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법과학을 적용한 형사사법의 선진화 방안(IV)
Strengthening the Forensic Science in Korean Criminal Justice System(IV)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형사정책연구원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4-02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1400010859
과제고유번호 1105007236
사업명 한국형사정책연구원
DB 구축일자 2014-06-28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400010859

초록

눈부신 발전을 거듭한 IT 기술은 휴대전화 단말기에 컴퓨터의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폰을 보급함으로써, 이른바 ‘손안의 PC’ 시대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정보 환경을 만들었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바, 명실상부 개인의 위치정보는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정보자원 중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최근에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데, 형사사법 영역에서 위치정보는 생명ㆍ신체를 위협하는 급박한 위험으로부터 구조가 필요한 사람이나 실종아동 등의 위치

Abstract

With the advancement in information technology, smart phone (in which the function of computer is installed) has been developed and widely distributed.
This has led to a new paradigm of so-called ‘Portable Personal Computer’, in which a myriad of geographical-information-based service is provide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3
  • CONTENTS ... 5
  • 표 차례 ... 16
  • 그림 차례 ... 18
  • 국문요약 ... 19
  • 제1부 서론 ... 25
  • 제1장 연구의 목적 ... 27
  • 제1절 문제의 제기 ... 29
  • 제2절 연구의 필요성 ... 30
  • 제2장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1
  • 제1절 연구의 범위 ... 33
  • 제2절 연구의 방법 ... 35
  • 제2부 형사사법의 선진화와 ‘자유와 안전’ - 사회이론적 및 규범이론적 관점 ... 37
  • 제1장 서언 ... 39
  • 제1절 자유 그리고 안전 - 법치국가이념과 형사사법 ... 41
  • 제2절 국가과제의 변화와 사전배려 ... 44
  • 제2장 정보기술의 발전과 형사사법 ... 51
  • 제1절 정보와 데이터의 구별 ... 53
  • 제2절 멀티미디어의 시대 ... 54
  • 제3절 새로운 정보기술과 감시전략 ... 57
  • 제4절 데이터뱅크의 시대 ... 59
  • 제5절 정보기술과 범죄투쟁 ... 62
  • 제6절 기술의 일상화와 안전 ... 64
  • 제3장 정보기술에서 감시기술로? - 기술발전과 법질서 ... 67
  • 제1절 새로운 감시기술 ... 70
  • 제2절 감시기술과 기본권 ... 73
  • 1. 감시와 정보적 자기결정권 ... 73
  • 2. 법적 형량과정 - 그 필요성과 문제점 ... 74
  • 제3절 해결의 실마리들? ... 77
  • 1. 구체적 차원과 전체적 차원의 충돌 ... 78
  • 2. 개별적 침해에 관한 형량의 절대적 한계 ... 79
  • 3. 법을 통한 기술조종 ... 80
  • 제4절 투명한 정치적 형량과정의 수단으로서의 기술형성 ... 81
