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R&D연구보고서] 성 주류화 관련제도의 효과적 정착을 위한 연구(V) : 성별영향분석평가 과제분석과 환류 활성화 방안
Research on the Effective Establishment of the Gender Mainstreaming System(Ⅴ): Activation Measures to Implement Policy Recommendations of Gender Impact Assessmen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책임자 김경희
참여연구자 김둘순 , 최유진 , 장윤선 , 문희영 , 박기남 , 장정순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12
과제시작연도 2012
주관부처 여성가족부
연구관리전문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등록번호 TRKO201300031691
과제고유번호 1105006901
사업명 한국여성정책연구원
DB 구축일자 2013-12-21

초록

1. 연구배경 및 목적
2012년은 「성별영향분석평가법」이 시행된 원년으로 성 주류화 제도 정착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고 있다.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의 목적은 정책이나 법령 등이 여성과 남성에게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예측하고, 분석・평가하여 차별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도출하는 것이며, 동시에 이를 정책과정에 반영하여 실질적이고 결과적인 성평등 사회를 이루는 것이다.
그간의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에 관한 연구를 보면 추진체계 및 도구개발에 집중된 반면, 성별영향분석평가 환류 및 정책 개선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편이다. 또한

Abstract

This study, a fifth-year study on effective establishment for GM-related systems, aims to explore the effective measures to implement the outcomes of Gender Impact Assessment(GIA). With its 7-year experience to practice GIA, Korea government enforced the Act on Gender Impact Assessment in 2012. Thou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 간 사 ... 3
  • 연구요약 ... 5
  • 목 차 ... 17
  • 표 목 차 ... 21
  • 그 림 목 차 ... 27
  • Ⅰ 서 론 ... 29
  • 1. 연구배경 및 목적 ... 30
  • 2. 이전 년도 연구와의 연속성 및 차별성 ... 34
  • 3. 연구내용 ... 36
  • 4. 연구추진방법 ... 37
  • 가. 문헌연구 ... 37
  • 나. 면접조사 및 전문가 초점집단 면접조사(FGI) ... 37
  • 다. 공무원 설문조사 ... 38
  • 라. 해외 전문가 면담 및 국제 심포지엄 개최 ... 38
  • 마. 자문회의 운영 ... 39
  • 바. 성 주류화 포럼 운영 ... 40
  • 사. 성별영향분석평가 국・영문 홍보물 제작 ... 41
  • 아. 지역 연구기관과 공동연구 및 연구결과 홍보 ... 42
  • 5. 연구추진체계 ... 45
  • 6. 기대효과 ... 46
  • Ⅱ 성별영향분석평가 결과 환류 활성화에 관한 논의 ... 48
  • 1.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 의의 및 환류의 개념 ... 49
  • 가.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의 의의 ... 49
  • 나. 환류의 개념과 유형 ... 50
  • 2. 성별영향분석평가 결과 환류 활성화 요인 ... 55
  • 가. 성별영향분석평가 결과 환류를 위한 법・제도적 장치 ... 55
