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연구책임자 |
김혜영
|
참여연구자 |
김은지
,
최인희
,
선보영
,
이재호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0-11 |
과제시작연도 |
2010 |
주관부처 |
국무조정실 |
연구관리전문기관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등록번호 |
TRKO201300029575 |
과제고유번호 |
1105003054 |
DB 구축일자 |
2014-01-13
|
초록
▼
제2절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본 연구의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저출산․고령화 추이를 검토하고, 나아가 이러한 가족변화를 야기하는 가족내․외적 요인을 살펴보았다.
둘째, 최근 한국과 중국의 주요한 가족변동의 특징적 변화와 함께 가족관련 쟁점들을 살펴보는 한편, 가족 변화는 필수적으로 가족의 기능변화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가족의 구조변동으로 인한 자녀출산 및 돌봄,노인돌봄의 기능 변화를 논의하였다.
셋째, 가족돌봄의 기능적 공백에 대응하는 한국과 중국의 주요 정책기조와 지원범주 및 방식
제2절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본 연구의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저출산․고령화 추이를 검토하고, 나아가 이러한 가족변화를 야기하는 가족내․외적 요인을 살펴보았다.
둘째, 최근 한국과 중국의 주요한 가족변동의 특징적 변화와 함께 가족관련 쟁점들을 살펴보는 한편, 가족 변화는 필수적으로 가족의 기능변화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가족의 구조변동으로 인한 자녀출산 및 돌봄,노인돌봄의 기능 변화를 논의하였다.
셋째, 가족돌봄의 기능적 공백에 대응하는 한국과 중국의 주요 정책기조와 지원범주 및 방식, 핵심정책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넷째, 양국의 가족변화와 이에 대한 대응전략이 갖는 비교사회적 특성 및 양국의 경험이 갖는 정책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내용을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에 대한 다양한 문헌연구을 살펴보는 동시에 중국의 국가통계국이나 UN, OECD의 부분별 통계자료, 중국 내에서 활용되고 있는 사회조사결과 자료 등 을 활용하였다. 또한 2006년 중국의 가족실태조사 원자료 및 2005년 한국가족실태조사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양국의 가족현실에 대한 객관적인 비교를 시도하였다.
뿐만 아니라 가족내 다양한 문제와 역동적인 변화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층인터뷰와 집단초점인터뷰를 병행실시하였다. 집단초점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및 심층인터뷰는 한국과 중국의 유자녀기혼남녀를 대상으로 2010년 6월 초순부터 8월 중순에 걸쳐 진행되었다.
최근 중국내에서 부각되고 있는 가족관련 정책의제 검토와 관련해서는 신문기사 분석과 인터넷 게시판 검색을 활용하였는데, 이 연구에서는 인민일보(人民日報), 강남시보(江南時報), 환구시보(環球時報) 등의 신문과 인터넷 사이트 인민망, 중국관영통신 신문망 등을 주로 살펴보았다.
Abstract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family changes in Korea and China, and 2) to compare child-care and elder-care policies, both have often been regarded as family responsibilities, in both countries. Both Korean and Chinese families have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in terms of family 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family changes in Korea and China, and 2) to compare child-care and elder-care policies, both have often been regarded as family responsibilities, in both countries. Both Korean and Chinese families have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in terms of family structure, family dynamics, and family values in the past several decades largely due to rapid socioeconomic developments and urbanization, as well as population change such as low fertility rate and population aging. Families in both countries share similar characteristics in spite of their different political background (i.e., capitalism and socialism) in that they emphasize family relationships and support and these two countries have been put at the crossroads of traditional and modern values. In addition, both Korean and Chinese governments had in common in terms of population policy: the Korean government employed birth control policy back in 1970s and the Chinese government still employs very strict birth control policy known as one-child policy.
However, families in Korea and China have very distinctive features as well. Although family remains as a major pillar of the social support network in both countries, families in Korea have experienced rapid changes and show many post-modern aspects of family(e.g., individualism) whereas Chinese families have been modernized through socialism – are still being modernized due to continuing low-fertility and market reform. With respect to family structure and family norms, China still shows bigger family size and more features of patrilocality and Confucianism that emphasizes family hierarchy and social and family harmony. In addition, sense of socioeconomic equality of women is higher in China than Korea as women’s social participation is accepted as a given social fact. In fact, in terms of family finance and ownership, sense of equality is even higher in China. While limited to some urban areas, male housework participation is rather high.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 3
- 목차 ... 4
- 표목차 ... 8
- 그림목차 ... 12
- 요약 ... 14
- 제1장 서 론 ... 4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41
- 제2절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 44
- 제2장 이론적 논의 ... 54
- 제1절 선행연구 검토 ... 54
- 제2절 한국과 중국의 가족변화: 수렴과 분화 ... 57
- 제 1부 한국의 가족변동과 지원정책 ... 61
- 제3장 한국 가족변동의 특징과 돌봄위기 ... 62
- 제1절 한국 사회변동의 주요기제 ... 62
- 제2절 가족변화의 추이와 특징: 다양성 증가와 돌봄기능의 위기 ... 73
- 제3절 가족실태조사를 통해서 본 한국 가족 ... 85
- 제4절 소결 ... 100
- 제4장 한국 가족지원체계와 돌봄정책 현황 ... 103
- 제1절 자녀돌봄의 현황과 지원체계 ... 103
- 제2절 노인돌봄의 현황과 지원체계 ... 123
- 제3절 소결 ... 137
- 제 2부 중국의 가족변화와 정책현황 ... 140
- 제5장 중국 가족변동의 특징과 주요 쟁점 ... 141
- 제1절 중국 사회변동의 주요 기제와 결과 ... 141
- 제2절 중국 가족의 변화추이 및 특성 ... 155
- 제3절 가족실태조사를 통해서 본 중국 가족 ... 162
- 제4절 소결 ... 181
- 제6장 중국 가족지원체계와 돌봄정책 현황 ... 184
- 제1절 중국 가족지원체계의 특징 ... 184
- 제2절 중국의 자녀돌봄 현황과 지원체계 ... 208
- 제3절 중국의 노인돌봄 현황과 지원체계 ... 223
- 제4절 소결 ... 234
- 제 3부 한국과 중국의 주요 정책쟁점 및 정책과제 ... 239
- 제7장 주요 정책쟁점 및 함의 ... 240
- 제1절 한국과 중국의 가족특성 비교 ... 240
- 제2절 한국과 중국의 자녀돌봄 현황 및 정책:평가와 과제 ... 243
- 제3절 한국과 중국의 노인돌봄 현황 및 정책:평가와 과제 ... 246
- 제4절 정책적 함의 ... 248
- 참고문헌 ... 254
- Abstract ... 26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