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R&D연구보고서] 농촌 주민의 문화생활 향상 방안 연구
Studies oon Cultural Life Upgrading Strategies of Rural Peopl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순천대학교
SunChon Nati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강대구
참여연구자 박옥임 , 강대구 , 김대희 , 장재태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4-03
과제시작연도 2003
주관부처 농촌진흥청
연구관리전문기관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등록번호 TRKO201200000502
과제고유번호 1390005338
사업명 농업기술공동연구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1960년대 이후 경제성장에 총력을 기울이기 시작하면서 우리나라의 농업과 농촌은 하향 산업가와 공동체 기능의 해체기를 걸어왔다(윤근섭, 1993). 2000 년을 넘어선 현재 우리나라의 농촌은 인구의 도시 유출로 인한 농촌공동화와 농산물 교역의 자유화로 인한 농업채산성의 악화 등 여러 가지 문제에 직면해 었다. 이로 말미암아 농촌주민에게 있어서 농촌은 문화적 교육적 혜택이 떨어지고 경제적 이익 실현의 기회가 적어 가급적 벗어나야 할 곳으로 여겨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있어서 식량안보 국토의 균형발전과 환경보전,

Abstract

Farm village is a part of fanning and culture heritage, and takes charge of important role in food security of the country. But, it is felt constraint gradually to find vital farm village in .Korea.
Because farm village inhabitants have been suffered difficulty than a city dweller in cultural, ed

목차 Contents

  • 표지...1
  • 제출문...2
  • 목차...3
  • 제 1 세부 과제명 : 농촌주민의 문화생활실태와 지표개발...29
  • 1년차 : 농촌주민의 문화생활실태와 문화생활저해요인...29
  • ...30
  • I. 서언...34
  • II. 농촌주민의 문화생활...36
  • 1. 문화의 의미...36
  • 2. 농촌주민의 문화생활...37
  • 3. 농촌주민의 문화생활 관련변인...38
  • III. 연구방법 및 절차...42
  • 1. 문헌연구와 전문가 회의...42
  • 2. 설문조사 및 자료수집...42
  • 3. 통계분석 및 해석...43
  • IV. 연구결과 및 해석...44
  •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과 일반적 특성변인간의 상관관계...44
  • 2. 농촌주민들이 느끼는 평소의 여유 정도 및 여유 시간...46
  • 3. 농촌주민들의 여유시간 이용실태와 주요 변인과의 관계...50
  • 4. 농촌주민들의 문화생활 실태와 주요 변인별 관계...54
  • 5. 농촌지역의 문화생활 관련 시설들에 대한 농촌주민들의 인식...77
  • 6. 농촌주민들의 문화생활 장애요인...83
  • 7. 농촌주민들의 교육활동 참여수준 및 교육요구도...88
  • 8. 마을의 문화적 발달수준에 대한 농촌주민들의 인식과 문화적 자부심...95
  • V. 결론 및 논의...101
  • <참고문헌>...109
  • <부록>...110
  • 2년차 : 농촌주민의 문화생활지표개발 및 적용...123
  •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24
  • II. 선생연구 및 연구의 방법...126
  • 1. 농촌주민의 문화생활지표 관련 선행연구...126
  • 2. 농촌주민의 문화생활 지표체계...130
  • 3. 농촌주민의 문화생활 지표 항목을 이용한 자료 수집...145
  • III. 연구의 결과...148
  • 1. 조사대상 읍.면의 조사결과...148
  • 2. 조사결과 자료의 표준화...148
  • 3. 표준화 결과에 따른 표준 점수 분포의 정규성...151
  • 4. 진단 지표의 적합성 검증...152
  • 5. 농촌주민의 문화생활 지표체계...153
  • 6. 농촌주민읜 문화생활지표 진단 결과...153
  • 7. 조사대상 읍.면별 세부 문화점수...156
  • IV. 결론 및 제언...161
  • 1. 결론...161
  • 2. 제언...162
  • <참고문헌>...164
  • <부록>...165
  • 제 2 세부 과제명 : 농촌주민의 문화생활요구와 프로그램모델개발...190
  • ...191
  • I. 서론...191
  • 1. 연구의 필요성...191
  • 2. 연구의 목적...193
  • 3. 연구의 제한...194
  • 4. 용어의 정의...194
  • II. 이론적 배경 및 관련문헌 고찰...195
  • 1. 문화, 문화생활, 농촌문화의 개념적 논의...195
  • 2. 농촌주민의 문화생활...199
  • 3. 농촌문화생활에 관련된 요인...201
  • 4. 농촌문화생활과 관련된 정책 동향...203
  • 5. 문화프로그램 모형...205
  • 6. 외국 농촌의 문화 활동...213
  • III. 연구방법 및 절차...221
  • 1. 연구의 방법...221
  • 2. 연구의 절차...225
  • IV. 연구의 결과 및 논의...226
  • 1. 농촌주민의 문화생활요구 조사 분석...226
  • 2. 농촌지역의 문화기반 조사 분석...473
  • 3. 문화프로그램 모델 유형 개발...480
  • V. 요약 및 결론, 제언...481
  • 1. 요약 및 결론...481
  • 2. 제언...486
  • <참고문헌>...488
  • <부록>...49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