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Yonsei University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1-02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건강증진개발원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ion |
등록번호 |
TRKO201500006566 |
DB 구축일자 |
2015-06-13
|
초록
▼
Ⅳ. 연구 결과
제 1주제: 연구조사 결과 63%의 높은 회수율을 보였고 관청 내 금연구역․흡연실 설치 여부에 대한 조사 결과 각각 91%, 59%로 나타났으며 흡연실 설치여부와 흡연실 설치 필요성에 대한 x 2분석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는데 흡연실 설치를 한 관청의 경우 흡연실 설치가 꼭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분석에 사용된 154개 관청 중 22%에 해당하는 34개 관청에서 금연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금연프로그램 실시여부와 관련하여 광역시청․시청․도청․군청․구청 별 x 2분석 결과 이러한
Ⅳ. 연구 결과
제 1주제: 연구조사 결과 63%의 높은 회수율을 보였고 관청 내 금연구역․흡연실 설치 여부에 대한 조사 결과 각각 91%, 59%로 나타났으며 흡연실 설치여부와 흡연실 설치 필요성에 대한 x 2분석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는데 흡연실 설치를 한 관청의 경우 흡연실 설치가 꼭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분석에 사용된 154개 관청 중 22%에 해당하는 34개 관청에서 금연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금연프로그램 실시여부와 관련하여 광역시청․시청․도청․군청․구청 별 x 2분석 결과 이러한 분류에 따라 금연프로그램 실시 여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도청에서의 높은 실시율이나 군청에서의 상대적으로 낮은 실시율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연구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금연프로그램을 실시 중인 관청의 경우 주 대상자인 해당 관청 내 공무원들의 호응 부족 내지는 무관심, 지원 부족 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었으며 이에 정부의 인력 및 재정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무엇보다 지방세중 담배소비세가 차지하는 많은 비중은 현재의 지방자치제 하에서 각 지방자치단체가 이에 상당 부분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기 때문에 해당 관청 내에서는 물론, 관할 구역에 대한 적극적인 금연 활동에 대한 저해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각 지방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금연프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금연분위기 조성에 힘쓰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현행 국민건강증진법 시행에 따른 금연구역․흡연구역의 설정 또한 완벽하게 시행되지 않고 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정부의 많은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제 2주제: 설문결과 금연프로그램 실시와 관련하여 정부에서 지원했으면 하는 것에 대해서 보건소장은 ‘예산지원’이 48명(49.5%)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전문인력지원’이 32명(33.0%)을 차지하였다. 주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교육대상으로는 보건소장과 금연담당자 모두 ‘학생’으로 응답하였다. 현재 실시하고 있는 금연교육 프로그램 중 성공했다고 생각되는 프로그램의 교육대상으로는 보건소장과 금연담당자 모두 ‘학생’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성인’과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금연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낮은 성공률을 보였다. 보건소장이 생각하는 흡연률 감소를 위한 규제방안의 우선순위에 가중치를 주어 이를 점수화 하였다. 그결과 청소년의 경우에 ‘담배 자판기 설치 제한’이 1.020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성인의 경우에는 ‘흡연장소의 규제’가 0.530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실현 가능한 면에서 보면, ‘금연교육’이 0.486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흡연장소의 규제’가 0.464점이였다. ‘흡연장소의 규제’를 보면, 성인 효과면과 실현 가능한 면에서는 각각 0.530과 0.464로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청소년 효과면 에서는 0.236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제 3주제: 현재 금연클리닉을 상시적으로 개설하고 있는 병원은 전국에 5개 병원에 불과하였다. 그리고 이 금연클리닉은 금연 진료에 투자하는 시간에 비해서 환자의 수가 적고, 금연 성공률이 30-50% 정도인것을 알 수 있었다. 금연클리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금연에 대한 사회 전체의 분위기가 개선될 필요가 있고, 보험진료에 대한 의료보험 급여, 보다 효과적인 약물 도입, 그리고 병원 경영자의 금연 진료에 대한인식 전환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외국의 문헌 고찰에서 금연진료는 비용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려면 금연 약물치료에 대한 본인부담금 수준을 현재보다 더 낮추거나 없애야 할 것이다. 또한 의사를 비롯한 의료제공자의 금연진료 제공 능력을 향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 의과대학 교과과정과 졸업 후 수련과정에 금연진료가 포함되도록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금연진료의 표준진료지침도 개발하였다. 금연 진료 가이드는 흡연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접근해야하므로,
- 금연 동기가 충분한 흡연자를 위한 금연진료 가이드(가)
- 담배를 끊지 않겠다고 하는 흡연자에게 금연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가이드(나)
- 최근 금연한 사람을 위한 가이드(다)
- 집중적인 금연 교육(라)
4가지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아울러 심층환자 면담을 위한 금연 교육자료를 다양한 그림과 표를 이용해서 Microsoft사의 powerpoint로 만들었다.
