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기반 실시간 침수안전경로 안내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the Safety Route System in Inundation Area based on Smartphon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주)지오매틱코리아
연구책임자 신정석
참여연구자 최영락 , 전영국 , 유재명 , 김종기 , 김영훈 , 정종렬 , 김영선 , 임두현 , 정규용 , 정지웅 , 이경현 , 김은미 , 장명 , 고윤성 , 송영미 , 서영원 , 이승택 , 강경훈 , 그외 다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4-04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소방방재청
사업 관리 기관 (특)한국방재협회
등록번호 TRKO201400018838
과제고유번호 1665006160
사업명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4-10-11
키워드 침수위험지수.최단경로.전국도로망도.스마트폰.

초록

Ⅱ. 연구목적
1. 침수위험정보가 반영된 전국 도로망 생성 및 실시간 자료연계
전국 규모의 침수위험도로를 생성하기 위해 표준 노드/링크와 재해지도를 활용하여 차량과 보행자용 침수위험 도로 DB설계 및 구축을 진행하였다. 또한 기상청, 교통자료를 실시간 연계하여 침수위험정보 DB를 구축하고 구축된 내용을 Open API를 통하여 관련기관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구축된 DB를 관리하고 새로운 레이어를 추가하여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Web 기반의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관리시스템은 도형 및 속성에 대한

