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구책임자 |
최달웅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2-11 |
과제시작연도 |
2012 |
주관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청 |
연구관리전문기관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
등록번호 |
TRKO201300028983 |
과제고유번호 |
1475006944 |
사업명 |
유해물질 안전관리 연구 |
DB 구축일자 |
2013-09-21
|
키워드 |
질산염.아질산염.다이옥신.PAHs.PCBs.Case analysis.risk management.hazard chemicals.
|
초록
▼
현재 유해물질별 모니터링 및 위해평가 결과로부터 실질적인 정책 활용 방안 및 관리방안 마련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며 유해물질에 대한 연구결과의 정책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외국의 위해관리 방법, 유사사례, 위해관리 현황에 대한 분석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국민들의 식생활 의식수준이 향상되고 식품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품 중에 존재할 수 있는 유해물질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유해물질의 국내외 관리현황을 제고하고 국외의 관리사례를 분석, 비교하여 국내 유해물질 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
현재 유해물질별 모니터링 및 위해평가 결과로부터 실질적인 정책 활용 방안 및 관리방안 마련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며 유해물질에 대한 연구결과의 정책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외국의 위해관리 방법, 유사사례, 위해관리 현황에 대한 분석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국민들의 식생활 의식수준이 향상되고 식품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품 중에 존재할 수 있는 유해물질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유해물질의 국내외 관리현황을 제고하고 국외의 관리사례를 분석, 비교하여 국내 유해물질 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유해물질의 관리현황에 있어서는, 1)현재 국내외의 각국에서는 실정에 맞게 질산염, 아질산염, PAHs, 다이옥신류, PCBs에 대하여 기준치를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2)한국과 미국, 일본, 유럽, 호주 등에서는 TDS나 식품의 품목별로 이러한 유해물질에 대해 모니터링 현황을 조사하였고, 3)국내의 전국민 유해물질 실태조사, 미국의 NHANES, 캐나다의 CHMS 및 일본의 전국 혈중 다이옥신 조사 등의 18건의 대규모 바이오모니터링과 프랑스나 덴마크의 질산염 및 아질산염의 섭취량 추정 연구, 국내 식약청의 식품첨가물 섭취량 평가, 호주의 국가 다이옥신 프로그램 등의 11건의 섭취량 추정을 통한 노출평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국내외 유해물질 관리현황 및 미국, 캐나다, 일본, 유럽, 호주 등 다수 국외의 유해물질 저감화 사례와 위해관리 사례를 분석하여,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단기, 중기, 장기적 관점 및 유해물질별로 위해관리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안이 국내 유해물질 위해관리 정책을 설정하고 시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
Currently, there are difficulties in preparing practical measures to utilize policies and control harmful substances from the results of monitoring and hazard assessment by harmful substance.
Therefore, analysis of hazard control methods, similar cases and the present state of hazard control in f
Currently, there are difficulties in preparing practical measures to utilize policies and control harmful substances from the results of monitoring and hazard assessment by harmful substance.
Therefore, analysis of hazard control methods, similar cases and the present state of hazard control in foreign countries is required to enhance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the results of studies of harmful substances in policies. As the level of people’s sense of diet life has been enhanced and their interest in food safety has increased, their concern about harmful substances that may exist in foods has been increasing.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present states of control of these harmful substances in the country and outside of the country and analyze and compare cases of control in foreign countries to propose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to harmful substance control in Korea.
With regard to the present state of harmful substance control, 1) currently, Korea and various foreign countries have set reference values to control nitrates, nitrites, PAHs, dioxin, and PCBs in accordance with the real states in each country, 2) In Korea, the USA, Japan, Europe, and Australia, the present states of monitoring of those harmful substances were surveyed by item of TDS or foods, 3) Exposure assessments were analyzed through 18 cases of large scaled bio monitoring including the national survey of the present state of harmful substances in Korea, the NHANES in the USA, the CHMS in Canada and the national survey of blood dioxin in Japan and 11 cases of intake estimations including studies to estimate the intake of nitrates and nitrites in France and Denmark, the assessment of intake of food additives b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the national dioxin program of Australia.
In the present study, these present states of harmful substance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nd many cases of harmful substance reduction and cases of hazard control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SA, Canada, Japan, Europe, and Australia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hazard control measures were proposed from short, mid and long-term viewpoints by harmful substance. The measures proposed in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establishing and enforcing harmful substance hazard control policies in Korea.
