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병해 주요작물병(풋마름병, 무름병)의 친환경 생물농약개발
Development of environment friendly biopesticide to control soil-borne disease(Ralstonia solanacearum, Erwinia carotovora) of major crop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강원도농업기술원
Gangwon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9-05
과제시작연도 2008
주관부처 농림축산식품부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등록번호 TRKO201400022563
과제고유번호 1545000439
사업명 농림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4-11-10

초록

○ 연구결과
1) 토마토풋마름병 피해현황조사
토마토풋마름병은 전국 재배지역에서 재배작형에 관계없이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최근에는 겨울과 이른 봄 기온이 상승하여 시기에 관계없이 발생되고있다. 병이 발생한 농가에서는 기존의 살균제나 마이신계통의 농약을 엽면살포하거나 주기적으로 관주하여도 방제되지 않았다. 대부분 농가들은 토마토풋마름병예방을 위해 저항성대목을 이용한 접목묘를 정식하여 재배하고있으나 재배년수가 길어짐에 따라 병원균밀도가 증가하여 병발생이 증가하고있다. 병이 발생한 농가는 전염속도가 빨라 경제적 손실이 막대

Abstract

Baterial wilt(Ralstonia solanacearum) and Soft-rot(Erwinia carotovora) damaged on tomato and oriental cabbage respectively is the most economically important soil-borne pathogens. The disease disperse fastly in high tempertaure and the infected plant wilted in short time to die.
Bacterial wilt of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요약문 ... 3
  • SUMMARY ... 15
  • 목차 ... 17
  • 제 1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 23
  • 제 2장 국내외 기술개발현황 ... 24
  • 제 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25
  • 제 1절 토마토풋마름병 방제용 미생물제 병방제효과 ... 25
  • 1. 토마토시설재배지 풋마름병 피해 및 방제현황 ... 25
  • 가. 병피해상황 ... 25
  • 나. 토마토풋마름병 진단 ... 26
  • 다. 풋마름병 발생농가 방제현황 ... 28
  • 2. 풋마름병 방제용 길항균 선발 ... 29
  • 가. 토양내 미생물분리 ... 29
  • 나. 분리균주 길항작용조사 ... 29
  • 다. 길항균주 동정 ... 31
  • 라. S. griseus0104의 토마토풋마름병원균에 대한 길항작용 ... 32
  • (1) 배지조성별S. griseus0104 항균물질 생산 ... 32
  • (2) 항균물질 분리정제 ... 34
  • (3) S. griseus0104의 토양내 정착능 ... 36
  • (4) S. griseus0104 처리에 의한 토마토풋마름병원균 밀도변화 ... 37
  • (5) 풋마름병원균의 토양내 잔류양상조사 ... 37
  • 3. S. griseus0104제품생산을 위한 제형기술개발 ... 38
  • 가. 대량배양을 위한 액체배양배지 선발 ... 39
  • 나. 고체배양 ... 40
  • (1) 배양배지선발 ... 40
  • (2) 균체수확 및 원제생산 ... 41
  • (3) 토양혼화처리용 입제생산 ... 43
  • (4) 관수처리용 입상수화제 생산 ... 44
  • 4. 토마토풋마름병 피해농가 현지포장시험 ... 44
  • 가. S. griseus0104 균체처리에 의한 방제효과조사 ... 44
  • (1). 시험농가 포장선정 및 포장관리 ... 44
  • (2) 정식 및S. griseus0104 균체처리 ... 44
  • (3) 풋마름병방제효과 ... 45
  • 나 제형물 . 풋마름병방제효과 극대화를 위한 기내시험 ... 48
  • (1) S. griseus0104 제형물 처리에 의한 토양내 풋마름병원균 방제효과조사 ... 48
  • (2) 제형별 S. griseus0104 밀도조정에 의한 풋마름병방제 증진효과조사 ... 49
  • 다 토마토풋마름병방제용 . 기능성퇴비제조 및 병방제효과조사 ... 50
  • (1) 발효퇴비 제조 ... 50
