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공학교육인증원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1-12 |
과제시작연도 |
2011 |
주관부처 |
지식경제부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
연구관리전문기관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
등록번호 |
TRKO201300015965 |
과제고유번호 |
1415115297 |
사업명 |
정보통신기술인력양성 |
DB 구축일자 |
2013-08-26
|
키워드 |
공학교육인증제도.서울어코드.서울어코드 한국위원회.IT인력양성.Accreditation.Seoul Accord.Seoul Accord Korea Committee.Computing and IT Related Accreditation.IT Human Resources.
|
초록
▼
3. 사업목표
■ 2006년
◦ EAC IT 분야 및 CAC분야의 50개 프로그램 인증평가
◦ CAC 및 IT 분야 평가자(평가위원, 평가단장) 교육
◦ 교수·산업체 인사를 위한 인증 설명회 개최
◦ 평가위원/평가단장 교육 개선 활동
◦ 2009년 WA 정회원 가입 및 전담 TFT 운영
◦ 국제적 인증기관 교류 및 국제 공학교육인증 관련 세미나, 워크숍, 학회 참석
◦ NEXT 사업의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점 도출
◦ NEXT사업 시행효과 향상을 위한 방안제시
◦ 공학교육 전문가
3. 사업목표
■ 2006년
◦ EAC IT 분야 및 CAC분야의 50개 프로그램 인증평가
◦ CAC 및 IT 분야 평가자(평가위원, 평가단장) 교육
◦ 교수·산업체 인사를 위한 인증 설명회 개최
◦ 평가위원/평가단장 교육 개선 활동
◦ 2009년 WA 정회원 가입 및 전담 TFT 운영
◦ 국제적 인증기관 교류 및 국제 공학교육인증 관련 세미나, 워크숍, 학회 참석
◦ NEXT 사업의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점 도출
◦ NEXT사업 시행효과 향상을 위한 방안제시
◦ 공학교육 전문가 참여 확대
◦ 학회 회원관리 및 전문 학회 행사 지원
◦ 산업체 회원 관리 및 관련 행사 적극참여 및 홍보물 발간
◦ 전산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및 인증정보 관리 DB 구축
◦ 전담 연구원 구성 및 국제화 연구과제 수행
■ 2007년
◦ EAC IT 분야 및 CAC분야의 70개 프로그램 인증평가
◦ IT 분야 평가자(평가위원, 평가단장 포함) 교육 실시
◦ 대학·산업체 인사 위한 인증 설명회 개최
◦ 평가자/평가위원/평가단장 교육체계 및 자료 개선
◦ 인증제도 개선 및 인증사업 시행 효과 분석
◦ 학회 및 산업체 회원 관리, 신규 회원 확보
◦ 공인원 홍보물 발간
◦ 2007년 WA 정회원 가입 추진
◦ WA 정회원국과의 유대강화 및 국제적 인증기관과의 교류
◦ CAC 국제협의체 및 Asian Accord 추진
◦ 국제적 공학교육인증 관련 세미나, 워크숍, 학회 참석
◦ 전산 시스템 구축 및 운영과 인증 정보 관리 DB 구축
◦ NEXT 사업 평가체계 개선 및 사업을 통한 수준 분석
■ 2008년
◦ EAC IT 분야 및 CAC분야의 120개 프로그램 인증평가
◦ IT 분야 평가자(평가위원, 평가단장 포함) 교육 실시
◦ 대학·산업체 인사 위한 인증 설명회 개최
◦ CAC 국제 협의체 구축 위한 심포지엄 개최
◦ CAC 국제 협의체 방문 및 교류
◦ CAC 국제 협의체 발족
◦ 정보통신기술분야 국제 공학 워크숍 참석
◦ 공학인증 제도 개선 및 인증 행정 효율화 전산 시스템 고도화
