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주관연구기관 | 식품의약품안전처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
보고서유형 | 연차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3-11 |
과제시작연도 | 2013 |
주관부처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
등록번호 | TRKO201400011923 |
과제고유번호 | 1475007428 |
사업명 | 식품 등 안전관리 |
DB 구축일자 | 2014-07-26 |
키워드 | 위생.기준.규격.병원성균.Hygiene.Standard.Specification.Pathogenic bacteria.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400011923 |
식품공전은 과거 1960년대 고시 시점부터 오늘날까지의 미생물 규격신설과 개정을 반복하며 현재의 식품공전의 미생물 규격의 형태를 갖추었다. 그러나 현행 기술 수준, 유통, GHP, HACCP 도입 후 새로운 제품 개발이 되고 있어 식품공전의 오래된 기준·규격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 및 재평가가 필요하다. 식품의 기준·규격은 나라의 식생활 습관이나 경제적 여건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으나 이로 인한 국제간의 무역마찰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식품교역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어 기준규격에 대한 국제간의 조화가 요구되며 제외국의 기
식품공전은 과거 1960년대 고시 시점부터 오늘날까지의 미생물 규격신설과 개정을 반복하며 현재의 식품공전의 미생물 규격의 형태를 갖추었다. 그러나 현행 기술 수준, 유통, GHP, HACCP 도입 후 새로운 제품 개발이 되고 있어 식품공전의 오래된 기준·규격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 및 재평가가 필요하다. 식품의 기준·규격은 나라의 식생활 습관이나 경제적 여건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으나 이로 인한 국제간의 무역마찰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식품교역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어 기준규격에 대한 국제간의 조화가 요구되며 제외국의 기준과 우리나라의 기준 중 어느 쪽이 이론적이고 과학적으로 타당성이 있는가에 대한 문제의 제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과제에서는 통계적 개념이 도입된 과학적이고 실효성 있는 미생물 기준․규격 개정을 위하여 식품공전에 수재된 식품 유형들에 대한 미생물 오염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새로운 기준․규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12가지 식품군(식품유형 48개)에 대하여 세균수는 빵류 등 식품유형 12건, 대장균은 어육가공품 등 4건, 대장균군은 규격외 일반가공식품 등 5건의 위생지표세균의 n, c, m, M 규격(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특수용도식품 1건에 대하여는 식중독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 규격(안)을 제안하였다. 식품자동 판매기 다류·커피·음료류, 규격외 일반가공품 중 곡류가공품과 두류가공품, 기타식품류의 땅콩 또는 견과류 가공품은 제조과정 중 바실러스 세레우스 오염이 가능한 환경이며, 실태조사 결과에서 검출되고 있어 바실러스 세레우스의 규격 신설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과자류의 경우 캔디류를 제외하고 바실러스 세레우스가 검출되어 이에 대한 기준설정 여부 논의 필요하다. 특수용도 식품의 경우에는 일부에서 이미 통계적 개념이 도입되어 기준․규격이 개정되어 영아용 조제식, 성장기용 조제식, 영․유아용 곡류조제식, 기타 영․유아식의 경우 실태조사 결과가 기준규격을 벗어나지 않으므로 현행 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나 특수 의료용도 등 식품은 대부분 사용자가 환자인 점을 고려하여 개정(안)을 제안하였다. 본 과제에서 마련된 개정 규격(안)은 2차년도 기준․규격 개정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 평가결과와 전문가 자문을 거처 식품공전에 반영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Since Food Code has first introduced in 1960, the regulations and standards on the microbial food safety had been through many changes to become the current version. However, due to the techniques (i.e. GHP and HACCP) recently adopted in this field, there are continuous needs for modernizing the cur
Since Food Code has first introduced in 1960, the regulations and standards on the microbial food safety had been through many changes to become the current version. However, due to the techniques (i.e. GHP and HACCP) recently adopted in this field, there are continuous needs for modernizing the current version of regulations and standards. The food safety regulation and standard could be varying from country to country and could cause issues in trading unless the regulation is grounded by scientific knowledge.
In this research, we performed a survey that determines actual levels of microbial contaminations in various food categories by using scientifically proven techniques including statistical analysis. Our ultimate goal is building an entirely new standard to provide more controlled environment for safe food consumption. As result of the study, we proposed new standard for total aerobic count in 12 types of food including bread, coliform in 4 types of food including meat product, and fecal coliform as indicator organism (n, c, m, M) in 3 types of general processed food. In addition, we proposed new regulation for Bacillus cereus on 1 types of food including foods for special dietary uses especially sold by vending machine, tea and coffee. Since it has actually been confirmed the presence of Bacillus cereus in several food types including drink (i.e. tea, coffee and casual drink), cereal product, soy product, peanut and snacks (except candies), we strongly recommend considering building/adapting new standard for these food types. Finally, we proposed revised version of standard for food in special (medical) use while we only reviewed the feasibility of current standard for infant food preparation, infant and toddler food preparation, and youth food preparation.
The proposed standards here will be considered for addition in Food Code after evaluation of social and economical impact as well as professional advisory committee discussion.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