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염도 해수 자원화를 위한 고도화 처리 기술개발 기획연구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Chonnam National University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4-04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해양수산부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등록번호 TRKO201500000631
과제고유번호 1525003155
사업명 해양R&D역량강화
DB 구축일자 2015-05-02
키워드 고염도 해수.다단증발법.저온진공건조.식용소금.결정소금.천연미네랄.타당성분석.High salinity sea water.Muit-stage evaporation.Low temp..vacuum dry.Table salt.Crystal salt.Natural mineral.Feasibility Study.

초록

○ 기획연구의 목표 : 최근의 특허 및 선진국 기술개발동향과 시장분석을 통해 역삼투압(R.O)식 담수설비에서 배출되는 고염도 해수를 자원화하기 위한 고도화 처리기술 개발방향을 검토하여 명확한 기술개발 로드맵 작성
<기획연구의 결과>
○ 연구분야를 첨단 진공농축, 저온 진공건조, 고품질 소금생산 기술로 구분하여 기술동향,제품동향, 특허동향 조사 분석 및 개발방향 정립
○ 고염도 해수 자원 개발과 관련된 시장동향, 세계시장규모, 우리나라현황 및 시장전망분석
○ 우리나라와 세계의 진공농축․진공건조 복합플랜트 To-B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보고서 요약서 ... 3
  • 요약문 ... 4
  • 목차 ... 12
  • 표목차 ... 16
  • 그림목차 ... 20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추진 방향 ... 25
  • 1. 연구개발의 배경 ... 25
  • 가. 경제사회적 배경 ... 27
  • 나. 기술적 배경 ... 31
  • 2. 연구개발의 필요성 ... 36
  • 가. 경제사회적 필요성 ... 36
  • 나. 기술적 필요성 ... 43
  • 3. 연구 수행 범위 및 방법 ... 45
  • 가. 연구 수행 범위 ... 45
  • 나. 연구 수행 방법 ... 45
  • Ⅱ. 관련 시장 분석 ... 49
  • 1. 선행 시장 분석 ... 49
  • 가. 소금 시장의 현황 및 전망 ... 49
  • 나. 물 시장의 현황 및 전망 ... 62
  • 다. 해수 용존 희귀광물 시장의 현황 및 전망 ... 67
  • 2. 기술 시장 분석 ... 75
  • 가. 고염도 해수를 발생하는 해수담수기술 시장 분석 ... 76
  • 나. 농축기술 시장 분석 ... 79
  • 다. 건조기술 시장 분석 ... 81
  • Ⅲ. 고염도 해수 용존 자원 활용 기술 현황 분석(As-Is 분석) ... 86
  • 1. 국내 기술 및 정책 동향 ... 86
  • 가. 국내 기술 현황 ... 86
  • 나. 국내 주요 관련업체 ... 110
  • 다. 국내 전문가 및 연구기관 현황 ... 116
  • 라. 국내 연구 인프라 수준, 국내 기술개발 등 ... 116
  • 마. 현재까지 정부 및 민간의 연구 개발 실적 ... 121
  • 바. 해외 선진기업과의 기술적 차이 ... 125
  • 사. 국내 정책 수립 및 지원 현황 ... 127
  • 2. 국외 기술 및 정책 동향 ... 129
  • 가. 주요 국가의 시장 규모, 세계 시장 선도 업체 ... 129
  • 나. 소금에 대한 국외 정책 동향 ... 138
  • 3. 국내외 기술 격차 현황 ... 144
  • 가. 세부 기술별 국내, 국외 격차 현황 ... 144
  • Ⅳ. 특허 동향 분석 ... 158
  • 1. 개요 ... 158
  • 가. 분석배경 및 목적 ... 158
  • 나. 분석 범위 ... 159
  • 2. 동향분석 ... 165
  • 가. 특허기술 Landscape ... 165
  • 나. 핵심기술 분석 ... 173
  • 3. 심층분석 ... 187
  • 가. 심층분석 Criteria ... 187
  • 나. 핵심기술에 대한 R&D방향성 및 전략도출 ... 187
  • 4. 결론 및 시사점 ... 203