◦ 공학인증 제도의 필요성에 대한 대외홍보
◦ 학회 및 산업체 회원 관리, 신규 회원 확보
◦ 공인원 홍보물 발간
◦ 전공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 및 개발
■ 2009년
◦ 국내 IT 분야 인력양성 체계 및 공학교육인증제도의 발전
◦ CAC 인증기준 개선 및 확대
◦ IT 분야 공학교육인증제도 발전을 위한 산업체 수요 조사
◦ 서울어코드 사무국 업무 수행, 서울어코드 한국위원회 발족
◦ 서울어코드 규모 확대, 국제 활동 및 국제적 지위 제고
■ 2010년
◦ 최신 수요에 부응하는 CAC 인증기준의 확정, 공고 및 시행
- KEC2005와의 harmonization
- 서울어코드 graduate attribute를 인증기준으로 수용 기반 구축
※ IT 분야 전문학회의 참여를 통한 위탁과제에서 일부 내용 수행
◦ CAC 분야 인증 프로그램 확대
- CAC 인증기준 개정안 공표
- CAC 인증 전환 등 참여 프로그램 26개
- 인증기준 8 확대
◦ CAC 분야 인증제도의 성과 확산
- 인증 졸업생 인센티브 부여 기업 확대
- 인증성과 확산을 위한 홍보
◦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서울어코드 클럽 출범
- 서울어코드 클럽 출범
- 서울어코드 클럽 회원사 확대
- 수요지향적 IT공학교육 강화를 위한 산업계 참여 강화
◦ 서울어코드 운영 및 활성화 서울어코드 위상 제고 및 국제적 리더십 확대
- 신규 회원국 추가 활동
- 지속적인 다자간 협의체 연합체(IEA) 가입 추진 활동
■ 2011년
◦ CAC 분야 인증 프로그램 확대
- 개정된 인증기준의 홍보
- EAC 분야에서 CAC 분야로의 전환 유도
- 인증기준 KCC2010에 부합하는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방안 연구
◦ IT 분야 인증제도의 성과 확산
- 인증 졸업생 인센티브 부여 기업 지속적인 증대
- 인증성과 확산을 위한 홍보
◦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서울어코드 클럽 출범
- 서울어코드 클럽 출범을 통한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
- IT 분야 공학교육인증 확대와 서울어코드 홍보
- 수요지향적 대학 IT 전공교육을 통한 공학교육인증의 저변 확대
◦ 서울어코드 위상 제고 및 국제적 리더십 확대
- 서울어코드 총회를 통한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과 리더십 제고
- 선진 공학교육 국가와의 지속적인 유대 강화
- IEA, IFIP 총회 참가를 통한 국제적 지위 제고
- 서울어코드 한국위원회 및 사무국 운영
◦ 서울어코드 확산을 위한 관련 제도 연구
- IP3 등 국제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관련 자격증 및 제도 연구수행
- CIPS, ACS 등 제도시행 기구 방문을 통한 서울어코드와의 연계성 검토
4. 사업 수행내용 및 성과
■ 2006년
◦ EAC IT 분야 30개 프로그램 인증 평가
◦ CAC 분야 20개 프로그램 인증 평가
◦ CAC 인증기준 개선 : 인증절차와 과정분석, 인증평가 절차 분석, 제반양식 정
◦ 평가자 교육 2회 실시 및 평가위원/평가단장 교육 2회 실시
◦ 대학, 산업체 대상 인증 설명회 2회 실시
◦ NEXT 사업 분석연구 :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점 도출 및 사업 시행효과 향상 방안 제시 , 공학교육 전문가 참여 확대
◦ 학회 및 산업체 회원 확보 및 정기적인 간행 및 배포: 공인원 소식지 1회, 웹 뉴스레터 2회, 영문 브로숴 1회 발간 및 배포, 홈페이지 한글, 영문 업데이트
