, LC-MS를 이용하여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분석하고, 활성이 높게 나타난 분획물로부터 활성물질을 분리하여 단리된 물질의 구조를 동정한다. 참깨 품종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지표물질의 함량과 활성과의 관계를 평가하여, 기능성 물질 고 함유 품종을 선발한다. in vitro 및 in vivo 동물모델을 이용한 뇌허혈성 신경세포보호 약리시험을 통해 품종 간 기능성 물질 함량 차이와 뇌신경 세포 보호 작용과의 관계해석으로 고 기능성 품종을 선발한다. 기능성물질 고함유 품종 추출물로부터 활성
참깨의 품종별 표준 추출물을 제조하고, LC-MS를 이용하여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분석하고, 활성이 높게 나타난 분획물로부터 활성물질을 분리하여 단리된 물질의 구조를 동정한다. 참깨 품종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지표물질의 함량과 활성과의 관계를 평가하여, 기능성 물질 고 함유 품종을 선발한다. in vitro 및 in vivo 동물모델을 이용한 뇌허혈성 신경세포보호 약리시험을 통해 품종 간 기능성 물질 함량 차이와 뇌신경 세포 보호 작용과의 관계해석으로 고 기능성 품종을 선발한다. 기능성물질 고함유 품종 추출물로부터 활성물질의 대량분리 조건을 확립하고 식의약품 소재로 개발한다.
Abstract
▼
Sesame is an important oilseed crop that possesses a wide spectrum of pharmacological activitie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its health-promoting effects. Sesamin, sesamolin and four lignan glycosides were isolated form sesame extract (Ansan accession), and antioxidative coumari
Sesame is an important oilseed crop that possesses a wide spectrum of pharmacological activitie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its health-promoting effects. Sesamin, sesamolin and four lignan glycosides were isolated form sesame extract (Ansan accession), and antioxidative coumaric acid glucoside and ferulic acid glucoside were also isolated. A new anthraquinone derivative, anthrasesamone F, was isolated from black sesame and its structure was determined by NMR and MS. As results of antioxidative activity tests in the extracts of 36 sesame accessions, the accessions that had high contents of coumaric acid glucosides, ferulic acid glucosides and anthrasesamone F showed strong antioxidative activity. Nambaek, Danbaek, Annam, Ansan (white varieties), and Manheug (black variety) accessions showed high contents of water-soluble antioxidants, but Dasag, Mangeum (white varieties), and Yangheug (black variety) accessions showed low contents of water-soluble antioxidants. Potent antioxidant activities were obserbed in Nambaek, Danbaek, Ansan, Annam, Manheug, and Hegsun accessions. Active substances could be isolated from the remaining sesame oil cake processed under ${180^{\circ}C}$ and the optimum extraction solvent was 20% aqueous ethanol solution. For in vitro ischemia, oxygen-glucose deprivation followed by reoxygenation (OGD-R, 4 h OGD followed by24 h reoxygenation) in HT22 cell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n cell death and the inhibitory effects on lipid peroxydation. For in vivo ischemia, the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2h of MCAo followed by 22h of reperfusion) rat model was us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were shown in the more polar fraction. The activity of white sesame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black sesame extract. Defatted sesame seed extract, DSE, (0.1-10ug/mL) significantly reduced the cell death and inhibited lipid peroxydation induced by OGD-R. DSE (30, 100 and 300 mg/kg, p.o.) given twice at 0 h and 2 h after onset of ischemia reduced brain infract volume dose-dependently and
improved sensory-motor function. The therapeutic time windoe of DSE (300 mg/kg, p.o.) was 2 h after MCAo in rats. Ansan, Yangbeak, Namsan, Danbaek, and Dubeul accessions showed more significant neuroprotective activity than other accessions. In conclusion, our results show that DSE may be effective in ischemia models by an antioxidative mechanism.
목차 Contents
- 표지...1
- 요약문...3
- SUMMARY...6
- 제 1 장 서 론...7
- 제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7
- 제2 절 연구개발의 목적...8
- 제3절 연구범위...8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10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13
- 제1절 기능성물질 고함유 작물로부터 뇌신경세포보호물질의 추출 및 품종별 기능성 평가 (제 1 세부과제)...13
- 제2절 동물모델을 이용한 작물 추출물의 뇌신경세포보호 약리효과 구명 및 실용화 연구 (제 2 세부과제)...33
- 제 4 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52
- 제1절 목표 대비 대외 달성도...52
- 제2절 정량적 성과...52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54
-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55
- 제1절 특허분석...55
- 제2절 논문 분석...55
- 제 7 장 기타 중요 변동사항...57
- 제 8 장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장비 현황...57
- 제 9 장 참고문헌...58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