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주관연구기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
보고서유형 | 2단계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3-07 |
과제시작연도 | 2012 |
주관부처 |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
등록번호 | TRKO201300035055 |
과제고유번호 | 1345175792 |
사업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DB 구축일자 | 2013-12-21 |
키워드 | 메타게놈, 뱔현숙주, 발현카세트, 무세포 단백질 생산, 유전자 회로, 합성생물학, 효소Metagenome, Expression host, Expression cassette, Transposon, Cell-free synthesis, Synthetic biology, Enzyme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300035055 |
본 연구는 미래 바이오자원의 보고인 메타게놈을 신속하게 탐색하고 고부가가치 바이오촉매자원을 발굴 가능케 하는 기반 기술 개발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함.
● 기능유전체정보를 바탕으로 범용 메타게놈 라이브러리 숙주인 대장균의 스트레스반응을 규명하고, 재설계하며, T7 RNA 중합효소 및 T7 프로모터 도입에 의한 메타게놈 강제전사 도구를 개발하여 메타게놈 맞춤형 발현 호스트 및 벡터시스템 개발을 시도함.
● 메타게놈 유전자에 내재되어 있는 발현조절 정보가 발현숙주인 대장균에서 기능할 수 없거나, 타겟 단백질의 발현
본 연구는 미래 바이오자원의 보고인 메타게놈을 신속하게 탐색하고 고부가가치 바이오촉매자원을 발굴 가능케 하는 기반 기술 개발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함.
● 기능유전체정보를 바탕으로 범용 메타게놈 라이브러리 숙주인 대장균의 스트레스반응을 규명하고, 재설계하며, T7 RNA 중합효소 및 T7 프로모터 도입에 의한 메타게놈 강제전사 도구를 개발하여 메타게놈 맞춤형 발현 호스트 및 벡터시스템 개발을 시도함.
● 메타게놈 유전자에 내재되어 있는 발현조절 정보가 발현숙주인 대장균에서 기능할 수 없거나, 타겟 단백질의 발현에 특수한 발현조건이 필요하거나, 혹은 발현된 단백질의 특성상 숙주세포 내 발현이 어려운 메타게놈 유래 난발현 단백질 생산에 적용할 수 있는 무세포 단백질 발현기술을 개발함.
● 메타게놈 유래 효소가 극미량만 발현되어도 그 활성을 감지할 수 있는 고감도 유전자회로 프로그래밍 기술을 개발하여 신기능 효소 탐색에 적용함.
● 메타게놈 강제발현 시스템 개발: 다양한 메타게놈 유래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할 수 있는 발현 카세트 및 트랜스포존 시스템을 개발하여 최적화하고 무세포 단백질 발현 시스템 및 유전자회로 기반 효소활성 탐색 기술과 연계하기 위한 조건을 수립함.
● 고효율 무세포 단백질 개량발현 기술: 메타게놈 유래 신규 효소의 활성이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아미노산 잔기 (hot-spots)를 고속으로 탐색하고 이를 조합적으로 변이시킴으로써 효소활성과 특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고효율의 효소 개량 기술을 개발함.
● 메타게놈 효소탐색 합성생물학기술: 강제전사기술(FT: Forced Transcription)과 합성생물학적 효소탐색기술 (GESS: Genetic Enzyme Screening System)을 최적화하며 연계 기술을 개발하여 메타게놈 유래 효소 유전자 탐색효율을 극대화함. 나아가 실제 메타게놈 라이브러리 탐색을 통하여 개발 기술의 실효성을 입증하고 신규 유용효소를 발굴하여 자원화 함.
● 통합적 HTS 연계를 위한 발현 및 탐색기술: 강제발현 시스템, 무세포 개량발현, 효소탐색 기술을 통합적 HTS시스템으로 구현하기 위한 연계기술 및 운용 프로토콜을 개발함.
For high-throughput discovery of the high-value added novel biocatalysts from metagenome, the treasure of bio-resources for the future, we aim to develop a forced expression system, cell-free protein improvement and synthesis system, and synthetic biology based enzyme activity detection system. Furt
For high-throughput discovery of the high-value added novel biocatalysts from metagenome, the treasure of bio-resources for the future, we aim to develop a forced expression system, cell-free protein improvement and synthesis system, and synthetic biology based enzyme activity detection system. Further, we will develop an integrated system between the above mentioned techniques.
1. Development of E. coli strain for highly efficient expression of metagenome
To obtain a highly efficient soil metagenome library, we first optimized several steps such as the sample preparation, removal of humic substances, and cloning into fosmid vector. To understand the stress responses of E. coli cells upon construction of metagenomic library and to identify the putative engineering targets to develop better metagenome host, we carried out transcriptome profiling of E. coli strains upon introduction of low- and high-copy number metagenomic fosmid libraries. Furthermore, to remodel the genome of E. coli EPI300 metagenome library host, we constructed recombination systems based on suicide vector and recA and lambda recombinase and employed to delete the ompT and lon protease gene.
2. Development of techniques to maximize the expression of metagenome
We first constructed a lysogen carrying λDE3 which harbors T7 RNA polymerase and confirmed its operation by examining the inducible expression of a target gene cloned under the T7 promoter. To direct expression of metagenomic DNA, we employed transposon mediated random insertion of T7 promoter into fosmid library clone and induction in host expressing T7 RNA polymerase. In addition, we developed a bidirectional expression module which carries at both ends a T7 promoter sequence, multiple RBS, and initiation codons in three-frame to apply for construction of multi-fragment metagenome fosmid clones and expression vectors.
3. Improvement of cell-free protein synthesis system based on E. coli extracts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s and time of the current cell-free protein synthesis system based on cell extracts of E. coli, we simplified the process for cell extract preparation and developed dual energy supply system by employing creatine phosphate and glucose. Moreover,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to develop a new cell-free protein synthesis system by using the RNA polymerase of E. coli instead of T7 RNA polymerase.
4. Development of non-E. coli based cell-free protein synthesis system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