제 4주제: 연구대상자 모두 학생들의 흡연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저학년의 학부모일수록 흡연에 대하여 민감하게생각하고 있었다. 현재 금연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경우는 고등학교(78%), 초등학교(60%), 중학교(56%) 순이었으며 대학교는 모두 금연교육을 현재 실시하고 있지 않고 있었다. 실제 금연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학교의 경우 학생들이 선호하고 실제 성공도가 높은 순위를 내용별로 살펴보면 먼저 교육대상자는 고등학교 1학년,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순이었으며, 교육 방법은 금연 비디오, 강의진은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양호교사, 고등학교는 교내전담 교원을 선호하였다. 교육내용은 초등학교는 흡연예방, 중학교는 흡연예방과 흡연에 관한 지식과 태도, 고등학교는 흡연지식 및 태도와 금연방법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때 금연교육은 초등학교 고학년 때부터 필요하며 교육담당자는 교내 양호교사와 전담교원이 중심이 되어 이들을 외부교육 및 연수 등을 통해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게 하고 교육 프로그램도 애니메이션, 컴퓨터 게임 및 영화 등의 방법으로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흡연예방과 흡연지식/태도, 고등학교는 흡연지식과 금연방법의 내용을 포함하여 장기적으로 연계성있는 학년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
금연교육을 정규교과과정으로 편성하고 있다는 경우는 초등학교(27%), 고등학교(15%), 중학교(10%) 순으로 많았으며, 정규교과과정으로 편성할 계획이 있는 경우 초등학교(45%), 고등학교(26%), 중학교(18%) 그리고 대학교(0%)순이었다. 이와 같이 금연교육의 정규교과과정 필요성이 초등학교나 중학교에서 높다는 사실을 주시하여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조기 흡연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도입을 적극 권장하고, 흡연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정규 교육과정내에 포함하는 제도적 마련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금연 프로그램을 교육시간 배정이 힘들어 정규교과과정에 편성할 수 없다는 이유가 각 학교의 담당자와 학교의 기관장의 의견과 일치하므로 교육부와의 제도적인 협력이 우선 요구되며 그 다음으로 전담인력의 분배라든지 예산문제 등이 뒤따라 해결되어야할 것이다.
금연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개선이 되어야 할 방안으로 초․중․고등학교 및 대학교 모두 금연의 중요성 인식확립이었으며 이러한 개성방안과 관련하여 정부에서 지원해야할 방향은 효과적인 금연 정책 수립이 가장 우선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모든 학교에서 학교의 기관장과 담당자뿐만 아니라 학부모에서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금연의 중요성 인식은 학교 특성별로 학년별로 체계적이고 실현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이 우선되어야 가능하다고 본다. 또한 흡연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각 학교별로 가장 많은 의견을 제시한 내용을 우선적인 정부지원 방향인 금연정책 수립과 연계해 볼 때 초등학교는 조기 흡연예방을 위한 방안 강구, 중학교는 조기흡연예방 뿐만 아니라 대중매체를 통한 금연캠페인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고등학교는 대중매체를 통한 금연캠페인과 담배구입 연령을 제한하고, 담배가격을 인상하자는 의견이, 대학교는 대중매체를 통한 금연캠페인 뿐만 아니라 흡연장소를 규제하고, 담배가격을 인상하자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므로 이에 대한 제도적 마련과 지원을 위한 정책이 수립되었으면 한다.
