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주관연구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
연구책임자 | 김경희 |
참여연구자 | 김둘순 , 최유진 , 장윤선 , 문희영 , 박기남 , 장정순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2-12 |
과제시작연도 | 2012 |
주관부처 | 여성가족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
등록번호 | TRKO201300031691 |
과제고유번호 | 1105006901 |
사업명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DB 구축일자 | 2013-12-21 |
1. 연구배경 및 목적
2012년은 「성별영향분석평가법」이 시행된 원년으로 성 주류화 제도 정착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고 있다.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의 목적은 정책이나 법령 등이 여성과 남성에게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예측하고, 분석・평가하여 차별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도출하는 것이며, 동시에 이를 정책과정에 반영하여 실질적이고 결과적인 성평등 사회를 이루는 것이다.
그간의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에 관한 연구를 보면 추진체계 및 도구개발에 집중된 반면, 성별영향분석평가 환류 및 정책 개선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편이다. 또한
This study, a fifth-year study on effective establishment for GM-related systems, aims to explore the effective measures to implement the outcomes of Gender Impact Assessment(GIA). With its 7-year experience to practice GIA, Korea government enforced the Act on Gender Impact Assessment in 2012. Thou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