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민족ㆍ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Ⅳ) : 생산적 다문화사회 구현을 위한 정책의 질적 도약 기반 구축
Policy Paradigm for Transition to Multiethnic/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Ⅳ): Development of Basic Policy Strategies for Productive Multicultural Society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책임자 김이선
참여연구자 정해숙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0-12
과제시작연도 2010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사업 관리 기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등록번호 TRKO201300029394
과제고유번호 1105003543
사업명 인문(한국여성정책연구원)
DB 구축일자 2013-09-28
키워드 productive diversity.intercultural competence.bilingual education.marriage-based immigrant.multicultural family.multicultural society.

초록

1. 2010 협동연구의 방향과 목적
○ 다문화사회의 전개에 있어 문화적 다양성이 지니는 의미
- 이주민의 증가는 사회, 경제, 문화, 정치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상당한 변화를 가져오는데, 여기에는 긍정적, 부정적 측면이 혼재되어 있음•사회, 경제적으로 적지 않은 갈등, 부작용 야기 가능성/ 사회 전반에 걸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새로운 발전의 가능성을 찾는 계기 가능성 공존
- 다문화사회의 긍정적 전개 가능성을 높이고 이를 계기로 새로운 사회발전의 계기를 마련하며, 다문화사회에서 제기되는 부정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

Abstract

An increase of immigrants brings about substantive changes in the extensive areas such as population composition, social relationship, economy, culture, politics and etc. On one hand, it will cause social conflicts and economic problems. On the other hand, it will be a turning point for a new social