  • 제4장 안전의 사회학 ... 83
  • 제1절 안전화 - 코펜하겐학파의 안전사회학 ... 87
  • 제2절 법질서와 안전의 관계 - 숙주와 기생 ... 90
  • 제5장 헌법학적 논의 지평에서의 ‘안전과 자유’ ... 101
  • 제1절 안전보장국가로서의 법치국가 ... 106
  • 제2절 자유보장국가로서의 법치국가 ... 110
  • 제3절 안전과 자유의 종합? ... 111
  • 1. 법치국가적 균형 ... 111
  • 2. 침해의 정당화로부터 전면적인 형량으로 ... 113
  • 제4절 경찰법적 안전정책의 변화 ... 116
  • 1. 위험차단 ... 116
  • 2. 범죄예방을 통한 사전영역의 방어 ... 119
  • 3. 법치국가 이념에 대한 도전 ... 120
  • 4. 예방작용과 적절성 ... 123
  • 제5절 안전도그마틱의 위험성 ... 124
  • 1. 자유의 탈개인화 ... 125
  • 2. 자유의 탈관계화 ... 126
  • 제6장 소결 ... 129
  • 제3부 첨단과학 기술의 활용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형사법적 고찰 ... 133
  • 제1장 서언 ... 135
  • 제2장 개인정보의 개념과 그 구체적 내용 ... 141
  • 제1절 개인정보의 개념 ... 143
  • 제2절 법률상 개인정보의 개념 ... 145
  • 제3절 개인정보의 구체화 ... 146
  • 1. 정보의 임의성 ... 146
  • 2. 살아있는 개인에 관한 정보 ... 147
  • 3. 식별가능성 있는 정보 ... 148
  • 제3장 외국에서의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제 ... 151
  • 제1절 OECD 지침 ... 153
  • 제2절 유럽연합(EU)의 개인정보에 대한 지침 ... 155
  • 제3절 미국의 개인정보보호 ... 160
  • 제4절 독일의 개인정보보호 ... 164
  • 제5절 일본의 개인정보보호 ... 166
  • 제4장 우리나라에서의 개인정보에 대한 형사법적 보호 일반론 ... 169
  • 제1절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법제의 개관 ... 171
  • 제2절 개인정보 보호법에 의한 개인정보의 보호 ... 173
  • 1.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내용과 최근개정 ... 173
  • 2. 개인정보 보호법에 의한 개인정보의 형사법적 보호 ... 175
  • 제3절 형법에 의한 개인정보의 보호 ... 183
  • 1. 형법에 의한 비밀침해의 처벌(비밀침해죄) ... 183
  • 2. 업무상 비밀침해 ... 186
  • 3. 전자적 개인정보의 위작ㆍ변작행위 ... 187
  • 제4절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한 개인정보의 보호 ... 191
  • 1. 개인정보 수집 ... 191
  • 2. 개인정보의 이용 ... 193
  • 3. 개인정보의 누설금지 ... 195
  • 4. 필요조치 미이행자 ... 199
  • 5. 정보통신망에의 무단침입(소위 단순해킹) ... 199
  • 제5장 첨단과학기술의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 203
  • 제6장 소결 ... 209
  • 제4부 위치정보의 형사정책적 활용 ... 213
  • 제1장 위치정보에 관한 일반적 논의 ... 215
  • 제1절 위치정보의 의의 및 측정기술 ... 217
  • 1. 위치정보의 의의 ... 217
  • 2. 위치정보 추적 기술의 유형 ... 221
  • 제2절 위치기반서비스의 의의 및 형사정책적 쟁점 ... 225
  • 1. 위치기반서비스의 의의 ... 225
  • 2. 위치기반서비스와 관련된 형사정책적 쟁점 ... 227
  • 제2장 외국의 입법례 ... 229
  • 제1절 미 국 ... 231
  • 1. 위치정보의 수집 및 활용에 관한 법 규정 ... 231
  • 2. 위치정보와 관련된 주요 사건 ... 237
  • 3. 위치정보 관련 논의 현황 ... 253
  • 제2절 독 일 ... 256
  • 1. 위치정보의 수집 및 활용에 관한 법 규정 ... 256