◦ 인증사업의 전산화 : 중앙 집중적 인증업무의 처리, 자료 관리 및 업무 효율의 극대화, 각종 통계 및 자료 가공의 용이성 확보, 원활한 운영을 위한 유지보수 체계 정립,
◦ 사무처 업무의 전산화 : 전산사용법 매뉴얼(1건)
◦ 워싱턴어코드 정회원 가입
◦ IT 분야 옵저버 초청 1회, 옵저버 자격으로 참관 2회
◦ 공학인증 관련 국제회의 참석 2회, 공학인증 관련 국제세미나 참석 1회
◦ MOU 체결 : WA 기가입 8개 회원국, 선진국의 제도 습득
◦ 인증정책 및 제도의 국제화 연구
◦ 국제화 연구과제 수행 환경 구축, 국제적인 수준의 인증정책 및 기준제시
■ 2007년
◦ EAC IT 분야의 63개 프로그램 인증 평가
◦ CAC 분야 7개 프로그램 인증 평가
◦ 평가자 교육 4회 실시 및 평가위원ㆍ평가단장 교육 2회 실시 (평가단장 간담회 포함)
◦ 대학 대상 인증설명회(PD 간담회 포함) 2회 개회 및 산업체 대상 1회 개최
◦ 평가자(평가위원, 평가단장 포함) 교육체계 및 자료 개선 : 1회
◦ 인증제도 개선 및 시행효과 분석연구
◦ 인증제도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인증제도 효과 분석 연구, 공학교육 담당자 의견 설문조사
◦ 학회 및 산업체 회원 관리 및 신규 회원 확보
◦ 웹 뉴스 레터, 영문/국문 브로숴, 인증프로그램 소개 책자 발간 및 배포
◦ 홈페이지 한글/영문 업데이트 홍보 자료 발간 및 배포
◦ 공학인증 국제협의체 워싱턴어코드(WA) 정회원국 가입 : WA 정회원국 방문 및 WA 정회원국 옵져버 초청 및 참관
◦ CAC 국제협의체 및 Asian Accord 추진
◦ CAC 국제협의체(서울어코드) 구축 심포지엄 개최(Seoul Declaration) 및 협의체 기반 조성
◦ Asian Accord 관련 학회 참석
◦ 공학교육 및 인증 관련 국제세미나 참석, 공학인증 관련 국제회의 참석
◦ 인증사업의 전산화 및 전산시스템 고도화 : 중앙 집중적 인증업무의 처리, 자료 관리 및 업무 효율의 극대화, 각종 통계 및 자료 가공의 용이성 확보, 원할한 운영을 위한 유지보수체계 정립
◦ NEXT사업 평가체계 및 분석연구 :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점 도출, 사업시행 효과 향상을 위한 방안 제시
■ 2008년
◦ EAC IT 분야 116개 프로그램 인증 평가
◦ CAC 분야 4개 프로그램 인증 평가
◦ 평가자 교육 4회 실시 및 평가위원/평가단장 교육 2회 실시
◦ 평가자(평가위원, 평가단장 포함) 교육체계 및 자료 개선
◦ 학회 및 산업체 회원 관리 및 학회 및 산업체 신규 회원 확보
◦ 웹뉴스레터 발간 및 홈페이지 한글/영문 업데이트, 홍보 자료 발간 배포
◦ CAC 국제협의체 출범
◦ CAC 국제협의체 설립을 위한 중간 미팅 개최
◦ 회원국가 방문 및 교류, 공학교육 및 인증 관련 국제세미나, 국제회의 참석
◦ CAC 국제협의체 서명식 개최 및 설립
◦ CAC 국제협의체 출범 선포식 및 산학연관 협의체 발족
◦ 인증사업의 전산화 및 고도화 : 인증업무의 처리, 자료 관리 및 업무 효율의 극대화를 위한 전산 시스템 지속적 유지 보수, 사무처 업무의 전산화
◦ 전공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워크숍 개최 및 전공 교육 강화를 위한 평가체계 방안 제시 및 분석연구 :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점 도출, 사업시행 효과 향상 방안 제시
■ 2009년
◦ 서울어코드 사무국 업무 수행 : 사무국 전담 직원 배정, 연간 무중단 홈페이지 서비스 회원국 및 회원기구 제공
◦ 대외홍보 분과, R&P 분과, 회원관리 분과, 위원회별 간사 등 구성