  • (2) 토마토풋마름병방제용 기능성퇴비 살포효과 ... 51
  • (가) 발효촉진을 위한 농산부산물첨가효과 ... 51
  • (나) 부산물첨가 발효퇴비S. griseus0104 균체처리효과 ... 51
  • (다) 퇴비 입제첨가효과 ... 53
  • 라. 토마토풋마름병방제를 위한 토양살포용 입제, 관수용 입상수화제 체계처리효과 ... 54
  • 라. S. griseus0104 미생물제 처리효과에 의한 경제성분석 ... 55
  • 마. 양액재배(코코피트)농가 입상수화제 처리효과 ... 56
  • 바. 피해농가 현지 방제시험 ... 57
  • 제 5절 배추무름병방제용 길항균주 ... 61
  • 1. 길항균주선발 ... 61
  • 2. 균체시료제조 ... 61
  • 가. 배양배지 선발 및 배양조건 ... 61
  • 나. 균체 안정화를 위한 수확과정 ... 62
  • 3. 병방제실험 ... 63
  • 가. 평난지 고온기 배추무름병 생물적방제실험 ... 63
  • 나. 고랭지배추 무름병 생물적방제실험 ... 64
  • 제2절 길항미생물 제품화생산을 위한 대량생산 공정확립 ... 66
  • 1. Pseudomonas putida 10301의 대량배양 및 제제화 ... 66
  • 가. Pseudomonas putida 10301의 소용량 발효조(5ℓ) 배양 최적화 연구 ... 66
  • (1) 분석내용 ... 66
  • (가) 당농도의 분석 ... 66
  • (나) 균체농도 측정 ... 66
  • (다) 생균수 측정 ... 67
  • (라) 플라스크 최적배양조건 ... 67
  • (마) 소용량 발효조(5L) 에서의 최적화 연구 ... 67
  • (바) siderophore 생성량 측정 ... 67
  • (2) 결과 및 고찰 ... 68
  • (가) 플라스크 배양을 통한 배양 최적화 ... 68
  • 나. Pseudomonas putida 10301의 300ℓ 발효조 배양최적화연구 ... 74
  • (1) 재료 및 방법 ... 74
  • (가) 공시균주 및 보존 ... 74
  • (나) 균체농도 측정 ... 74
  • (다) 포도당농도 측정 ... 75
  • (라) 300ℓ 발효조에서의 배양 최적화연구 ... 75
  • (2) 결과 및 고찰 ... 75
  • 다. Pseudomonas putida 10301균의 제제 안정화 ... 76
  • (1) 재료 및 방법 ... 76
  • (가) 냉동동결건조(freeze dry) ... 77
  • (나) 경시 안정성 검사 ... 77
  • (2) 결과 및 고찰 ... 77
  • (가) Freeze dry 방법을 통한 세포안정화 ... 77
  • (나) 흡착(adsorption)을 이용한 세포안정화 ... 79
  • 2. Bacillus licheniformis의 대량배양 및 제제화 ... 80
  • 가. 재료 및 방법 ... 81
  • (1) 공시균주 및 보존 ... 81
  • (2) 사용배지 ... 82
  • 나. 배양 최적화 실험 ... 82
  • (1) Bacillus licheniformis균주의 5L jar fermentor에서의 배양 최적화 ... 82
  • (2) Bacillus licheniformis균주의 pilot plant fermentor에서의 배양 최적화 ... 82
  • 다. 분석방법 ... 82
  • (1) 균체량 및 포자농도 측정 ... 82
  • (2) 포도당 농도 측정 ... 83
  • 4. 미생물 원제의 안정적 수확기술개발 ... 83
  • (1) Bacillus licheniformis spore 수확 ... 83
  • (가) spray dry ... 83
  • (나) freeze dry ... 84
  • (다) 경시변화 ... 84
  • 마. 결과 및 고찰 ... 84
  • (1) Bacillus licheniformis균주의 5L jar fermentor에서의 배양 최적화 ... 84
  • (2) Bacillus licheniformis균주의 pilot plant scale에서 배양 최적화 ... 86
  • (3) Bacillus licheniformis원제의 제제 안정화 ... 87
  • 3. Sreptomyces griseus0104의 Pilot 배양을 위한 배양조건 실험 ... 89
  • 가. 실험재료 ... 89
  • (1) 고체배지 ... 89
  • (2) 액체배지 ... 89
  • 나. 실험 방법 ... 89
  • (1) 균주 보관 ... 89
  • (2) 고체 배양 ... 89
  • (3) 종균 배양 ... 90
  • (4) 본배양 ... 90
  • (5) 세포수 측정 ... 90
  • 다. 연구수행결과 ... 90
  • (1) 고체배지선별 ... 90
  • (2) 플라스크 배양을 통한 액체배지선별 ... 92
  • (3) 5L 발효조의 회분식 배양 ... 94
  • ① Bennett's 배지와 YM 배지의 5L 회분식 배양 ... 94
  • ② Dextrin을 이용한 5L 회분식 배양 (1) ... 95
  • ③ Dextrin을 이용한 5L 회분식 배양 (2) ... 98
