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연관자료 탐색 (선택한 자료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탐색)
과제명 | 한국 여성의 건강통계 산출 및 만성질환 치료관리의 성별차이 분석 |
---|---|
주관연구기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
연구책임자 | 김남순 |
참여연구자 | 박은자, 전진아, 김명희, 김성이, 김유미, 송현종, 이희영, 장선미, 장숙랑, 최귀선, 정규원 ...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8-12 |
과제시작년도 | 2018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
등록번호 | TRKO201900003731 |
과제고유번호 | 1465027530 |
사업명 | 국가보건의료연구인프라구축(R&D) |
DB 구축일자 | 2019-07-13 |
키워드 | 여성건강.성인지적 분석.만성질환.Women health.Gender based analysis.noncommunicable diseases.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900003731 |
연구목적: 여성건강에 대한 포괄적 정보를 제공하는 ‘2018 한국 여성건강통계’, 일반 국민의 이해를 돕기 위한 ‘여성건강콘텐츠(수치로 보는 여성건강)’ 작성, 여성건강 관련 주요이슈에 대한 심층 분석 등을 통하여 근거중심 여성건강정...
연구목적: 여성건강에 대한 포괄적 정보를 제공하는 ‘2018 한국 여성건강통계’, 일반 국민의 이해를 돕기 위한 ‘여성건강콘텐츠(수치로 보는 여성건강)’ 작성, 여성건강 관련 주요이슈에 대한 심층 분석 등을 통하여 근거중심 여성건강정책에 기여함.
연구방법: 여성건강지표를 선정하고 대표성 있는 자료원을 가지고 표준화된 분석방법 적용. 영역별 핵심 지표를 선정하여 수치로 보는 여성건강 작성. 여성의 심뇌혈관질환의 사망과 치료양상에 대한 성인지적 분석, 여성 노인의 파킨슨병 유병과 치료, 여성 노인의 노쇠 등에 대한 심층 분석 수행
연구결과: 여성건강통계 1)국내 성 격차 지수 등이 중하위권이며 경제활동과 정치적 권한측면에서 불평등이 심각함. 돌봄, 가사노동에 대한 책임을 여성으로만 간주하거나 청소년의 젠더 규범에 대한 인식이 역행하는 현상 출현. 2) 여성의 건강수명, 삶의 질, 활동제한은 좋지 않음. 노인 여성의 만성질환 유병률이 높고, 골관절염은 남자보다 3배 정도 높음.
3) 유방암 발생율이 미세한 수준이지만 증가하고 자궁경부암 생존율은 약간 감소함. 자궁경부암 유방암, 대장암 검진율이 외국보다 낮음. 4) 모든 여자의 신체활동은 부족하며, 근력운동실천율은 남성의 절반 수준. 젊은 여성은 고위험음주, 영양섭취 부족, 저체중 등의 문제가 있음. 4) 저학력, 서비스/판매/생산직 여성 피임실천율이 낮지 않으나 임신소모가많음. 여자 청소년의 피임실천율도 낮으며, 20대 여성은 성전파성 질환의 치료 유병률이 높음. 여성대상 범죄에서 강력범죄 비중이 높으며, 성폭력, 데이트폭력, 가정폭력 등으로 여성의 범죄피해에 대한 불안감이 증가함 5) 여자는 기분장애 및 불안장애 유병률이 높고, 스트레스 인지율과 우울증상 경험률, 자살생각률도 높은데 젊은 세대의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낮음, 여자청소년의 32%가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에 속함. 6)여성은 의료이용 빈도가 높지만 일반 의료와 치과진료에 대한 미충족치료율이 높음. 30세 이상 성인에서 외래민감성질환에 대한 입원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음. 7)12세 연령의 여아의 구강건강 수준이 낮음. 여아는 남아에 비해 성별로 인한 차별, 스트레스를 받음.