◦ R&P 보앆 및 최종안 합의 도출
◦ 서울어코드 회원 신규 2개국(홍콩, 대만) 가입
◦ 서울어코드 교토 회의 참가
◦ IEA 가입 추진
◦ CAC 인증기준 개정안 도출
◦ CAC 인증 프로그램 지속적 확대
◦ 국내 IT 산학협력실무위원회 발족 및 운영을 통한 인증효과 극대화
■ 2010년
◦ 최신 수요에 부응하는 CAC 인증기준의 확정, 공고 및 시행
- 교과과정 및 학습성과 관련 인증기준 내용의 정련
- KEC2005와의 harmonization을 통한 전반적인 개정
- 서울어코드 graduate attribute를 인증기준으로 수용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
- 새로운 인증기준에 대한 독립적인 명칭을 인증기준 KCC2010으로 부여하고 공고 및 적용 시작
※ IT 분야 전문학회의 참여를 통한 위탁과제에서 일부 내용 수행
◦ CAC 분야 인증 프로그램 확대
- 다양한 홍보활동을 통하여 개정된 인증기준에 대한 이해 확산
- 개정된 인증기준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KEC2000/KEC2005/KCC2005로부터의 전환 촉진
- 전공분야별 인증기준 적용 분야를 4개로 확대하여 신규 참여 기회 확대
※ IT 분야 전문학회의 참여를 통한 위탁과제에서 일부 내용 수행
◦ CAC 분야 인증제도의 성과 확산
- 채용 지원자에 대한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산업체 수 확대
- 인증성과 확산을 위한 홍보 활동
◦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서울어코드 클럽 출범
- IT산학협력실무위원회 규모 확대를 통한 서울어코드 클럽 운영 방안 구축
- IT산학협력실무위원회 참여 회원사 확대
- 서울어코드 활성화 지원 사업 선정 대학교 참여
- IT산학협력실무위원회 정기 운영 및 서울어코드 클럽 발족을 위한 회의 개최
- 컴퓨터·정보기술 분야 공학교육인증제도 및 서울어코드 홍보와 확산
◦ 서울어코드 운영 및 활성화 서울어코드 위상 제고 및 국제적 리더십 확대
- 서울어코드 사무국 운영 및 국제 활동 강화
- 서울어코드 사무국의 원활한 운영을 통한 서울어코드 위상 제고
- 초대 서울어코드 사무국 유치 국가로서의 국제적 위상 제고 및 리더십 확보
- 서울어코드 차차기 사무총장으로 국내 인사 선출 노력
- 서울어코드 한국위원회(Seoul Accord Korea Monitoring Committee) 운영
- 대외홍보분과, R&P 분과, 회원관리 분과 운영 및 위원회별 간사 활동 확대
- 국내외 전문가 집단 활용 및 한국공학교육인증원과의 긴밀한 협력관계 유지
■ 2011년
◦ CAC 분야 인증 프로그램 확대
- 인증설명회 등의 행사를 통한 개정된 인증기준 KCC2010에 대한 홍보
- CAC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활동 강화
- KEC2005 및 KCC2005로부터 KCC2010으로의 인증기준 전환 확대
- 컴퓨터·정보기술교육인증의 효율적인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방안연구
※ IT 분야 전문학회 참여를 통한 위탁과제 수행
◦ IT 분야 인증제도의 성과 확산
- 입사 전형 시, 인증 졸업생들에게 혜택을 부여하는 산업체의 수 확대
- 컴퓨터·정보기술교육인증 성과 확산 및 사회적 인지도 제고를 위하여 언론 매체 등을 통한 다양한 홍보활동
◦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서울어코드 클럽 출범
- 서울어코드 클럽 출범을 통한 기업의 지속적인 참여 활성화
- 15개 서울어코드활성화 사업단 및 사업단이 소속된 대학교가 서울어코드클럽에 가입하여 교육기관과 서울어코드클럽의 전략적 협력체계 구축