  • 라. 연구 성과 및 향후 개발 ... 99
  • 4. S. griseus0104 pilot배양에 의한 균체 대량생산 및 안정화 ... 101
  • 가.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 101
  • (1) 실험재료 ... 101
  • (나) 사용 배지 ... 101
  • ① 고체배지 ... 101
  • ② 액체배지 ... 101
  • 나. 실험방법 ... 102
  • (1) 균주보관 ... 102
  • (2) 고체배양 ... 102
  • (3) 종균배양 ... 102
  • (4) 본배양 ... 102
  • (5) 세포수 측정 ... 102
  • (6) 분석 방법 ... 103
  • 다. 연구수행결과 ... 103
  • (1) 고체배지선별 ... 103
  • (2) 플라스크 배양을 통한 액체배지선별 ... 103
  • (3) 5L 발효조의 회분식 배양 ... 111
  • (4) Dextrin을 이용한 500L 회분식 배양 ... 115
  • 라. 연구 성과 및 향후 계획 ... 119
  • 제3절. 토양병해방제용 미생물 원제 및 제품에 대한 안전성조사 ... 120
  • 1. 길항균주 5종에 대한 안전성조사 ... 120
  • 가. 시험목적 ... 120
  • 나. 미생물농약등록을 위한 조사지침자료 ... 120
  • 다. 원제독성조사 길항균주 ... 120
  • 라. 원제독성 예비시험 ... 121
  • 마. 연구내용 ... 121
  • (1) 공시시험동물 ... 121
  • (2) 순화 및 검역 ... 121
  • (3) 사육환경 ... 122
  • (4) 투여약량 수준설정 및 시험물질조제 ... 122
  • (5) 시험물질투여 ... 124
  • (6) 관찰 및 조사항목 ... 124
  • 바. 결과 및 고찰 ... 125
  • (1) 치사동물 및 LD50값 ... 125
  • (2) 일반중독증상 ... 125
  • (3) 체중변화 ... 125
  • (4) 부검소견 ... 126
  • 2. 토양병해방제용 미생물 원제(S. griseus0104)에 대한 독성 및 병원성검증 ... 127
  • 가. 시험목적 ... 127
  • 나. 연구수행지침자료 ... 127
  • 다. 연구내용 ... 127
  • ◦ S. griseus0104 원제의 병원성검증 재료 ... 127
  • ◦ 공시 시험동물 ... 127
  • ③ 순화 및 검역 ... 128
  • ④사육환경 ... 128
  • ⑤ 투여약량 수준설정 및 시험물질 조제 ... 129
  • ⑥ 시험물질의 투여 ... 130
  • ⑦ 관찰 및 조사항목 ... 130
  • ⑧ 반수치사용량(LD50) 및 반수치사농도(LC50) 산출 ... 132
  • 4. 연구결과 고찰 ... 132
  • ① 급성경구 및 병원성시험 ... 132
  • ②급성정맥 및 병원성시험 ... 134
  • ③ 급성경피 및 병원성시험 ... 135
  • ④담수어류에 대한 영향시험 ... 135
  • ⑤ 담수무척추동물에 대한 영향시험 ... 136
  • 5. 고 찰 ... 136
  • 3. 제품의 안전성 평가(흙향, 청고탄 제품의 독성 및 병원성 검증) ... 138
  • 가. 요약 ... 138
  • 나. S. grieus0104고상 (109 cfu/g)의 급성경구독성 및 병원성시험 ... 138
  • 다. S. grieus0104 고상 (109 cfu/g)의 급성경피독성 및 병원성시험 ... 139
  • 라. S. grieus0104 고상 (109 cfu/g)의 급성정맥 내 독성 및 병원성시험 ... 140
  • 마. S. grieus0104 고상 (109 cfu/g)의 안점막자극성시험 ... 141
  • 바. S. griseus0104 고상 (109 cfu/g)의 피부자극성시험 ... 142
  • 사. S. grieus0104 고상(109 cfu/g)의 피부감작성시험 ... 143
  • 아. S. grieus0104 고상 (109 cfu/g)의 잉어(Cyprinus carpio) 영향시험 ... 145
  • 자. S. grieus0104 고상 (109 cfu/g)의 물벼룩(Daphnia magna) 영향시험 ... 146
  • 제 4절 토마토풋마름병 방제용 미생물제 흙향, 청고탄 생산 ... 149
  • 가. 제조기술 확립 ... 149
  • 나. 품질관리시스템 구축 ... 150
  • 다. 풋마름병방제 시제품의 유효미생물 검정 및 오염미생물 검사 ... 152
  • 라. 풋마름병방제 시제품의 생물농약 등록 ... 161
  • 제 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162
  • 제 5장 연구개발성과 및 성과활용계획 ... 168
  • 제 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168
  • 제 7장 참고문헌 ... 169
  • 끝페이지 ... 17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