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행정환경과 정부특성 연구Ⅵ: 대만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in Taiwa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행정연구원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12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1400012314
과제고유번호 1105007698
사업명 한국행정연구원
DB 구축일자 2014-07-12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400012314

초록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대만은 교류의 양이자 질로 보아도 가까운 국가이나 그에 대한 정치 및 행정에 대한 자료축적이나 연구가 충분하지는 않은 실정
□ 대만의 행정과 정책에 대한 기초연구로 학문적 연구뿐만 아니라 실무진들에게도 중요한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데 연구목적
□ 대만은 경제적 측면에서 중요한 전략적 파트너의 하나로 이들 의 행정과 정책에 대한 정보와 기초자료가 필요하므로 이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행정과 정책과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행정발전에 기여함
□ 대만의 행정환경, 대만의 행

Abstract

Taiwan is a geographically close country, and this is easily proved by the amount and quality of mutual exchanges in terms of international trade and visitors. However, the domestic researches undertaken and accumulated so far bout Taiwan’s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are still insufficient. Th

목차 Contents

  • 표 지 ... 1
  • 발 간 사 ... 4
  • 목 차 ... 6
  • 표목차 ... 9
  • 그림목차 ... 11
  • 국문요약 ... 12
  • 영문요약 ... 22
  • 제1편 총 론 ... 24
  • 제1장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25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25
  • 제2절 연구의 목적 ... 26
  • 제2장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7
  • 제1절 연구의 범위 ... 27
  • 제2절 연구의 방법 ... 27
  • 제2편 대만의 행정환경 ... 30
  • 제1장 대만의 인문・사회학적 환경 ... 31
  • 제1절 역사적 환경 ... 31
  • 제2절 지리적 환경 ... 35
  • 제3절 사회・문화적 환경 ... 37
  • 제4절 정치 경제적 환경 ... 44
  • 제5절 한국과의 관계 ... 47
  • 제2장 대만의 헌법 및 법률적 기반 ... 48
  • 제1절 헌법 내용 및 특성 ... 48
  • 제2절 정부조직법(정부조직) ... 55
  • 제3장 대만의 정치체제 및 거버넌스 ... 56
  • 제1절 정부형태 및 정치체제 ... 56
  • 제2절 정치과정 ... 62
  • 제3편 대만의 행정체계와 과정 ... 66
  • 제1장 대만의 행정조직 및 인적자원관리 ... 67
  • 제1절 행정조직 ... 67
  • 제2절 인적자원관리의 기본방향 ... 87
  • 제3절 인사행정제도 ... 89
  • 제4절 인사행정의 개혁 ... 109
  • 제5절 한국에 대한 시사점 ... 116
  • 제2장 대만의 재정관리 ... 118
  • 제1절 조세체계 ... 118
  • 제2절 정부간 세무관계 ... 121
  • 제3절 조세수입 외의 재정수입 ... 124
  • 제4절 조세수입 현황 ... 127
  • 제3장 대만의 정부간 관계와 지방행정 ... 129
  • 제1절 지방자치제도의 내용 및 특성 ... 129
  • 제2절 지방행정체제 및 조직관리 ... 134
  • 제4장 대만의 전자정부 ... 142
  • 제1절 추진 현황 ... 142
  • 제4편 대만의 공공정책 ... 152
  • 제1장 대만의 외교・국방정책 ... 153
  • 제1절 서론 ... 153
  • 제2절 대만의 국제정세 및 외교정책 ... 154
  • 제3절 국방정책의 개혁 ... 170
  • 제4절 한국과의 관계 ... 178
  • 제2장 대만의 경제・산업정책 ... 180
  • 제1절 경제・산업정책의 발전과정 및 방향 ... 180
  • 제2절 경제・산업정책의 기조 및 방향 ... 187
  • 제3절 경제・산업정책의 구조와 특징 ... 191
  • 제4절 한국과의 관계 ... 201
  • 제3장 대만의 보건・복지・환경정책 ... 203
  • 제1절 보건・복지・환경정책의 기조 ... 203
  • 제2절 보건・복지・환경정책의 결정체계 및 결정과정 ... 213
  • 제3절 보건・복지・환경정책의 주요 내용 및 평가 ... 217
  • 제4장 대만의 교육・문화정책 ... 260
  • 제1절 교육・문화정책의 기조 ... 260
  • 제2절 교육・문화정책의 결정체계 및 결정과정 ... 265
  • 제3절 교육・문화정책의 주요 내용 및 평가 ... 271
  • 제5편 한국에 대한 시사점 ... 282
  • 1. 한국과의 특성차이 ... 283
  • 2. 한국과의 관계구조 ... 284
  • 3. 한국에 대한 시사점 ... 285
  • 참고문헌 ... 288
  • 끝페이지 ... 293

표/그림 (35)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