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교-대학 연계를 위한 대입 전형 연구(Ⅶ):고교-대학 연계 실천 모델 및 운영 방안 개발
Development of Action Models for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Operation Strategy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교육개발원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연구책임자 정광희
참여연구자 박병영 , 조덕주 , 한혜정 , 이관희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0-12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사업 관리 기관 한국교육개발원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등록번호 TRKO201400001940
DB 구축일자 2014-04-19

초록

이 연구는 고교와 대학의 교육 연계라고 하는 관점을 가지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다양한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 한국적 사회 여건과 요구에서 현재 추진되어야 할 연계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고교와 대학의 교육 연계라고 하는 관점은 그 동안 한국교육개발원에서는 2004년부터 수행된 일명 KEDI 8년 연구의 일관된 관점이며, 본 연구는 그 7차에 해당하는 연구이다.
고교-대학 연계란, ‘고교의 교육이 대학의 교육으로 원활하게 이행되는 것’으로, 내용면에서는 “내용면에서 개별 학습자 고유의 능력, 개성, 흥미 등이 고교를 거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iverse models and to develop action plans in order to practice linking high school and college education.
In this study,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education is defined as linking high school and college education without disconnection

목차 Contents

  • 표 지 ... 1
  • 머 리 말 ... 3
  • 연구 요약 ... 5
  • 차 례 ... 19
  • 표 차 례 ... 24
  • 그 림 차 례 ... 27
  •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29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1
  • 가. 연구의 필요성 ... 31
  • 나. 연구의 목적 ... 33
  • 2. 연구 내용 ... 35
  • 3. 연구 방법 ... 37
  • 가. 문헌 연구 ... 37
  • 나. 설문지 조사 ... 37
  • 다. 면담 조사 및 원고 용역 ... 38
  • 라. 의견 수렴 ... 41
  • Ⅱ 고교-대학 연계에 대한 이론적 탐색 ... 43
  • 1. 고교-대학 연계 연구 동향 ... 45
  • 가. 논의 배경 ... 45
  • 나. KEDI 고교-대학 연계 연구: 1∼6차 연도 연구 성과와 7차 연도 연구 과제 ... 54
  • 다. 고교-대학 연계에 대한 국제적 연구 및 실천 동향 ... 62
  • 2. 고교-대학 연계 모델 개발을 위한 접근틀 ... 68
  • 가. 학습형 연계 ... 69
  • 나. 진로형 연계 ... 71
  • 다. 선발형 연계 ... 73
  • 라. 연계 시스템 운영 ... 74
  • Ⅲ 고교-대학 연계 현황과 요구 수준 분석 ... 77
  • 1. 조사 개요 및 분석 방법 ... 79
  • 가. 조사 대상 ... 79
  • 나. 조사 방법 ... 81
  • 다. 조사 항목 ... 82
  • 라. 분석 방법 ... 84
  • 마. 응답자 특성 ... 84
  • 2. 고교-대학 연계 현황 ... 86
  • 가. 고교-대학 연계 인식 ... 86
  • 나. 고교-대학 상호 이해 정도 ... 89
  • 다. 진학 지도 활용 정보 ... 95
  • 라. 고교-대학 연계 실태 ... 96
  • 3. 고교, 대학 관계자 요구 분석 ... 99
  • 가. 전공 분야별 연계 필요성 인식 ... 99
  • 나. 고교-대학 연계 항목별 필요성 인식 ... 101
  • 다. 고교-대학 연계 전형에 대한 인식 ... 109
  • 라. 고교-대학 연계 해결 과제 및 요구 사항 ... 111
  • 4. 시사점 ... 113
  • Ⅳ 국내 고교-대학 연계 사례 분석 ... 117
  • 1. 학습형 연계 사례 ... 119
  • 가. 포항제철고등학교 전문 교과 프로그램 ... 119