목차 Contents

  • 표지 ... 1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 7
  • 발간사 ... 9
  • 연구요약 ... 11
  • 목차 ... 37
  • 표 목차 ... 42
  • 그림목차 ... 44
  • 제1부 협동연구 개요 ... 45
  • I. 협동연구 배경 및 목적 ... 47
  • 1. 다문화사회의 전개와 문화 다양성 관리의 필요성 ... 47
  • 가. 이주와 문화적 지형의 변화 ... 47
  • 나. 이주의 추세와 전망 ... 50
  • 다. 문화 다양성 관리의 필요성 ... 60
  • 2. 생산적 다문화사회의 개념과 실천적 움직임 ... 67
  • 가. 문화 다양성의 가치 ... 67
  • 나. 생산적 다문화사회의 개념과 목표 ... 72
  • 다. 생산적 다문화사회 구현을 위한 현실적 시도 ... 78
  • 3. 다문화가족의 언어.문화적 특수성에 관한 국내 정책의 접근 ... 83
  • 가.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성장 ... 83
  • 나. 다문화가족에 대한 결핍론적 시각의 한계 ... 85
  • 다. 다문화가족의 언어.문화적 특수성에 대한 전향적 접근의 가능성 ... 86
  • 4. 협동연구의 목적 ... 89
  • II. 협동연구의 구성 ... 93
  • 1. 다문화가족의 언어.문화적 역량에 관한 국내 연구 현황 ... 93
  • 가. 언어.문화적 역량의 획득.발전 가능성 ... 94
  • 나. 결혼이민자의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 활동 가능성 ... 98
  • 2. 협동연구 구성 ... 100
  • 3. 총괄과제 추진방법 ... 102
  • 가. 문헌연구 ... 102
  • 나. 협동연구 특별위원회 및 관련부처 관계자 회의 ... 103
  • 다. 연구진 워크숍 ... 103
  • 라. 다문화사회 정책포럼 ... 104
  • 마. 협동연구 세미나 개최 ... 105
  • 4. 세부과제별 개요 ... 105
  • 5. 총괄과제 보고서의 구성 ... 110
  • 제2부 세부과제 주요결과 종합분석 ... 113
  • III. 다문화가족의 언어.문화적 역량 현황과 발전 가능성 ... 115
  • 1. 결혼이민자의 언어.문화적 역동성 경험을 통해 본 적극적 역량 발전 가능성 ... 115
  • 가. 언어.문화적 차이에 대한 부정적 경험 ... 116
  • 나. 동화 지향과 출신문화.언어의 의도적 회피 ... 118
  • 다. 언어.문화세계의 철저한 분리와 한국사회에 적합한 방향으로 역량 조정 기회 부재 ... 121
  • 라. 주류사회 중심의 선택적 수용과 미래지향적 발전가능성의 제약 ... 123
  • 2. 다문화가족 자녀의 언어.문화적 역량 ... 125
  • 가. 언어.문화적 차이에 대한 부정적 태도 ... 125
  • 나. 소수언어에 대한 제한적.소극적 역량 ... 127
  • 다. 글로벌 상호문화지향(global interculturalism)의 영향 ... 129
  • 3. 언어.문화적 역량 발전의 주요 장애요인 ... 132
  • 가. 언어.문화적 역량에 대한 개인적 태도 ... 133
  • 나. 언어.문화 사용을 둘러싼 가족생활환경 ... 137
  • 다. 언어.문화적 역량의 제한된 실용성 ... 140
  • 라. 한국어.한국문화 지배적인 환경 ... 141
  • 마. 언어 지위 및 젠더요인에 따른 장애요인 비교 ... 142
  • 4. 긍정적 발전 가능성 ... 148
  • 가. 긍정적 변화의 계기 ... 148
  • 나. 자녀의 이중언어 역량 발전을 위한 실천의 단면 ... 153
  • IV.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활동 현황 ... 155
  • 1. 사회활동 ... 155
  • 가. 개인적인 활동 ... 156
  • 나. 자조모임 등 집단 활동 ... 158
  • 다. 성과와 한계 ... 159
  • 2. 사회활동성 취업 ... 161
  • 가. 사회활동성 취업의 특성 ... 162
  • 나. 사회활동성 취업자의 경험 ... 166
  • 3. 경제활동 ... 175
  • 가. 비시장부문 일자리 ... 176
  • 나. 민간부문 ... 182
  • 4.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 활동의 과제 ... 186
  • V. 다문화가족의 언어.문화적 역량 구현을 위한 정책 지원 현황과 과제 ... 189
  • 1. 자녀의 언어.문화적 역량 발전을 위한 정책 지원 현황 ... 189
  • 가. 학교를 통한 교육 ... 190
  • 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교육 ... 192
  • 다. 민간단체 등의 교육 ... 193
  • 라. 사례를 통해 본 교육 프로그램의 성격 ... 193
  • 2. 자녀의 언어.문화적 역량 발전을 위한 정책 지원의 성과와 과제 ... 196
  • 가. 교육 참여 경험 ... 196
  • 나. 교육 참여의 성과 ... 199
  • 다. 정책 지원의 과제 ... 204
  • 3.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 활동 지원 정책 현황 ... 207
  • 가. 여성결혼이민자 지원 정책 동향 ... 207
  • 나. 결혼이민자의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 활동 지원 사례 ... 211
  • 4.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 활동 지원 사업의 성과와 과제 ... 218
  • 가. 지원 사업의 성과 ... 218
  • 나. 지원 사업의 과제 ... 222
  • VI. 해외 정책지원 사례 ... 225
  • 1. 일본 ... 225
  • 가. 개괄적 현황 ... 225
  • 나. 자녀 대상 모어교육 지원 배경 ... 227
  • 다. 지자체의 모어교육 지원 사례 ... 230
  • 라. 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본 교육지원의 성격 ... 232
  • 마. 결혼이민자의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 활동 사례 ... 237
  • 2. 대만 ... 240
  • 가. 개괄적 현황 ... 240
  • 나. 자녀대상 모어교육 지원 배경 ... 241
  • 다. 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본 교육 지원의 성격 ... 244
  • 라.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 활동 지원 사례 ... 245
  • 3. 캐나다 ... 247
  • 가. 개괄적 현황 ... 247
  • 나. 이민자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 활동 지원 사례 ... 249
  • 4. 해외 사례의 시사점 ... 256
  • 가. 자녀의 언어.문화적 역량 발전을 위한 지원 ... 256
  • 나. 결혼이민자의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 활동 지원 ... 259
  • 제3부 결론 및 정책제언 ... 263
  • VII. 결론 및 정책제언 ... 265
  • 1. 생산적 다문화사회의 지향점과 다문화가족의 언어.문화적 역량의 중요성 ... 265
  • 2. 다문화가족의 언어.문화적 역량 구현 가능성 ... 266
  • 가. 부정적 측면 ... 266
  • 나. 긍정적 변화 가능성 ... 270
  • 다. 언어.문화의 성격에 따른 역량 구현 가능성의 차이 ... 273
  • 3. 정책제언 ... 274
  • 가. 다문화가족의 문화적 특수성을 인정하는 일관된 정책 기조 확립 ... 274
  • 나. 다양성이 존중되는 가족.사회 환경 촉진 ... 279
  • 다. 다문화사회의 구체적 현실에 적합한 언어.문화자원 개발 방향 설정 ... 284
  • 라. 결혼이민자 자녀의 언어.문화적 역량 발전을 위한 정책기반 강화 ... 285
  • 마. 결혼이민자의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 활동 활성화 ... 293
  • 참고문헌 ... 297
  • Abstract ... 305

표/그림 (1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