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폭력 피해자 보호·지원의 통합적 운영을 위한 법제 정비방안 연구
Study on the Legislative Adjustment for the Integrative Operation of Protection and Support of Female Victims of Violenc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책임자 윤덕경
참여연구자 이미정 , 천재영 , 차인순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5-12
과제시작연도 2015
주관부처 여성가족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등록번호 TRKO201600001112
과제고유번호 1105010570
DB 구축일자 2016-04-23

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 연구의 필요성
현재 정부는 성폭력, 가정폭력 해소 등 4대악 해소를 주요 국정과제로 설정하고 있는 바, 성폭력, 가정폭력 해소의 주요 축을 범죄자 처벌과 피해자 보호 및 예방으로 나눌 때 본 연구는 그 한 축인 폭력 피해자 보호의 달성에 관한 주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가정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가정폭력방지법’이라 함), 「성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성폭력방지법’이라 함), 「성매매 방지 및 피해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framework act (bill) on the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based on the examination of relevant laws, legislative examples of foreign nations, and opinions of experts, with a view to convert the current legal system where relevant laws on violence ag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4
  • 연구요약 ... 6
  • 목차 ... 32
  • 표목차 ... 36
  • 그림목차 ... 38
  • Ⅰ. 서론 ... 40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42
  • 가. 연구의 필요성 ... 42
  • 나. 연구의 목적 ... 45
  • 2. 연구내용 및 방법 ... 45
  • 가. 연구내용 ... 45
  • 나. 연구방법 ... 47
  • 3. 연구의 범 ... 49
  • 가. ‘여성폭력’의 범위 ... 49
  • 나. ‘보호・지원’의 의미 ... 50
  • 다. ‘통합적 운영‘의 의미 ... 50
  • 4. 연구의 제한점 ... 50
  • 가. 사회복지사업법 등과의 관계설정 연구 필요 ... 50
  • 나. 외국 사례 선정의 제약성 ... 51
  • Ⅱ. 여성폭력 개념검토 ... 52
  • 1. 국제기준 ... 54
  • 2. 법 제정당시 논의상황 ... 55
  • 3. 선행연구 검토 ... 58
  • 4. 소결 ... 61
  • Ⅲ. 여성폭력 피해자 보호・지원 관련 법 ... 64
  • 1. 여성폭력방지의 법률적 범위 ... 66
  • 가. 범위 ... 66
  • 2. 여성폭력 피해자 보호 3법의 비교 ... 69
  • 가. 체계 비교가정폭력, 성폭력, ... 69
  • 나. 유사점 ... 72
  • 다. 차이점 ... 84
  • 3. 여성폭력 처벌 3법에서의 피해자 보호 ... 91
  • 가. 가정폭력처벌법에서 피해자 보호 규정 ... 92
  • 나. 성폭력처벌법에서 피해자 보호 규정 ... 94
  • 다. 성매매처벌법에서 피해자 보호 규정 ... 97
  • 4. 그 밖의 법률에서 피해자 보호 ... 99
  • 가. 대상별 관련 규정 ... 99
  • 나. 재정지원 관련 규정 ... 102
  • 다. 그 밖에 피해자 보호규정 ... 104
  • 라. 3대 여성폭력 외 여성폭력 관련규정 ... 105
  • 5. 소결 ... 108
  • 가. 요약 ... 108
  • 나. 추가적 고려사항 ... 111
  • Ⅳ. 여성폭력 피해자 보호・지원 관련 정책 ... 114
  • 1. 여성폭력 피해자 보호・지원 관련 정책의 특징 ... 116
  • 가. 정책의 특징 ... 116
  • 나. 정책변화의 조짐 ... 117
  • 2. 여성폭력 피해자 보호・지원 관련 정책의 주요 내용 ... 118
  • 가. 가정폭력 ... 118
  • 나. 성폭력 ... 132
  • 다. 성매매 ... 152
  • 3. 소결 ... 169
  • Ⅴ. 여성폭력 피해자 보호・지원 관련 외국입법례 ... 172
  • 1. 영국의 여성폭력 관련 법・정책 ... 174
  • 가. 영국의 여성폭력 관련 법률 ... 174
  • 나. 영국 여성폭력 정책현황 ... 180
  • 2. 미국의 여성폭력 관련 법・정책 ... 183
  • 가. 미국의 여성폭력 관련 법률 ... 183
  • 나. 미국의 여성폭력관련 정책 ... 194
  • 3. 시사점 ... 196
  • Ⅵ. 여성폭력 피해자 보호・지원 관련 전문가 의견조사 ... 202
  • 1. 전문가 의견조사 ... 204
  • 가. 조사개요 ... 204
  • 나. 조사결과 ... 204
  • 2. 전문가 델파이 조사 ... 212
  • 가. 연구방법 ... 212
  • 나. 조사 대상 ... 212
  • 다. 연구도구 및 절차 ... 214
  • 라. 연구결과 ... 222
  • 3. 소결 ... 237
  • Ⅶ. 여성폭력 피해자 보호・지원의 통합적 운영을 위한 법제 정비방안 ... 240
  • 1. 법제 정비의 기본방향 ... 242
  • 가. 구조적인 변 ... 242
  • 나. 내용적인 면 ... 245
  • 2. 법제 정비의 주요 내용 ... 249
  • 가. 총칙 ... 249
  • 나. 여성인권증진정책의 수립 등 ... 249
  • 다. 피해자 권리와 주요 시책 ... 250
  • 라. 시설 ... 250
  • 마. 보칙 및 부칙 ... 250
  • 참고문헌 ... 252
  • 부록 ... 256
  • 1. 여성폭력방지기본법(안) ... 258
  • 2.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을 위한 기본법 관련 전문가 조사 질문지 ... 263
  • Abstract ... 270
  • 끝페이지 ... 274

표/그림 (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