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연관자료 탐색 (선택한 자료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탐색)
과제명 | 한국여성의 건강통계 |
---|---|
주관연구기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3-12 |
과제시작년도 | 2013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
등록번호 | TRKO201400011514 |
과제고유번호 | 1465014534 |
사업명 | 여성건강융복합기반기술개발연구 |
DB 구축일자 | 2014-07-05 |
키워드 | 여성건강.건강수준지표.성인지분석.Women Health.Health Status Indicator.Gender based analysis.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400011514 |
- 연구목적: 한국 여성의 건강문제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여성건강통계 산출
- 연구목표: 국가수준의 여성건강통계 프레임 정립, 한국여성의 전반적 건강수준과 여성의 집단 간 건강 차이에 대한 통계산출, 여성의 건강증...
- 연구목적: 한국 여성의 건강문제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여성건강통계 산출
- 연구목표: 국가수준의 여성건강통계 프레임 정립, 한국여성의 전반적 건강수준과 여성의 집단 간 건강 차이에 대한 통계산출, 여성의 건강증진에 필요한 중장기 연구 과제 개발
- 연구방법
○ 2005년 추계인구 기준 표준화, 인구학적·사회경제적 차이와 10년간 변화추세 분석
○ 자료원: 통계청 사망/기대여명자료, 국민건강영양조사,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가족생활실태조사, 여성가족패널, 한국의료패널, 건강보험청구자료, 건강보험통계연보, 암통계자료, 인구동태통계, 대검찰청범죄분석자료, 정신질환실태조사, 치매유병률조사
- 주요 연구결과
○ 성차별적 사회구조와 문화·규범 영향으로 여성의 일과 가정양립 문제로 인한 고통과 노년 여성의 빈곤문제가 심각한 수준
○ 여성이 장수하지만 건강인식과 활동수준은 낮은 젠더패러독스 존재, 사망원인으로 심뇌혈관질환 비중이 높고, 청장년층에서는 자살률 증가, 사망률 높은 암질환은 폐암, 위암, 간암, 유방암, 대장암 순임. 노인여성의 고혈압과 당뇨 유병률이 높고, 골관절염과 골다공증 유병률은 남성보다 3~10배 정도 높은 수준임.
○ 여성의 전 연령에서 신체활동과 근골격계 운동 부족문제 심각, 젊은 여성과 서비스 및 판매직 여성의 흡연과 음주 증가, 여자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에 대한 문제 개선이 필요함.
○ 청소년 성관계 경험은 증가하고 있지만 피임율 낮고 성교육 부족, 강간빈도는 증가하고 폭력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건강문제가 상당한 수준임.
○ 결혼과 출산지연으로 출산력 감소하며 고령출산 증가, 저학력여성 피임실천율 낮은 수준임. 서비스/판매/육체직 여성 피임실천율과 인공임신중절율 간 간극 존재하며 모성사망비 증가 추세임.
○ 전반적 정신장애 유병률 수준은 남녀가 비슷한 수준임. 반면에 여성은 우울증, 불안장애 유병률과 스트레스 인지도가 높은 수준이며 알코홀 남용 및 자살시도가 증가하고 있음. 저소득층, 서비스 및 판매직 여성 우울증 및 자살예방 대책 필요하며 노인 여성의 우울증 및 치매관리가 필요함.
○ 의료이용: 여성은 의료이용 빈도가 높고 남성은 의료비 수준이 높음. 여성의 미충족치료율이 높은 수준. 전반적으로 암검진 수진율은 증가추세이나 유방암 검진율은 미국보다 낮은 수준이며, 서비스/판매직, 육체직 여성이 비육체직 여성보다 암검진율이 낮음. 대부분 질환에서 고령층여성 의료이용 수준이 높음.
○ 중장기 연구과제: 여성건강통계 생산과 정보체계, 신규조사 필요한 경우 포함해서 다양한 연구주제를 제안하였음.
- 결론: 한국여성의 수명이 길지만 삶의 질과 활동제약이 존재함. 노인여성의 만성질환 유병률이 높고 젊은 여성은 건강행태가 좋지 않음. 여성의 연령과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라 건강문제에 상당한 차이가 있어 여성건강증진을 위해 지속적 노력을 기울여야 함.
- Purpose:
○ To produce a comprehensive report on Korean women's health status, to establish national level framework for women...
- Purpose:
○ To produce a comprehensive report on Korean women's health status, to establish national level framework for women’s health, to provide profound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and among women groups and to suggest the long-term research agenda
- Methods
○ Adjusting age-specific rates with direst (direct?) standardization using 2005 Projection Population, trend analysis for 10 years
○Data Source:
1)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for Cancer, Chronic disease, STD, Mental disease, (2004-2011), 2)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 Welfare in Korea (1998~2007), 3) Survey of Domestic Violence Against Women, 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1-2009), 5)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6) Cause of Death, Expected Life Year Statistics Data, 7) Other related reports for mental disease et al.
-Results
○ Korean sex(gender) discrimination on social structure had influenced women's work, life and health.
○ Korean women lived longer than men but perception of health status and daily activities were poor and limited. So there were gender paradox in physical health.
○ Cardiovascular diseases were the main cause of death, especially in old women. Lung cancer, gastric cancer, liver cancer, breast cancer and colon cancer were major causes of death.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for old women were high. The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and osteoporosis were 3-10 times higher than those of men.
○ The overall lack of physical activities and musculoskeletal exercises were a severe problem in women,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rate continued to rise among young women, blue and pink color workers. The problem of body image distortion of adolescent girls was significant.
○ Young people's sexual experience continued to rise but contraception rate was low. The rape frequency continued to rise and the problem of violence related physical and mental health were significant.
○ General birth rate declined and the birth rate for old women continued to increase due to delayed marriages. There were low contraception rates for low education groups, and blue and pink color workers. Maternal mortality rate continued to rise therefore the inquiry of cause and regional variation has been required.
○ The overall prevalence rate was similar between men and wome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xiety disorder, depressive symptom, stress were higher than those of men. Alcohol abuse and suicide attempts continued to rise in low social status and young women. Older women's depression and dementia were significant problems.
○ Women had higher medical service utilization than men with a lower level of medical expenses. Women reported a higher unmet treatment rate than men. The overall health screening rate continued to rise. But breast cancer screening rates(51.5%) were lower compared to that of American women (79.8%). The frequency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 for chronic diseases continued to rise especially for old women.
○ Further research: 23 research agendas have been developed including strategy for improving women’s health statistics.
-Conclusion:
○ South Korean women's life expectancy is high, but the quality of life and activities were poor and limited.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for elderly women was high and young women's health behaviors were not good. The very close link between women’s health statistics, research and tailored policy to improve women's health was due t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nd socioeconomic positions.
참여 연구원 |
---|
한국여성의 건강통계
주관연구기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발행년월 : 2013-12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