만성질환 심층분석 1) 자궁경부암의 젊은 연령층은 증가하는 추세이나 보건의료서비스에 노출이 적으며 검진 대상으로 최근에 시작되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극적 홍보가 필요함. 2) 여성은 동일 연령의 남자와 비교할 때 노쇠가 심각하며, 결혼한 여성이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노쇠 수준이 높으나, 남성은 반대 경향을 보임, 3) 남성에 비해 여성 파킨슨병 환자가 많으며 약물치료와 부작용, 우울증과 골절위험 등에 대한 모니터링 필요, 4)급성심근경색은 65세 이상에서는 남녀 발생이 유사하다는 특성이 보였으며, 뇌졸중 이후 6개월 이내 장애등급을 받은 비율과 장애를 가지고 사는 기간이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았음. 급성심근경색은 노인 여성의 적극적 예방과 치료 전략이 필요하며, 공급자 요인이 있는지 추가 분석이 필요함.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를 가지고 생애 마지막 기간을 보내는 여성 노인에 대해서는 충분한 케어를 받아야 하며, 급성기 의료이용 및 조기재활 장애요인도 개선해야 함.
결론: 여성의 건강수명을 증진하기 위해 전 생애주기에 걸쳐 건강증진정책을 개선해야 함.
젊은 여성을 위한 효과적 피임실천, 여자청소년을 위한 신체활동 활성화. 여성에 대한 폭력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보건영역의 대응전략을 수립해야 함. 노인 여성의 심뇌혈관질환,신경학적 질환,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예방 및 관리가 증진되어야 함. 아직까지도 여성건강에 대한 근거중심정책을 수행하기에는 연구와 통계가 부족한 분야가 다수 존재함, 더 많은 실천적 사업과 정책 개발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특정한 여성건강 문제와 생애주기에 초점을 두고 보다 구체적,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필요함.
(출처 : 요약문 4p)
Purpose: To provide a statistical report on Korean women's health status, to provide information for general women, to conduct gen...
Purpose: To provide a statistical report on Korean women's health status, to provide information for general women, to conduct gender based analysis on chronic diseases for evidence based women health policy
Methods: We selected women health indicators and conduct gender based analysis by using standardized method with nationwide data. We did analyze gender difference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Cervical cancer screening and HPV vaccine, parkinson disease, frail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with national survey or administrative data.
Results: A. Women health statistics: Korea’s gender gap index is belong to middle or lower bracket because of in equality in terms of economic and political power. The gender norm is backlashing against times. Korean women lived longer but less active throughout the entire life than men. Old women have more chronic disease and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in elderly women i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men. All women’s physical activity is poor and muscular exercise rate is half that of men. The incidence of breast cancer is slightly increasing and survival rate of cervical cancer is subtly decreasing. All women’s contraception rate is high but the abortion rate is relatively high in young, low educated women or service workers. Fatal crimes account for high proportion of crimes against women. Sexual violence, IPV and violence in dating are increasing, women feel more anxiety about crimes. Women experience more anxiety disorder and depression. Access to mental health services is relatively low for young women. Although women are more likely to use medical services but there are significant unmet need for medical and dental services. The oral health status of 12 year old girl is not good. Girls are more discriminated against for appearance, which make them more stressed.
B. Gender difference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1) Although cervical cancer is increasing in young women but their awareness of screening is low ② Elderly women have higher prevalence of frailty than that of women, Married old women are more frail than other women. In the case of men, the opposite tendency is shown. ③ There are more old women with parkinson disease compared to old men. Their drug side effects,risk of depression and fracture should be monitored. ④The incidence of AMI was not different between men and women after 65 years of age. Old women have more disability than men within 6months after stroke. we need highly active strategy for appropriate prevention and treatment.
Conclusion: Korean women's Healthy life expectancy is not so much high as we expected. We need to develop coping strategy to improve health behaviours among adolescents and young women, to improve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nd to improve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nuerological and musculoskeletal disease among old women. Health system should be concerned with violence against women. There are many areas where appropriate information and research are lacking. In the future, more specified and in-depth observation of women health is required.
(출처 : SUMMARY 5p)
한국 여성의 건강통계 산출 및 만성질환 치료·관리의 성별차이 분석
주관연구기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책임연구자 :
김남순
발행년월 : 2018-12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