- IT 교육의 산학연계 실효성 제고를 위한 기업채용설명회 개최
- 향후 다양한 교류를 통한 컴퓨터·정보기술교육인증의 저변 확대를 도모할 수 있는 기반 구축
◦ 서울어코드 위상 제고 및 국제적 리더십 확대
- 3차 서울어코드 총회 개최를 통한 국제적 위상과 리더십 제고
- 서울어코드 한국위원회 및 사무국 운영을 통한 선진 공학교육 국가와의 지속적인 유대 강화
∘ 서울어코드 사무국 업무의 지속적 수행과 원활한 운영
∘ 홈페이지 관리 및 컨텐츠 업데이트 등을 통한 회원국간의 원활한 정보교류 및 확산 활동에 기여
∘ 서울어코드 한국위원회(Seoul Accord Korea Monitoring Committee) 2기를 재정비 하여 3개 분과(대외홍보 분과, R&P 분과, 회원관리 분과) 지속적 운영
- IEA 및 IFIP 등 공학관련 국제기구 가입 및 참가를 통하여 국제적 지위 제고
◦ 서울어코드 확산을 위한 관련 제도 연구
- 컴퓨터·정보기술교육인증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IP3 테스트 등 국제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관련 자격증에 관련된 연구 수행을 통한 컴퓨터·정보기술교육인증제도의 효과 확산 도모
- IP3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CIPS, ACS 등의 기구 방문, 선진국 현황 조사를 통하여 실효성을 연구하고 서울어코드와의 연계 타당성 검토
- IP3 공동가입을 위한 업무제휴 및 IP3 공동가입
5. 사업수행에 따른 기대성과
■ 우수 공학 인력양성
◦ 공학교육인증 기준에 의한 IT 분야 전문인력의 졸업생 배출 및 양성
◦ 수요지향(Demand-driven) 및 성과기반(outcomes-based) 교육체계의 운영을 통한 의사소통기술, 팀웍, 책임성 강화 등 사회적 자질과 창의적이고 복합적인 적응력을 보유한 공학도 양성
◦ 산업체 수요를 기초로 인력양성 계획 수립 및 교과과정 반영
◦ 국내 IT 분야의 인력양성 체계의 고도화
◦ 국내 IT 분야 산업체를 대상으로 공학교육인증제의 확산
◦ 전공분야별 인증기준 다양화를 통해 산업체 요구를 만족하는 IT 분야 인재 양성
◦ 서울어코드 초대 사무국을 성공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서울어코드 내에서의 위상 제고 및 리더십 확보
■ 공학교육의 질적 개선
◦ IT 분야 교육을 위한 실질적이고 일관성 있는 가이드라인과 평가기준 제시로 대학의 IT 관련 학과의 지속적인 발전 유도
◦ 인증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대학의 교육의 질 향상 : 교수들의 교육활동에 대한 지원 강화를 통한 교육의 질 개선 및 계속적인 혁신의 노력 제고. 교육 방법 및 대학 공학 교육의 국제 경쟁력 향상 및 대학 공학 교육의 국제 산업화. 피교육자(학생)의 교육과정 신뢰도 향상. 체계적인 학생의 관리로 학업 성취도 향상
◦ IT 분야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모델 제시로 교육기관의 자발적이고 발전적인 경쟁 유도를 통한 질적 개선
◦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상에 부합하는 교육과정 반영을 통한 질적 향상
◦ 국내 IT 교육의 활성화 및 지속적인 발전을 통하여 IT 분야 졸업생의 국제적인 우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도출
■ 사회 경제적 성과
◦ 종합설계능력 향상을 통한 졸업생의 국제 경쟁력 강화와 졸업생의 비 기술적 자질의 향상으로 산업체에서 신입사원 교육기간 단축 등으로 사원교육 시간 및 비용의 절감효과