Abstract

Ⅱ. Objectives
1. Creation of network which based on flood risk information of whole road and real-time data link
In order to create nation-wide flood risk roads, we designed and constructed flood risk roads (for pedestrians and vehicles) DB by using standard node/link and disaster map. In addi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요 약 문 ... 7
  • SUMMARY ... 11
  • 차 례 ... 17
  • 그림차례 ... 23
  • 표 차 례 ... 35
  • 제 1 장 서론 ... 41
  • 1.1 연구의 필요성 ... 41
  • 1.2 연구목적 ... 42
  • 1.3 연구방법 ... 43
  • 제 2 장 1차년도 연구내용 ... 45
  • 2.1 전국 규모의 앆전한 침수위험 도로DB 구축 ... 45
  • 2.1.1 자료수집 ... 45
  • 2.1.2 데이터베이스 설계 ... 72
  • 2.2 실용적 도로의 침수위험지수 결정 모델 개발 ... 99
  • 2.2.1 1차년도 연구 전체 개요 ... 99
  • 2.2.2 기본 침수위험지수 ... 100
  • 2.2.3 실시간 강우량 침수위험지수 ... 116
  • 2.2.4 실시간 재해 정보의 활용 ... 123
  • 2.3 도로 DB 설계 ... 124
  • 2.3.1 기획회의를 통한 요구사항 분석 ... 124
  • 2.3.2 차량, 보행자용 도로 DB 설계 방안 연구 ... 135
  • 2.3.3 차량, 보행자용 도로 DB 테이블 구성 연구 ... 146
  • 2.3.4 차량, 보행자용 통행정보 DB 구성 연구 ... 149
  • 제 3 장 실시간 정보연계 ... 151
  • 3.1 실시간 기상정보 연계 ... 151
  • 3.1.1 기상정보 자료제공 사이트 ... 151
  • 3.1.2 기상정보 연계 ... 154
  • 3.2 실시간 교통정보 연계 ... 166
  • 3.2.1 교통정보 자료제공 사이트 ... 167
  • 3.2.2 교통정보 연계 ... 172
  • 3.3 Open API 개발 ... 181
  • 3.3.1 Open API란? ... 181
  • 3.3.2 Open API의 기술 플랫폼 ... 182
  • 3.3.3 Open API 활용 사례 ... 185
  • 3.3.4 Open API 서비스 ... 201
  • 3.4 관리자 시스템 ... 211
  • 3.4.1 시스템 설정 ... 211
  • 3.4.2 시설정보 ... 213
  • 3.4.3 기상정보 ... 216
  • 3.4.4 도로정보 ... 217
  • 3.4.5 재난속보 ... 218
  • 3.5 사용자 시스템 ... 220
  • 3.5.1 재해정보지도 ... 220
  • 3.5.2 재난시설 ... 221
  • 3.5.3 기상정보 ... 222
  • 3.5.4 재난상황알림 ... 223
  • 3.5.5 공지사항 ... 224
  • 3.5.6 Open API ... 225
  • 제 4 장 실용적 도로 침수위험지수 모델 개발 ... 227
  • 4.1 연구 배경 ... 227
  • 4.2 연구 목적 ... 229
  • 4.3 실시간 도로 침수위험지수 개발 모델 ... 232
  • 4.4 도로 강우 위험 지수 ... 237
  • 4.4.1 도로 강우위험지수 결정 인자 ... 238
  • 4.4.2 도로 강우위험지수 결정 알고리즘 ... 276
  • 4.5 실시간 침수 정보의 활용 ... 279
  • 4.5.1 실시간 교통 정보의 활용 ... 280
  • 4.5.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활용 ... 290
  • 4.6 실시간 도로 침수위험지수의 검증 ... 302
  • 4.6.1 검증 #1 : 2007년 2월 13일 ... 302
  • 4.6.2 검증 #2 : 2008년 8월 13일 ... 304
  • 4.6.3 검증 #3 : 2009년 7월 7일 ... 307
  • 4.6.4 검증 #4 : 2009년 7월 16일 ... 309
  • 4.6.5 검증 #5 : 2010년 9월 7일 ... 312
  • 4.6.6 검증 #6 : 2011년 7월 27일 ... 314
  • 4.6.7 검증 #7 : 2012년 7월 15일 ... 316
  • 4.6.8 검증 #8 : 2013년 6월 19일 ... 319
  • 4.6.9 검증 결과 ... 322
  • 4.6.10 실시간 도로 침수위험지수 자동 계산 프로그램 구현 ... 322
  • 4.7 침수위험도로 회피 경로 모델 ... 328
  • 4.7.1 기존 경로 탐색 알고리즘 분석 ... 328
  • 4.7.2 침수위험도로 회피 경로 검증 ... 331
  • 4.8 시스템 기반의 도시유출모형 적용 방안 ... 336
  • 4.8.1 서 론 ... 336
  • 4.8.2 연구대상지역의 확률강우량 산정 ... 342
  • 4.8.3 시스템 적용을 위한 유출모형(SWMM) 검토 ... 359
  • 4.8.4 결 론 ... 407
  • 제 5 장 스마트폰 기반 실시간 침수 안전경로 안내 시스템 설계 ... 409
  • 5.1 차량과 보행자용 서비스를 위한 맞춤형 DB 설계 ... 409
  • 5.1.1 서비스 구현을 위한 위치정보의 취득 연구 ... 409
  • 5.1.2 차량과 보행자용 서비스를 고려한 DB 설계 ... 413
  • 5.2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설계 ... 435
  • 5.2.1 서비스 인터페이스 사례 분석 ... 435
  • 5.2.2 침수위험지수 데이터를 반영한 경로 탐색 설계 ... 441
  • 5.2.3 경로안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 446
  • 제 6 장 스마트폰 기반 실시간 침수 안전경로 안내 시스템 개발 ... 457
  • 6.1 실시간 침수 안전경로 안내 시스템 구성 ... 457
  • 6.1.1 서비스 구현을 위한 시스템 구성 ... 457
  • 6.1.2 프로토타입 모델 정립 ... 458
  • 6.2 실시간 침수 안전경로 안내 시스템 개발 ... 464
  • 6.2.1 웹환경에서의 프로토타입 구현 ... 464
  • 6.2.2 스마트폰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 467
  • 제 7 장 테스트 및 시험운영 ... 485
  • 7.1 단위 테스트 ... 485
  • 7.1.1 개요 ... 485
  • 7.1.2 단위 테스트 명세 ... 487
  • 7.1.3 단위 테스트 결과 ... 497
  • 7.2 통합 테스트 ... 500
  • 7.2.1 개요 ... 500
  • 7.2.2 통합 테스트 명세 ... 501
  • 7.2.3 통합 테스트 결과 ... 507
  • 제 8 장 연구결과 및 향후 운영 방안 ... 511
  • 8.1 연구결과 ... 511
  • 8.2 향후운영방안 ... 511
  • 8.2.1 시스템 운영 목표 ... 511
  • 8.2.2 시스템 운영 방안 ... 513
  • 8.2.3 시스템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514
  • 8.3 향후 발전 방향 ... 515
  • 8.3.1 활용 방안 ... 515
  • 참 고 문 헌 ... 519
  • 끝페이지 ... 52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