  • 가. 결론 ... 203
  • 나. 시사점 ... 207
  • Ⅴ. 고염도 해수 용존 자원 활용 기술 향후 모형 구축(To-Be 모형) ... 209
  • 1. 기술수요조사 ... 209
  • 가. 조사개요 ... 209
  • 나. 고염도 해수자원 활용을 위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 ... 210
  • 다. 고염도 해수자원 활용 기술 개발을 위한 타당성 ... 211
  • 라. 고염도 해수에 대한 자원의 중요도 ... 212
  • 마. 고염도 해수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핵심기술의 기술수준 ... 218
  • 바. 고염도 해수자원 고도화 처리기술의 상용화 소요기간 ... 220
  • 사. 기획단계에서 고려해야할 대상 소금의 종류 ... 221
  • 아. 고염도 해수를 활용한 소금생산 핵심기술의 필요성 ... 223
  • 2. 연구개발 대상 기술의 도출 ... 228
  • 가. 연구 방향 설정 ... 228
  • 나. 대상기술의 선정 ... 229
  • 3. 세부 연구개발 대상 수립 ... 242
  • 가. 다중효용증발법(MED)에 의한 농축기술의 세부 연구과제 도출 ... 242
  • 나. 저온진공건조방식에 의한 건조기술의 세부 연구과제 도출 ... 247
  • 다. 소금생산기술의 세부 연구과제 도출 ... 250
  • 4. 향후(To-Be) 모형의 적합성 및 예산 ... 254
  • 가. 모형의 적합성 검토 ... 254
  • 나. 외국 기술 대체 가능성 ... 254
  • 다. 연구기간, 연구내용 및 적정 예산 도출 ... 255
  • 5. 타 산업 및 국내외 연계 협력 가능성 검토 ... 263
  • 가. 정부 부처 역할 분담 ... 263
  • 나. 국내 동종 및 이종 기업간 연계협력 가능성 검토 ... 263
  • 다. 산업 내 연계를 통한 Track Record 확보 전략 ... 264
  • 라. 민간의 참여 가능성 검토 ... 264
  • Ⅵ. 고염도 해수 용존자원 활용 가능성 분석 ... 265
  • 1. 고염도 해수 처리 공정 설계 ... 265
  • 가. 고염도 해수처리 공정 ... 266
  • 나. 공정별 고염도 해수 처리 능력 비교 ... 267
  • 2. 고염도 해수자원 성분 분석 ... 268
  • 가. 공정별 해수자원 성분 분석 ... 268
  • 나. 공정별 해수자원 회수율 분석 ... 272
  • 다. 공정별 열효율 및 생산효율 분석 ... 280
  • 3. 고염도 해수자원의 식품 사용 적합도 분석 ... 282
  • 가. 기술 활용 기업에 의한 적합도 판정 ... 282
  • 나. 성분 분석에 의한 적합도 판정 ... 283
  • Ⅶ. 타당성 분석 ... 285
  • 1. 정책적 타당성 검토 ... 285
  • 가. 상위계획과의 관련성 ... 285
  • 나. 정부지원의 필요성, 산업균형발전 ... 290
  • 다. 사업 수행의 위험요인 및 대응방안 ... 293
  • 2. 기술적 타당성 검토 ... 295
  • 가. 기술수준 및 기술개발 성공가능성 ... 295
  • 나. 과학기술 파급효과 ... 295
  • 3. 경제적 타당성 검토 ... 297
  • 가. 비용분석 ... 297
  • 나. 수익 구조 ... 299
  • 다. 수익성 평가의 기본 전제 ... 300
  • 라. 수익성 분석 기법 ... 302
  • 마. 비용과 수익의 추정 및 타당성 분석 ... 303
  • 바. 재무적 할인율 결정 ... 304
  • 사. 수익성 분석 ... 307
  • 아. 결론 ... 315
  • Ⅷ. 연구수행계획의 작성 ... 318
  • 1. 연구개발 추진전략(로드맵) ... 318
  • 가. 단기, 중장기 추진 계획의 수립 ... 318
  • 나. 단계별 목표치의 설정 ... 321
  • 다. 연구비 도출 근거 ... 332
  • 2. RFP의 도출 ... 335
  • 가. 첨단 진공증발농축 플랜트 분야 ... 335
  • 나. 첨단 저온진공건조 플랜트 분야 ... 337
  • 다. 고품질 고부가가치 소금 생산기술 분야 ... 339
  • 3. 추진체계 ... 341
  • 4. 최종성과물 활용 방안 ... 343
  • Ⅸ. 참고 문헌 ... 344
  • 끝페이지 ... 349

표/그림 (216)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