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토콘드리아 호흡기능 조절 분자 기작 규명 및 질환 제어
Development of platform mitochondrial biotechnology for the control of metabolic syndrom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충남대학교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송민호
참여연구자 권기량 , 조영석 , 정효균 , 정샛별 , 김성중 , 김용경 , 박기철 , 유민정 , 박지훈 , 서강식 , 허준영 , 한정수 , 이민희 , 이성은 , 최민정 , 이성진 , 권현주 , 최정현 , 김성진 , 이지운 , 엄진범 , 류효정 , 권려민 , 박분 , 송지은 , 황진희 , 강영미
보고서유형2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06
과제시작연도 2011
주관부처 교육과학기술부
등록번호 TRKO201300023280
과제고유번호 1345157066
DB 구축일자 2013-08-26
키워드 미토콘드리아,호흡복합체,크리프원,대사성 증후군,지방세포,조직특이적 결손마우스,ß-세포Mitochondria,Respiratory complex,CRIF1,Metabolic syndrome,adipocyte,Tissue specific knockout mice,ß-cell

초록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제 2단계의 연구를 통해, 본 연구진은 다음과 같은 내용의 연구를 수행하였음.
< 1차년도 >
CRIF1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전사 조절 기전 규명
CRIF1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OXPHOS subunits assembly 조절 규명
CRIF1 conditional knockout를 위한 CRIF1 flox/flox mice line 확보
Brain specific CRIF1 knokout mice 생산 및 phenotype 분석
Muscle specific CRIF

Abstract

We isolated a mitochondrial protein, called mtCRIF1, which is localized in inner membrane of mitochondria. In the subsequent studies, we found that mtCRIF1-deficient cells prepared from mtCRIF1 knockout mice showed marked deterioration of mitochondrial function resulted from loss of assembly in oxid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보고서 요약서 ... 3
  • 요약문 ... 4
  • SUMMARY ... 11
  • CONTENTS ... 13
  • 목차 ... 14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5
  • 1. 연구개발의 목적 ... 15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17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19
  • 제1절 CRIF1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호흡복합체의 조절 ... 19
  • 제2절 CRIF1에 의한 지방세포의 분화 ... 59
  • 제3절 내피세포에서의 CRIF1 역할 ... 74
  • 제4절 CRIF1에 의한 지방간 조절 ... 84
  • 제5절 췌장 베타세포 특이적 CRIF1 결손 마우스 생산 및 표현형 분석 ... 94
  • 제5절 근육 특이적 CRIF1 결손 마우스 생산 및 표현형 분석 ... 108
  • 제6절 인체 질환 모델에서 CRIF1 돌연변이 조사 ... 114
  • 제7절 인체 질환 모델에서 CRIF1발현이상 조사 ... 119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127
  • (1)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127
  • (2)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127
  • (3) 계획대비 달성도 ... 128
  • (4) 관련 분야의 기여도 ... 129
  • (5) 위 연구목표(총연구기간)에서 중요도 순으로 4-5개 목표 추출 및 가중치 부여 ... 130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131
  • 1. 추가연구의 필요성 ... 131
  • 2. 타연구에의 응용 ... 131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132
  • 제7장 참고문헌 ... 135

표/그림 (10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