  • 2. 위치정보와 관련된 주요 사건 ... 261
  • 3. 위치정보 관련 논의 현황 ... 265
  • 제3절 일 본 ... 266
  • 1. 위치정보의 수집 및 활용에 관한 법 규정 ... 266
  • 2. 위치정보와 관련된 주요 사건 ... 270
  • 3. 위치정보 관련 논의 현황 ... 272
  • 제3장 위치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관한 법적 근거와 활용 현황 ... 277
  • 제1절 위치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관한 법적 근거 ... 279
  • 1.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 279
  • 2. 통신비밀보호법 ... 295
  • 제2절 위치정보의 수집 및 이용 현황 ... 298
  • 1. 긴급구조를 위한 위치정보 이용 ... 298
  • 2. 범죄수사나 국가안보를 위한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 304
  • 제4장 위치정보의 형사정책적 활용을 위한 정비 방안 ... 309
  • 제1절 공공부문에서 위치정보의 형사정책적 활용에 관한 개선방안 ... 312
  • 1. 긴급구조를 위한 위치정보 활용 ... 312
  • 2. 범죄수사 및 국가안전보장을 위한 위치정보 활용 ... 316
  • 제2절 민간부문에서 위치정보의 형사정책적 활용에 관한 개선방안 ... 319
  • 1. 형사정책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의 활성화 방안 ... 319
  • 2. 프라이버시 보호 강화를 위한 정비 방안 ... 321
  • 제5부 RFID 기술의 형사정책적 활용 ... 325
  • 제1장 RFID의 기술적 이해와 적용분야 ... 327
  • 제1절 RFID의 기술적 이해 ... 329
  • 1. RFID의 기술적 토대 ... 329
  • 2.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의 토대로서의 RFID 기술 ... 341
  • 제2절 RFID의 적용분야 ... 343
  • 1. RFID 기술과 활용 ... 343
  • 2. RFID 기술과 감시시스템 ... 344
  • 3. RFID 기술의 적용분야와 사례: 형사정책분야를 중심으로 ... 346
  • 제2장 우리나라의 RFID 기술 관련 법규 현황 ... 353
  • 제1절 RFID 기술의 기회와 도전 ... 355
  • 제2절 RFID 프라이버시보호 가이드라인 ... 356
  • 1. 정부의 “RFID 프라이버시보호 가이드라인” ... 356
  • 2. 시민단체의 “RFID 가이드라인” ... 360
  • 제3절 RFID 기술과 관련 법률 ... 363
  • 1. RFID와 개인정보보호 ... 363
  • 2. RFID와 통신비밀 등의 보호 ... 371
  • 3. RFID와 형법상 보호 ... 375
  • 4. RFID와 관련한 형사소송법적 문제 ... 380
  • 제4절 소결 ... 387
  • 제3장 주요 국가의 RFID에 대한 법적, 제도적 대응 ... 389
  • 제1절 서설 ... 391
  • 제2절 미국 ... 392
  • 1. 소비자단체의 관심과 활동 ... 392
  • 2. 각 주들(States)의 규제 입법 노력 ... 395
  • 3. 연방차원의 노력 ... 401
  • 4. 기타 ... 408
  • 5. 소결 ... 409
  • 제3절 EU와 독일 ... 409
  • 1. EU (유럽연합) ... 409
  • 2. 독일 ... 416
  • 3. 소결 ... 425
  • 제4절 일본 ... 426
  • 1. 전자태그(IC tag)에 관한 프라이버시보호 가이드라인 ... 426
  • 2. 개인정보 보호와 가이드라인 ... 427
  • 3. 소결 ... 428
  • 제5절 OECD ... 428
  • 1. 2008년의 RFID에 대한 정책 지침 ... 428
  • 2. RFID에 대한 정책 지침의 구체적 내용 ... 430
  • 제6절 소결 ... 432
  • 제4장 RFID 기술의 형사정책적 활용 및 대응방안 ... 433
  • 제1절 형사정책 활용방안 ... 435
  • 1. RFID와 형사정책 ... 435
