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수단 영향을 고려한 도시부 도로의 서비스 수준 평가방법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Preliminary Study of the Introduction of Multimodal Level of Service in Urban Street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책임자 박준석
참여연구자 오주택 , 이상용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11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사업 관리 기관 한국교통연구원
등록번호 TRKO201400002961
과제고유번호 1105007345
사업명 한국교통연구원
DB 구축일자 2014-08-28

초록

1. 서론
가.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기존 자동차 이용자 중심의 도로에서 보행자, 자전거 및 대중교통 이용자를 포함한 모든 도로 이용자 중심의 완전도로(Complete Streets)1)로 ‘도로사용’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도로선진국인 미국의 TEA-21(Transportation Equity Act for the 21st Century)에서는 도로를 사용하는 모든 이용주체를 위한 서비스 수준 평가 전략을 제시함에 따라 약 4년간의 R&D(Research and Development) 연구를2) 통해 도

Abstract

The paradigm of road plan and design has been currently changed to a multiuser oriented road rather than a auto oriented one. Up to recently, the volume and speed of the automobiles have been the dominant factor to determine the figures of the roads. However, the current road policy stresses that al

목차 Contents

  • 표 지 ... 1
  • 서 문 ... 3
  • 목 차 ... 5
  • 표목차 ... 7
  • 그림목차 ... 12
  • 요 약 ... 13
  • 제1장 서 론 ... 49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49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절차 ... 50
  • 제2장 서비스 수준 관련 국내외 문헌 검토 ... 53
  • 제1절 국내연구 ... 53
  • 제2절 국외연구 ... 56
  • 제3장 단독수단별 서비스 수준 평가방법 검토 및 문제점 도출 ... 61
  • 제1절 한국 도로용량편람(KHCM) 2005 및 201310) ... 61
  • 제2절 미국 도로용량편람(HCM) ... 86
  • 제3절 독일 도로용량편람(HBS) 2001 및 2005 ... 101
  • 제4절 종합검토 및 문제점 도출 ... 103
  • 제4장 다수단 영향을 고려한 통행수단별 서비스 수준 분석체계 ... 108
  • 제1절 미국의 연계수단별 서비스 수준 분석체계 ... 108
  • 제2절 본 연구의 연계수단별 서비스 수준 분석체계 ... 117
  • 제5장 단독 및 다수단 영향을 고려한 통행수단별 서비스 수준 비교 분석 ... 123
  • 제1절 단독 및 연계수단별 서비스 수준 효과척도 ... 123
  • 제2절 시범 도로구간 선정 ... 127
  • 제3절 단독 및 연계수단별 서비스 수준 분석결과 ... 134
  • 제4절 완전도로의 연계수단별 서비스 수준 분석 사례 검토 ... 192
  •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 204
  • 제1절 결론 ... 204
  • 제2절 정책 제언 ... 206
  • 참고문헌 ... 209
  • 부록 ... 211
  • 부록 1. 현장조사 취득데이터 ... 213
  • 부록 2. A Guide to CompleteStreetLOS A Multimodal Level of Service Toolkit ... 238
  • 부록 3. KHCS 2013 Service Toolkit ... 247
  • Abstract ... 249
  • 끝페이지 ... 251

표/그림 (1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