  • 나. 거버넌스에 기초한 환류 추진체계 ... 60
  • 3. 연구 분석틀 ... 65
  • Ⅲ 국제사회의 정책개선을 위한 성 주류화 동향 ... 69
  • 1. 성별영향분석평가와 성 주류화의 실행 : 국제 심포지엄결과를 중심으로 ... 70
  • 가. 국제 심포지엄 개요 ... 70
  • 나. 발제의 핵심 내용 ... 71
  • 다. 종합분석 및 시사점 ... 76
  • 2. 성별영향분석평가와 성 주류화의 실천 : 전문가 면담 결과를 중심으로 ... 79
  • 가. 면담 개요 ... 79
  • 나. 캐나다의 성 분석(GBA)과 성 주류화 실행 ... 81
  • 다. 소결 및 정책적 함의 ... 88
  • Ⅳ 한국의 성별영향분석평가 정책개선안 현황 ... 90
  • 1. 사업분야별 성별영향분석평가 현황 ... 91
  • 2. 사업분야별 성별영향분석평가 정책개선안 현황 ... 98
  • 3. 소결 ... 172
  • Ⅴ 성별영향분석평가 정책환류 사례분석 ... 175
  • 1. 사례분석의 틀과 의의 ... 176
  • 2. 농촌교육농장사업 ... 178
  • 가. 사례 개요 ... 178
  • 나. 분석과 환류 ... 180
  • 다. 환류 성공요인과 과제 ... 185
  • 3. 지역축제사업 ... 193
  • 가. 사례 개요 ... 193
  • 나. 분석과 환류 ... 195
  • 다. 환류 성공요인과 과제 ... 196
  • 4. 노인일자리사업 ... 209
  • 가. 사례 개요 ... 209
  • 나. 분석과 환류 ... 210
  • 다. 환류 성공요인과 과제 ... 213
  • 5. 공원조성사업 ... 222
  • 가. 사례 개요 ... 222
  • 나. 분석과 환류 ... 223
  • 다. 환류 성공요인과 과제 ... 225
  • 6. 국내초청연수사업 ... 232
  • 가. 사례개요 ... 232
  • 나. 분석과 환류 ... 234
  • 다. 환류 성공요인과 과제 ... 235
  • 7. 소결 ... 248
  • Ⅵ 성별영향분석평가 환류활성화에 관한 의견조사 ... 252
  • 1. 환류 활성화에 관한 공무원 의견 ... 253
  • 가. 설문조사 개요 ... 253
  • 나.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 257
  • 다. 성별영향분석평가 제도 및 성과에 대한 인식 ... 259
  • 라. 성별영향분석평가 수행과정 참여경험 ... 271
  • 마. 성별영향분석평가 결과의 정책환류 추진현황 ... 276
  • 바. 성별영향분석평가 결과의 정책환류 활성화 방안 ... 289
  • 2. 환류 추진체계에 관한 전문가 의견 ... 297
  • 가. 전문가 초점집단 면접조사(FGI) 개요 ... 297
  • 나. 전문가 초점집단 면접조사 분석 ... 300
  • 3. 소결 ... 307
  • 가. 조사개요 요약 ... 307
  • 나. 조사결과 요약 ... 307
  • Ⅶ 성별영향분석평가 환류활성화 방안 ... 314
  • 1. 법・제도적 환경 개선 ... 315
  • 가. 성별영향분석평가법에 환류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스 근거 규정 마련 ... 315
  • 나. 성별영향분석평가 지침에 성별영향분석평가 총괄계획서 및 환류이행실적 보고서 작성 근거마련 ... 317
  • 다. 지방재정법 시행령에 성별영향분석평가와 성인지 예산 연계의근거 규정 마련 ... 320
  • 2. 추진체계와 책임성 강화 ... 322
  • 가. ‘성 주류화 위원회(가칭)’ 및 성별영향분석평가 분과의 신설 ... 322
  • 나. 기관별 성별영향분석평가위원회의 구성과 ‘성인지 담당관’ 운영 ... 323
  • 다. 성별영향분석평가 업무분장의 명시와 공무원 교육 강화 ... 324
  • 라. 성별영향분석평가센터의 전문성과 예산지원 확대 ... 325
  • 3. 젠더 거버넌스와 모니터링 확산 ... 327
  • 가. 현장중심형 거버넌스에 기초한 성별영향분석평가 확산 ... 327
  • 나. 성별영향분석평가 정책환류 가이드(안) 개발 ... 328
  • 참고문헌 ... 332
  • 부 록 ... 337
  • <부록 1> 공무원 의견 조사 설문지 ... 338
  • <부록 2> 성별영향분석평가 정책개선・환류 사례 ... 351
  • 참고자료 ... 412
  • Abstract ... 42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