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폭력・성폭력피해자 지원 강화를 위한 전략과제 개발
Development of Strategy for Strengthening Domestic Violence/Sexual Assault Victims Suppor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책임자 이미정
참여연구자 윤덕경 , 장미혜 , 이인선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12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여성가족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등록번호 TRKO201400003171
과제고유번호 1105008010
사업명 한국여성정책연구원
DB 구축일자 2014-06-07

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여성과 아동에 대한 성폭력 및 가정폭력을 인권에 대한 침해로 이해하고 이에 대한 예방 및 대응책을 요구하는 국민인식이 제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성폭력 및 가정폭력 방지 차원에서 피해자 보호 및 가해자 처벌강화와 관련된 법 개정과 제도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피해자 보호 및 가해자 처벌 강화를 위해 최근 도입된 법과 제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폭력 사건의 경우 2차 피해를 야기하는 요인으로 지적된 친고죄가 2013년 6월부터 폐지되고, 강간의 객체가 부녀자에서 사람

Abstract

More than 20 years have passed since legislative acts on the prevention of sexual assault/domestic violence and protection, etc. of victims thereof were enacted in Korea. And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support services for those victims have improved steadily with increased government funding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4
  • 연구요약 ... 6
  • 목차 ... 26
  • 표 목차 ... 29
  • 그림 목차 ... 30
  • I. 서론 ... 32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4
  • 2.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 ... 35
  • 가. 연구방법 ... 35
  • 나. 연구내용 ... 36
  • Ⅱ. 성폭력 범죄 친고죄 폐지 이후 피해자 보호 및 지원 강화 방안 ... 38
  • 1. 관련 이슈 및 정책 현황 ... 40
  • 가. 성폭력 범죄에 대한 친고죄 폐지 ... 40
  • 나. 성폭력 범죄에 대한 친고죄 규정 변화 ... 42
  • 2. 성폭력 범죄에 대한 친고죄의 문제점 ... 43
  • 가. 성폭력 범죄의 은폐 ... 43
  • 나. 합의에 대한 피해자의 부담 ... 44
  • 3. 정책개선을 위한 전략과제 ... 47
  • 가. 성폭력피해자 보호를 위한 제도 강화 ... 47
  • 나. 성폭력피해 발굴에 대한 노력 ... 48
  • 다. 성폭력피해자 지원 기관 접근성 강화 ... 49
  • 라. 성폭력 사건 담당자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 ... 49
  • 마. 형사사법절차 상 피해자 지원 강화 ... 50
  • Ⅲ. 가정폭력 사건 대응 전문성 및 피해자 인권보호 강화 방안 ... 52
  • 1. 관련 이슈 및 정책현황 ... 54
  • 가. 관련 이슈 현황 ... 54
  • 나. 관련 정책 현황 ... 60
  • 2. 관련 이슈 및 정책의 문제점 ... 63
  • 3. 정책개선을 위한 전략과제 ... 67
  • 가. 현행 가정폭력 관련제도의 실효성 제고 ... 67
  • 나. 가정폭력관계법령 개정방안 ... 67
  • 다.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을 위한 인프라 확대 및 내실화 ... 69
  • 라. 폭력피해 이주여성 보호 및 자립지원 강화 ... 70
  • 마. 가정폭력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강화 ... 71
  • Ⅳ. 아동/청소년 성보호 강화 방안 ... 74
  • 1. 관련 이슈 및 현황 ... 76
  • 가. 아동/청소년 성범죄 관련 현황 ... 76
  • 2. 현행 법제도 및 문제점 ... 82
  • 가. 아동/청소년 성보호에 대한 현행 법제도 및 문제점 ... 82
  • 3. 향후 정책과제 ... 88
  • 가. 아동·청소년 성보호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 88
  • 나. 성매매로부터 청소년 보호 ... 89
  • 다. 아동포르노그라피 관련 제도 정비 ... 92
  • 라. 성교육 강화 ... 95
  • Ⅴ. 효과적 피해자 지원을 위한 성폭력통합지원센터 운영개선 방안 ... 96
  • 1. 관련 이슈 및 정책 현황 ... 98
  • 가. 성폭력피해자 통합지원센터의 기능 ... 98
  • 나. 성폭력피해자 통합지원 센터의 확대 ... 100
  • 2. 관련 정책의 문제점 ... 102
  • 가. 통합지원센터의 접근성 및 운영 환경 ... 102
  • 나. 위탁기관 병원의 적극적 협조 필요 ... 103
  • 다. 센터내 다양한 직군 종사자간 협력 필요 ... 104
  • 3. 정책 제안을 위한 전략 과제 ... 104
  • 가. 통합지원 센터의 접근성 개선 및 역량 강화 ... 104
  • 나. 통합지원 센터 직군 종사자간 팀워크 강화 ... 106
  • 다. 센터 종사자 내부 교육 강화 ... 107
  • 라. 지역 연계 활성화 ... 108
  • 참고문헌 ... 110
  • Abstract ... 114
  • 끝페이지 ... 116

표/그림 (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