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2-01 |
과제시작연도 |
2011 |
주관부처 |
농림축산식품부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
연구관리전문기관 |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
등록번호 |
TRKO201400001085 |
과제고유번호 |
1545003225 |
사업명 |
2011 수의과학기술개발연구 |
DB 구축일자 |
2014-08-16
|
키워드 |
등에모기.소.아보바이러스.Culicoides biting midges.cattle.arbovirus.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400001085 |
초록
▼
5. 최종 연구결과 요약
◦세부과제명: 국내에 소 목장 주변에 서식하는 등에 모기 종 (species) 조사
- 등에모기 채집을 위한 세부 매뉴얼을 작성하여 협력기관인 경남남부지소 (통영) 및 전남 남부지소 (강진)에 배포하여 등에모기 채집시 이용
- 하반기에 추가적으로 경기도 고양의 젖소개량사업소 1곳 추가 지정하여 채집
- 5~10월 (6개월)에 각 지소별 1곳의 소 농장을 지정하여 매주 1회 등에모기를 채집하여 송부
- 10월 중순까지 강진 지역은 총 19회, 통영지역은 총 17회, 경기도 고양지역은
5. 최종 연구결과 요약
◦세부과제명: 국내에 소 목장 주변에 서식하는 등에 모기 종 (species) 조사
- 등에모기 채집을 위한 세부 매뉴얼을 작성하여 협력기관인 경남남부지소 (통영) 및 전남 남부지소 (강진)에 배포하여 등에모기 채집시 이용
- 하반기에 추가적으로 경기도 고양의 젖소개량사업소 1곳 추가 지정하여 채집
- 5~10월 (6개월)에 각 지소별 1곳의 소 농장을 지정하여 매주 1회 등에모기를 채집하여 송부
- 10월 중순까지 강진 지역은 총 19회, 통영지역은 총 17회, 경기도 고양지역은 총 5회 채집하여 총 14,349마리를 채집
- C. punctatus가 89.4% (12830마리), C. arakawae가 5.2% (751마리), C. oxystoma가 2.5% (354마리), C. maculatus가 2.6% (369마리), 기타 0.8% (83마리)을 차지하여 주요 등에모기종으로 확인됨
- 채집된 등에모기에서 아보바이러스 검출 실험 (RT-PCR법 등)에서는 국내 주요서식 등에모기 5종 중 2종 (C. punctatus와 C. arakawae)에서만 5종(아까바네, 이이노, 츄잔, 소유행열, 이바라끼)의 아보바이러스가 검출됨
o 제2세부과제명:국내 주요 아보바이러스를 전파하는 등에모기종 조사
- 등에모기 채집을 위해 2010년도에 아보바이러스성 기립불능우가 발생했던 남원소재 한우 농장 1개소를 선정하여 등에모기 전용 채집기를 이용하여 5월부터 10월 까지 주 1회 등에모기를 채집
- 10월 말 까지 총 2,765마리의 등에모기를 채집하였고 이중 Culicoides punctatus가 2,022마리(73.1%)로서 압도적으로 많았고 C. arakawae가 418(15.1%), C. erairai 가 181 (6.6%), C. maculatus와 C. oxystoma가 각각 72(2.6%)로 나타남
- 시기적으로 C. punctatus의 경우 5-6, 7-8월에 가장 많이 확인되었고 9월 이후에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C. arakawae는 8월에 가장 많이 채집됨
- 동정된 등에모기에 대한 아보바이러스 유전자 검출결과 C. punctatus, C. arakawae에서 5종 아보바이러스(Aino, Akabane, BEFV, Chuzan, Ibaraki)가 모두 검출되어 주요 아보바이러스를 전파하는 등에모기종으로 나타남
- 동정된 등에모기를 감수성 세포에 접종하여 아보바이러스를 분리한 결과 바이러스는 분리되지 않음
Abstract
▼
Results : A total of 2,765 Culicoides biting mideges were collected. C. punctatus, C. arakawae, C. erairai C. oxystoma and C. maculatus were 73.1%, 15.1%, 6.6%, 2.6%, 2.6%, respectively. We found that those species were main midges in Korea. All arboviruses (Akabane virus, Aino virus, Chuzan virus a
Results : A total of 2,765 Culicoides biting mideges were collected. C. punctatus, C. arakawae, C. erairai C. oxystoma and C. maculatus were 73.1%, 15.1%, 6.6%, 2.6%, 2.6%, respectively. We found that those species were main midges in Korea. All arboviruses (Akabane virus, Aino virus, Chuzan virus and bovine ephemeral fever virus, Ibaraki virus) were detected from only C. punctatus and C. arakawae by RT-PCR. Therefore we confirmed that those species were main Culicoides biting midges transmitting arboviruses. Moreover, no arbovirus was isolated from all Culicoides species.
목차 Contents
- 총괄요약표 ... 1
- I. 연구배경 및 목표 ... 3
- 1. 연구배경 ... 3
- 2. 연구최종목표 ... 4
- 3.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4
- II. 연구방법 및 수행전략 ... 5
- 1. 재 료 ... 5
- 2. 연구전략 및 방법 ... 5
- III. 연구결과 ... 6
- IV. 연구결과요약 ... 10
- V. 고 찰 ... 11
- VI. 연구결과 활용실적 및 계획 ... 11
- IX. 참고문헌 ... 11
- X. 영문초록 ... 12
- 끝페이지 ... 1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