  • 2. RFID 형사정책적 활용 가능성 ... 438
  • 제2절 법적ㆍ제도적 대응방안 ... 449
  • 1. RFID 기술과 대응 ... 449
  • 2. 자율규제 보완 방안 ... 452
  • 3. 공적규제 보완 방안: 입법적 보완 ... 457
  • 4. 기술적 보안 방안 ... 462
  • 제6부 CCTV 시스템의 형사정책적 활용 ... 469
  • 제1장 CCTV의 개념과 기능 ... 471
  • 제1절 CCTV의 개념 ... 473
  • 1. CCTV의 정의 ... 473
  • 2. CCTV의 구조 ... 475
  • 3. CCTV의 분류 ... 476
  • 제2절 현재의 CCTV기술 ... 477
  • 1. CCTV와 IP카메라 ... 477
  • 2. CCTV와 음성녹음 및 감지 ... 478
  • 3. CCTV와 자동번호인식(Automatic Number Plate Recognition, 이하 “ANPR”) ... 478
  • 4. CCTV와 보행자감시(Intelligent Pedestrian Surveillance, 이하 ‘IPS’) ... 480
  • 5. CCTV와 안면인식 ... 481
  • 6. CCTV와 영상계측 및 3차원 모델링 ... 483
  • 7. CCTV와 블랙박스 ... 483
  • 8. CCTV와 프라이버시 마스킹(privacy masking) 기술 ... 485
  • 제3절 CCTV의 주요기능 및 효과 ... 485
  • 1. 범죄예방 ... 486
  • 2. 범인검거 ... 488
  • 3. 판결의 증거자료 ... 489
  • 4. 일반인의 안전감 증대 ... 489
  • 5. 기타 ... 490
  • 제2장 CCTV 관련법규와 설치ㆍ운영ㆍ분석 현황 ... 493
  • 제1절 CCTV 관련법규 및 가이드라인 ... 495
  • 1. 관련법규 ... 496
  • 2. 가이드라인 ... 498
  • 제2절 공공의 CCTV 설치ㆍ운영 현황 ... 499
  • 제3절 CCTV영상 분석현황 ... 504
  • 제3장 CCTV 주요국가 관련현황 검토 ... 507
  • 제1절 영국 ... 509
  • 1. 시기별 CCTV 정책 ... 509
  • 2. 현황과 근거법률 ... 514
  • 3. 최근 판례 ... 519
  • 4. CCTV 효과연구 ... 526
  • 5. 평가와 전망 ... 531
  • 제2절 독일 ... 535
  • 1. 비디오감시(Videoüberwachung) 증가의 배경 ... 535
  • 2. 현황과 근거법률 ... 536
  • 3. 최근 판례 ... 548
  • 4. 비디오감시 효과연구 ... 551
  • 5. 평가 ... 552
  • 제3절 일본 ... 554
  • 1. CCTV 설치의 역사 ... 554
  • 2. 현황과 근거법률 ... 555
  • 3. 최근 판례 ... 563
  • 4. 평가 ... 569
  • 제4절 중간 결론 ... 571
  • 1. 공통적인 경향성 ... 571
  • 2. 근본적인 문제들 ... 573
  • 3.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 575
  • 제4장 CCTV 활용의 형사법적 정당성과 유용성 검토 ... 579
  • 제1절 CCTV 활용의 형사정책적 효율성 ... 581
  • 1. CCTV의 효과성 연구 ... 581
  • 2. CCTV 활용의 형사정책적 함의 ... 583
  • 제2절 CCTV 활용을 위한 형사법적 규정 ... 585
  • 1. 형사소송법상 규정과 기존 판례 ... 585
  • 2. 개인정보보호법 제25조 ... 591
  • 제5장 CCTV의 형사정책적 활용을 위한 정비방안 ... 601
  • 제1절 기존법규 개정의 필요성 ... 603
  • 제2절 CCTV 규제법률 개정의 필요성 ... 604
  • 제3절 법률적 판단을 위한 구체적인 내부기준 마련의 필요성 ... 605
  • 제4절 CCTV 규제를 위한 독립적인 감독기구 마련의 필요성 ... 607
  • 제5절 다른 제도적 정비방안 ... 608
  • 제7부 결론 ... 609
  • 참고문헌 ... 617
  • Abstract ... 657
  • 부록 ... 663
  • 끝페이지 ... 761

표/그림 (2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