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자력용 나노산화물분산강화합금 개발
Development of Nano-sized Oxide Dispersion Strengthened (ODS) Alloy for Nuclear Applicat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책임자 김성수
참여연구자 장진성 , 김우곤 , 김성호 , 김태규 , 정충환 , 류호진 , 김상현 , 한창희
보고서유형2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04
과제시작연도 2011
주관부처 교육과학기술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연구재단
등록번호 TRKO201300019600
과제고유번호 1345157285
DB 구축일자 2013-09-14
키워드 나노산화물,기계적 합금,분산강화,크리프,조사저항성,파괴인성,충격에너지nano-oxide,mechanical alloying,dispersion strengthening,creep,irradiation resistance,fracture toughness,impact energy

초록

III. 연구 개발의 내용 및 범위
본 보고서는 총 2단계 5년의 연구 (1단계 2년 및 2단계 3년) 수행한 최종보고서이며, 최종 목표는 나노산화물분산(nano-oxide dispersion) 및 GBE (Grain Boundary Engineering)기술을 이용한 isotropic 원천 나노산화물분산강화합금 개발에 대한 것이다.
제 1단계의 세부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ODS GBE를 이용한 등방성 합금 제조 기술 확립 (방향에 따른 물성의 차이가 20% 이내)
2 고온 인장 특성: 항복응력 3

Abstract

III. Scope and Contents
The scope of this report is the activities of a 5 year project, including the 1st step for a 2-year period, and 2nd step for a 3-year period.
The scope and contents of the 1st step are as follows:
1. The development of an isotropic nano-oxide-dispersed strengthened (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보고서 요약서 ... 3
  • 요약문 ... 4
  • Summary ... 11
  • 목차 ... 19
  • 표 목차 ... 21
  •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35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36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38
  • 제1절 서론 ... 38
  • 제2절 연구 내용 및 결과 ... 41
  • 2.1 SPS 분말 소결 특성 평가 ... 41
  • 2.1.1 서론 ... 41
  • 2.1.2 실험 ... 42
  • 2.1.3 결과 및 논의 ... 42
  • 2.1.4 결론 ... 44
  • 2.2. ODS 합금 제조 및 특성 평가 ... 55
  • 2.2.1 서론 ... 55
  • 2.2.2 실험 ... 56
  • 2.2.3 결과 및 논의 ... 57
  • 2.2.4 결론 ... 61
  • 2.3 ODS 인장 특성 평가 ... 77
  • 2.3.1 서론 ... 77
  • 2.3.2 실험 ... 77
  • 2.3.3 결과 및 논의 ... 78
  • 2.3.4 결론 ... 82
  • 2.4. FMS ODS에 대한 크리프 특성평가 ... 105
  • 2.4.1 Fe-9Cr-1.1W ODS 합금의 크리프 특성 평가 ... 105
  • 2.4.1.1 서론 ... 105
  • 2.4.1.2 실험 ... 105
  • 2.4.1.3 결과 및 논의 ... 106
  • 2.4.1.4 결론 ... 107
  • 2.4.2 Fe-12Cr-1.1W ODS 합금에 대한 크리프 특성 평가 ... 119
  • 2.4.2.1. 실험 방법 ... 119
  • 2.4.2.2. 크리프 시험 결과 ... 119
  • 2.4.2.3 . 요약 ... 122
  • 2.4.3 크리프 손상의 원인 분석 ... 130
  • 2.4.3.1. 실험 방법 ... 130
  • 2.4.3.2. 결과 및 논의 ... 130
  • 2.4.3.3. 요약 ... 131
  • 2.5. 이온 조사 특성평가 ... 134
  • 2.5.1 서론 ... 134
  • 2.5.2 실험 ... 134
  • 2.5.3 결과 및 논의 ... 135
  • 2.5.4 결론 ... 138
  • 2.6. 나노산화물 분산 합금 원천 물질 및 공정 개발 ... 154
  • 2.6.1 합금 분말의 산소 농도 제어 ... 154
  • 2.6.2 나노 산화물 분산 합금 원천 물질 개발 ... 160
  • 2.6.3 Nb함유 나노 산화물 분산강화 합금의 인장 특성 ... 166
  • 2.6.4 ODS 합금에 대한 EBSD 분석 ... 175
  • 2.7. 분산 산화물 미세화 및 분산 개선 ... 178
  • 2.7.1 산화물 미세화 및 분산 개선 ... 178
  • 2.7.2 산화물 분산이 강도에 미치는 영향 ... 183
  • 2.8 ODS강에서 나노산화물 입자와 기지상 사이의 결정학적 상관관계 ... 188
  • 2.8.1 ODS 합금 제조 및 산화물 분포 관찰 ... 188
  • 2.81.1. 실험 ... 188
  • 2.81.1. 결과 및 논의 ... 188
  • 2.8.2 나노산화물 입자와 기지상 사이의 결정학적 상관관계 ... 193
  • 2.8.2.1. 서론 ... 193
  • 2.8.2.2. 실험방법 ... 194
  • 2.8.2.3. 결과 및 고찰 ... 194
  • 2.8.2.4. SAD 패턴과 BF, DF image 관찰 ... 195
  • 2.8.2.5. 고배율 전자현미경 관찰 및 분석 ... 196
  • 2.8.2.6. 요약 ... 199
  • 2.9. Fe-Cr 합금의 475℃ 취성 원인 ... 208
  • 2.10. 시제관 ODS 피복관 규격 검토 및 제조 ... 213
  • 2.10.1. 개발 ODS 합금 고온 가공성 시험 ... 213
  • 2.10.2. 시제 ODS 피복관 규격 검토 및 시제 피복관 제조 ... 218
  • 2.10.3. ODS 합금 열간압출 ... 219
  • 2.11. 원자력용 ODS합금 국제공동연구 ... 236
  • 제3절 결론 ... 238
  • 제 4 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 기여도 ... 244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245
  • 제 6 장 해외과학기술정보 ... 246
  • 제 1 절 서론 ... 246
  • 제 2 절 ODS 합금의 개발 ... 248
  • 6.2.1. 크롬 (Cr) 및 알루미늄(Al) 첨가 ... 248
  • 6.2.2. 텅스텐(W)과 타이타늄(Ti)의 첨가 [14] ... 250
  • 6.2.3. Al 첨가 효과와 산화물의 크기 조절 [15] ... 251
  • 6.2.4. 중성자 조사 저항성 [16] ... 254
  • 6.2.5. SCPW에서의 부식 문제 [17] ... 256
  • 6.2.6. 액체 금속 취성 (liquid metal embrittlement, LME) [18] ... 258
  • 6.2.7. ODS 합금 제조 공정 [19] ... 259
  • 제3절 결론 ... 262
  • 제7장 참고문헌 ... 309

표/그림 (22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