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식품분야 생명산업 현황 및 발전방향
Study of Bioindustry in the Agri-Food Sector: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Strategi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연구책임자 김연중
참여연구자 한혜성 , 임수현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12
과제시작연도 2012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사업 관리 기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등록번호 TRKO201400019130
과제고유번호 1105006496
사업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DB 구축일자 2014-11-10

초록

연구결과 및 시사점
농식품분야의 생명산업은 ①농생명 식량산업(Agro-Green Industry), ②농생명 소재산업(Agro-Blue Industry), ③농생명지원 식량산업(Fusion Ag_Green Industry), ④농생명지원 소재산업(Fusion Ag_Blue Industry)으로 분류할 수 있다. 부처별로 생명산업의 투자형태는 차이가 있는데 교과부는 대체적으로 기반산업에 투자하는가 하면 복지부, 농림수산식품부, 지경부는 응용 및 생명응용 및 생산부문에 중점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2010년 기준 농식품 생명산업분야

Abstract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types of investment in bioindustry in agriculture vary among government departme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vests mostly in industry infrastructure, wherea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머 리 말 ... 3
  • 요 약 ... 5
  • ABSTRACT ... 8
  • 차 례 ... 11
  • 표 차례 ... 13
  • 그림 차례 ... 16
  • 제1장 서 론 ... 17
  • 1. 연구의 필요성 ... 17
  • 2. 연구목적 ... 19
  • 3. 선행연구 검토 ... 20
  • 4. 연구범위 및 방법 ... 28
  • 5. 보고서 구성 및 한계 ... 31
  • 제2장 생명산업의 현황 및 시장규모 ... 33
  • 1. 생명산업의 정의 및 분류 ... 33
  • 2. 생명산업의 R&D 투자현황 ... 41
  • 3. 농식품분야 생명산업의 시장규모 추정 ... 47
  • 제3장 생명공학기술 수준 및 개발방향 ... 61
  • 1. 생명공학기술 수준 ... 61
  • 2. 특허분석에 의한 생명공학기술의 질적 수준 ... 66
  • 3. 특허분석에 의한 농업분야의 기술개발 ... 75
  • 4. AHP 분석을 이용한 농식품분야 기술개발 우선순위 ... 76
  • 제4장 생명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산업화 방향 ... 87
  • 1. 산업연관표의 의의 및 구조 ... 87
  • 2. 산업별 각종 유발계수 분석 ... 90
  • 3. 농식품 생명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 101
  • 4. 농식품분야 생명산업의 산업화 방향 ... 105
  • 제5장 생명공학 관련 법·제도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 109
  • 1. 생명공학 법·제도의 현황 ... 109
  • 2. 생명공학 관련 법·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112
  • 3. 생명공학 관련 법·제도의 관리체계 구축 ... 115
  • 제6장 생명산업의 발전방향 ... 119
  • 1. 기본방향 ... 119
  • 2. 생명산업의 발전방향 ... 121
  • 제7장 요약 및 결론 ... 136
  • 참고 문헌 ... 136
  • 부록: 산업연관분석 결과 ... 143
  • 끝페이지 ... 151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