목차 Contents
- 용역연구개발과제 최종보고서 ... 1
- 표지 ... 2
- 제출문 ... 4
- 목 차 ... 5
- I. 총괄연구개발과제 요약문 ... 11
- 국문요약문 ... 11
- Summary ... 13
- II.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15
- 제1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적 및 필요성 ... 15
- 제2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 34
- 제3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결과 및 고찰 ... 39
- 가. 3차년도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결과 ... 39
- 1. 외국 기관 및 연구보고서 분석 ... 39
- 1-1. 국가별 위해관리 관련 기관 분석 ... 39
- 1-1-1. 미국 ... 39
- 1-1-2. 영국 ... 42
- 1-1-3. 일본 ... 43
- 1-1-4. 프랑스 ... 46
- 1-1-5. 중국 ... 47
- 1-1-6. 호주 ... 48
- 1-1-7. 뉴질랜드 ... 49
- 1-1-8. FAO/WHO JECFA ... 50
- 1-1-9. CODEX 국제식품규격위원회 (Codex A limentarius Commission) ... 50
- 1-1-10. 유럽연합(EU) ... 52
- 1-1-11. 캐나다 ... 53
- 1-2. 국가별 식품위해관련 정보 제공 데이터베이스 ... 55
- 1-2-1. 국내 ... 55
- 1-2-2. 국외 ... 58
- 2. 국가별 및 유해물질별 관리 현황 ... 64
- 2-1 국가별 관리 현황 ... 64
- 2-1-1. 국내 ... 64
- 2-1-2.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 65
- 2-1-3. CODEX (Codex A limentarius Commission) ... 67
- 2-1-4. 영국의 관리 현황 ... 70
- 2-1-5. 미국의 관리 현황 ... 73
- 2-1-6. 일본의 관리 현황 ... 77
- 2-1-7. EU의 관리 현황 ... 79
- 2-1-8. 호주의 관리 현황 ... 80
- 2-1-9. 독일의 관리 현황 ... 81
- 2-1-10. 스웨덴의 관리 현황 ... 82
- 2-1-11. 스페인의 관리 현황 ... 82
- 2-2. 유해물질별 관리현황 ... 83
- 2-2-1. 질산염, 아질산염 관리 현황 ... 83
- 2-2-2. PAHs 관리 현황 ... 96
- 2-2-3. 다이옥신류 관리 현황 ... 103
- 2-2-4. PCBs 관리 현황 ... 115
- 3. 질산염 및 아질산염, PAHs, 다이옥신류, PCBs 모니터링 결과 비교 ... 128
- 3-1. 유해물질별 모니터링 현황 ... 128
- 3-1-1. 국내·외 유해물질 관련 사건·사고에 대한 언론 보도 요약 ... 128
- 3-1-2. 국내 유해물질 관련 모니터링 현황 ... 137
- 3-1-3. 국외 유해물질 모니터링 현황 ... 182
- 3-2. 국내·외 대규모 인체 노출 평가 분석 ... 227
- 3-2-1. 국내 대규모 인체 노출 평가 사업 ... 227
- 3-2-2. 국외 대규모 인체 노출 평가 사업 ... 252
- 4. 유해물질 저감화 대책 ... 397
- 4-1. 소비자 측면 ... 397
- 4-2. 생산자 측면 ... 410
- 4-3. 정부(관리자)측면 ... 428
- 5. 유해물질 위해관리 사례 ... 442
- 5-1. 질산염, 아질산염 ... 442
- 5-2. 다환방향족 탄화수소(PAHs) ... 468
- 5-3. 다이옥신류 및 PCBs ... 488
- 5-4. 국가별 식품사고의 발생과 대응 ... 523
- 5-4-1. 카네미 미강유 PCBs 혼입 사고 ... 523
- 5-4-2. 아일랜드산 돼지고기 검출(DAFF, 2008) ... 526
- 5-4-3. 독일 사료용 유지에서 다이옥신 사고 ... 534
- 5-4-4. 벨기에 다이옥신 사고 ... 540
- 6. 외국 위해관리 사례의 우리나라와의 차이점 분석 ... 545
- 6-1. 선진국 안전관리 시스템의 비교 ... 545
- 6-1-1. 미국의 식품 안전관리 체제 ... 545
- 6-1-2. 캐나다의 식품 안전관리 체제 ... 546
- 6-1-3. 영국의 식품 안전 관리 체제 ... 548
- 6-1-4. 노르웨이의 식품 안전 관리 체제 ... 550
- 6-1-5. 호주의 식품 안전관리 체제 ... 551
- 6-1-6. 뉴질랜드의 식품 안전관리 체제 ... 553
- 6-2. 유해물질 목록 및 관리법 비교 ... 567
- 6-3. 모니터링 조치 및 대처 ... 574
- 6-4. 위해관리사례중심의 차이점 ... 576
- 6-4-1. 소비자를 위한 유해물질 관련 홍보물 비교 ... 576
- 6-4-2. 식품안전정보 검색 ... 585
- 6-4-3. 유해물질 노출 저감화를 위한 노력 ... 589
- 6-4-4. 유해물질 관리사례 분석 ... 591
- 6-5. EU의 PAHs 기준치 개정에 따른 국내 기준치의 재검토 ... 597
- 6-6. 국가별 식품사고 위기 대응 ... 600
- 6-6-1. 국내 ... 600
- 6-6-2. 미국 ... 603
- 6-6-3. 영국 ... 606
- 6-6-4. 독일 ... 608
- 6-6-5. 프랑스 ... 610
- 7. 유해물질 위해관리 방안 제안 ... 611
- 7-1. 단기방안 ... 611
- 7-1-1. 식품안전기관을 통한 유해물질 위해관리 ... 611
- 7-1-2. 법령 및 제도 정비를 통한 유해물질 위해관리 ... 615
- 7-2. 중기방안 ... 620
- 7-2-1. 소비자와의 리스크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유해물질 위해관리 ... 620
- 7-2-2. 수출입 식품에 대한 안전성 확보 ... 623
- 7-3. 장기방안 ... 627
- 7-3-1. 위해성평가 및 유해물질 연구를 통한 위해관리 ... 627
- 7-3-2. 국제화(Globalization)를 통한 유해물질 위해관리 ... 637
- 7-3-3. 소비자와의 리스크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유해물질 위해관리 ... 638
- 7-4. 유해물질별 위해관리 방안 ... 643
- 7-4-1. 질산염, 아질산염 ... 643
- 7-4-2.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 ... 647
- 7-4-3. 다이옥신류, 염화비페닐류(PCBs) ... 649
- 나. 총괄연구개발과제의 고찰 ... 653
- 다. 1, 2, 3차년도 차별화 내용 ... 654
- 제4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 694
- 제5장 총괄주요연구 변경사항 ... 695
- 제6장 총괄참고문헌 ... 696
- 제7장 총괄첨부서류 ... 72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