◦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전문능력과 자질을 갖춘 졸업생 채용으로 산업체 경쟁력 강화. 채용 후 사내교육기간을 크게 감소시키고, 막대한 경비절감 및 정보처리의 숙지, 실무능력 및 업무처리 능력의 향상으로 회사 내 업무처리 효율 향상시키고 졸업생의 자질향상과 전문지식의 향상으로 부서 간 업무 협조의 활성화와 대외활동 유리
◦ 고용 인력의 경쟁력 확보로 새로운 신기술 적응력과 노동 시장에의 가용 기술 인력의 항시 보급
◦ 다양한 인력양성 사업들간의 시너지 도출
■ 국제 경쟁력 강화
◦ 국제 협의체 정회원 가입으로 공학 졸업생들의 국제 동등성 확보
◦ IT 분야 교육의 내실화를 달성하여 국제 IT 사회에서 인정받는 졸업생 배출
◦ 국제 협의체 회원국 간 IT 교육의 범위와 제도 이해 촉진으로 국가 IT 산업 분야의 추진 방향에 대한 이해도 증가
◦ IT 분야 교육에 필요한 기본교육 요소 기준 제공을 통한 국가 교육정책수립에 의 이바지
◦ 전문능력과 기본소양을 갖춘 졸업생의 배출로 산업체 및 국가적 경쟁력 향상
◦ 국내 IT교육과 관련 인증 및 자격제도에 대한 개선 방안 도출
◦ 국내 IT교육의 교육개혁 벤치마킹을 위한 데이터 제공
◦ 국내 IT 졸업생의 국제 교류 및 진출의 바탕 마련
◦ 우리나라 주도로 컴퓨터·정보기술분야 국제 협의체 구축으로 IT 강국으로서의 입지 강화
◦ 국제 협의체 회원국 간 교류 및 협력 강화로 공학교육분야의 선진 수준화로의 모멘텀 확보
◦ 졸업생들의 국제 진출 촉진 및 IT 분야의 성장 동력 공고화
◦ 인증시스템의 구축과 지속적인 국제 교류를 통한 우리나라 공학교육의 위상 증진과 국제화시대의 국제 경쟁력 확보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울어코드 기반구축사업 결과보고서 ... 2
- 요약문 ... 3
- 目次 ... 13
- 표목차 ... 15
- 별첨목차 ... 15
- 본문 ... 16
- I. 사업개요 ... 17
- 1. 추진배경 및 필요성 ... 17
- 2. 사업목적 ... 18
- 3. 기대효과 ... 22
- 4. 국내·외 현황 ... 24
- 5. 사업추진근거 ... 35
- 6. 타 기관대비 당 기관의 사업 수행 우수성 ... 36
- II. 사업 추진체계 ... 41
- 1. 구성도 ... 41
- 2. 사업 추진절차 ... 42
- 3. 사업 추진전략 ... 46
- 4. 참여인력 ... 49
- 5. 위원회 운영실적 ... 50
- III. 운영개선 실적 ... 53
- 1. 자체평가/성과분석, 평가결과의 반영실적 ... 53
- 2. 제도 개선실적 ... 54
- IV. 사업 추진성과 ... 55
- 1. 사업목적∙분야에 부합하는 사업 추진 실적 ... 55
- 2. 전문가활용 및 기타 성과제고를 위한 수행활동 실적 ... 73
- V. 사업비 집행내역 ... 77
- 1. 사업비 총괄표 ... 77
- 2. 사업비 세부 집행내역 ... 78
- 3. 사업비 관리체계 및 집행기준 ... 79
- 4. 집행 부진사유 ... 79
- 5. 부가수익 지출내역의 적정성 ... 79
- VI. 사후관리 및 성과확산 ... 80
- 1. 사업운영 효과분석, 배출인력, 사후관리 등 추진 ... 80
- 2. 그동안의 사업 결과물(구축결과)의 보급·확산 실적 ... 81
- 3. 사회경제적 효과 ... 82
- 부록 ... 84
- 【부록1】총괄책임자 이력사항 ... 85
- 【부록2】위원회 명단 ... 86
- 【부록2】위탁(연구)사업 세부내용 ... 90
- 【부록4】국문 요약문 ... 92
- 【부록5】영문 요약문 ... 9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