  • 나. 한양대학교-상일여자고등학교 프로그램 연계 사례 ... 121
  • 다. 대학선이수제(University-level Program: UP) ... 122
  • 2. 진로형 연계 사례 ... 126
  • 가. 서울대학교 고교 지원 프로그램 ... 126
  • 나. 포항공과대학교의 이공계 학과 대탐험 프로그램 ... 133
  • 다. 포항공과대학교 잠재력 개발 과정 ... 135
  • 라. 부산대학교 입학사정관제 전형 체험 활동 ... 138
  • 3. 선발형 연계 사례 ... 140
  • 가. 한국과학영재학교 특별 전형 ... 140
  • 4. 연계 시스템 운영 사례 ... 142
  • 가. 부산시 교육청 ... 142
  • 나. 대학교육협의회 콜센터 운영 ... 149
  • 5. 분석 결과 요약: 특징과 과제 ... 151
  • 가. 학습형 연계 ... 151
  • 나. 진로형 연계 ... 152
  • 다. 선발형 연계 ... 153
  • 라. 연계 시스템 운영 ... 153
  • Ⅴ 외국의 고교-대학 연계 사례 분석 ... 157
  • 1. 학습형 연계 사례 ... 159
  • 가. 호주 퀸즈랜드의 고교-대학 연계 프로그램 ... 159
  • 나. 일본 리츠메이칸(立命館)대학의 협정교 프로그램 ... 161
  • 2. 진로형 연계 사례 ... 163
  • 가. 일본 ‘대학 콘소시엄 교토’(京都) 주관의 ‘배움의 장’ ... 163
  • 나. 일본 오이타(大分)대학교의 캠퍼스 대사 제도 ... 163
  • 다. 일본 각 대학의 오픈 캠퍼스 ... 165
  • 라. 프랑스의 ‘성공의 밧줄’(Cordées de la réussite) 정책 ... 167
  • 3. 선발형 연계 사례 ... 173
  • 가. 공통 시험 운영의 선발 연계: 미국 오레곤주의 PASS ... 173
  • 나. 호주의 GriffChem, GriffPhys, GUEST 프로그램 ... 174
  • 다. 일본의 지정교 진학 ... 175
  • 라. 일본 추오(中央)대학의 ‘기후(岐阜) 어카운팅 프로그램’ ... 176
  • 마. 일본 메이조(明城)대학의 인간학부와 부속고등학교의 국제반: 7년 일관 교육과정 운영 ... 176
  • 바. 프랑스의 교육 특혜 지구와의 협정(Conventions Education Prioritaire) ... 179
  • 4. 연계 시스템 운영 사례 ... 179
  • 가. 일본의 ‘대학 콘소시엄 교토’와 고교-대학 연계 ... 179
  • 나. 일본의 ‘교육 네트워크 추고쿠’(中國) ... 184
  • 다. 호주의 Science On The Go 프로그램(SOTG) ... 187
  • 5. 특징 및 시사점 ... 188
  • 가. 학습형 연계 ... 188
  • 나. 진로형 연계 ... 189
  • 다. 선발형 연계 ... 190
  • 라. 연계 시스템 운영 ... 192
  • Ⅵ 고교-대학 연계 유형별 실천 방안 및 KEDI 연계 모델(안) ... 195
  • 1. 연계 유형별 실천 방안 ... 197
  • 가. 학습형 연계의 실천 방안 ... 198
  • 나. 진로형 연계 실천 방안 ... 217
  • 다. 선발형 연계 실천방안 ... 225
  • 라. 연계 시스템 운영 방안 ... 230
  • 마. 실천 방안의 기대 효과 ... 235
  • 2. KEDI 제안: 지역 교육 활성화를 위한 고교-대학 연계 모델 ... 237
  • 가. 기본 관점 ... 237
  • 나. 추진 내용 ... 238
  • Ⅶ 요약 및 정책 제언 ... 251
  • 1. 요약 ... 253
  • 가. 연구의 목적과 방법 ... 253
  • 나. 고교-대학 연계에 대한 이론적 탐색 ... 255
  • 다. 고교-대학 연계 실천 현황과 요구 수준 ... 259
  • 라. 국내 고교-대학 연계 실천 사례와 시사점 ... 262
  • 마. 국외 고교-대학 연계 실천 사례와 시사점 ... 264
  • 바. 고교-대학 연계 유형별 실천 방안과 KEDI의 연계 모델 ... 268
  • 2. 정책적 제언 ... 274
  • 가. “교육 파트너”로서의 고교와 대학 관계 재인식과 정책적 지원 ... 275
  • 나. 고교 교육의 정상화라는 일관된 목표 공유 ... 277
  • 다. 평등한 고교=대학의 협력 관계 유지를 위한 제3자적 관점의 역할자 필요 ... 278
  • 라. 선발형 연계의 실험적 운영 ... 279
  • 마. 연계 시스템 운영과 정책적 지원 ... 281
  • 바. 연계를 위한 핵심 리더들의 인식 변화와 협력 자원 확보 ... 282
  • 사. 연계 실천을 위한 기반 정비 ... 283
  • 참 고 문 헌 ... 285
  • ABSTRACT ... 295
  • 부 록 ... 305
  • [부록 1] 고등학교 진학부장 및 3학년 담임교사 설문 조사지 ... 307
  • [부록 2] 대학 입학처장 및 입학사정관 설문 조사지 ... 316
  • 끝페이지 ... 326

표/그림 (1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