제 5주제: 각 지사별 초, 중, 고등학교의 평균 학교수가 65개인 것을 감안할 때 1년에 1-3회 실시하는 건강보험공단의 금연교육의 횟수는 충분하지 못하였다. 건강보험공단의 주요 교육방법은 비디오 시청인데, 이때 사용되는 비디오의 대부분이 성인을 대상으로 제작된 것이라서 청소년을 주요 대상으로 하고있는 건강보험공단의 금연교육에 알맞은 교재가 아니었다. 현재 금연프로그램의 사업효과를 평가하고 있는지에 관한 문항에 37%만이 그렇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평가를 한다면 어떠한 항목을 평가하는지에 대해서 흡연률을 평가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응답자의 17.6%뿐이었다. 금연교육 담당자로서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인지에 관한 문항에 대해서 가입자들의 호응부족과 담당인력부족, 외부 전문가 섭외 어려움, 프로그램 자료의 부실, 재정부족의 순서로 지적하였다. 청소년에게 가장 효과적인 흡연 규제방안은 담배구입연령의 제한과 담배 자판기설치 제한인 것에 비하여, 성인에게 가장 효과적인 규제 방안은 흡연 장소의규제와 담배 가격 인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 6주제: 직장에서의 금연운동 실태
1. 직장 금연환경 및 홍보활동 실태
가. 현재 사내 금연구역을 설치한 기관은 125개 기관(93.3%)으로, 전회사건물을 금연구역을 설치한 기관은 56개(41.8%), 일부 금연구역을 설치한 기관은 69개(51.5%)이었다. 그리고 81개 기관(60.4%)에서 흡연실을운영하고 있었다.
나. 사내에 담배 자판기가 설치되어 있는 기관은 41(30.6%)개 이었으며 나머지 93개소(69.4%)에서는 판매기 설치 및 판매가 금지되어 있었다.
다. 금연홍보를 위한 활동으로 스티커 부착(45.1%)을 가장 많이 하고 있었으며 포스터 및 표어제작, 유인물 배포 등 순이었다.
라. 5개의 기관(3.7%)에서 보상제도를 실시하고 있었는데 인사고가에 반영하는 기관은 3개, 현금이나 현물을 제공하는 기관은 2개 기관이었다.
마. 사내 금연활동이 성공적이기 위한 방안으로 직원들의 동기유발(37.5%)이 가장 중요하였으며 사내 금연분위가 조성(28.8%), 다양하고 지속적인 금연프로그램의 운영 및 개발(19.2%) 순이었다.
2. 직장 금연 프로그램 운영실태
가. 25개 기업에서 금연프로그램을 실시한 경험이 있었으며, 15개 회사(11.2%)는 현재 금연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었다. 현재 프로그램을 중단했거나 전혀 실시하지 않는 것은 금연의 필요성은 인정하나 주변여건 조성이 미흡한 것(52.5%)이 가장 큰 이유였다.
나. 응답기관 14개 중 5개(35.7%)기관은 실시한지 약 10년이 넘었고, 1년미만이 경우는 6개 기관(42.9%)이었으며, 금연프로그램을 실시하게 된 배경은 ‘직원들 건강을 위해서’가 가장 많았다.
다. 금연 프로그램의 담당부서는 보건후생담당자(8개, 57.1%)가 하거나 일반부서에서하고 있었으며, 금연 담당조직이 상시 운영되는 경우는 2개 기관(14.3%)이었고 나머지는 필요에 따라 운영되고 있었다.
라. 흡연직원을 금연 프로그램의 주 대상자로 하는 기관은 7개 기관(50%)이었으며 전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기관도 5개(35.7%)이었다. 금연 프로그램 자료는 인터넷(53.3%)과 금연단체 및 정부기관(50%)의 자료를 활용하고 있었다. 금연 프로그램 운영에 중 3개 기관만이 예산이 책정되어 있었으며 그 액수는 약 5백만원에서 1천만원이었다.
마. 직원대상 금연강좌는 4개의 기관에서, 별도의 금연교실 운영은 1개 기관에서, 개별 금연상담을 시행하는 기관은 4개 기관에서 운영되고 있었으며 금연관련정보 제공은 소책자, 관련서적, 비디오를 통해 주로이루어지고 있었다.
바. 금연프로그램 실시할 때 가장 비협조적인 반응을 보인 경우는 흡연하는 관리자 및 일반직원 중 흡연자 순이었으며, 금연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직원들의 홍보부족(60.0%) 및 프로그램자료부족(40.4%)으로 지적되었다.
3. 금연성공 기업 방문조사
아시아나 항공사가 금연문화를 이루는데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로는 금연교육이나 금연강좌 뿐 아니라 강제적으로 절대금연을 지시한 회사방침, 담배를 피는 사람에 대한 철저한 감시 등의 강제성과 흡연을 대신 할 수 있는 후생시설로 수영장, 체력단련실, 탁구실, 피부관리실, 노래방등을 만든 것 등이 지적되었는데, 결국 기업주의 의지와 이에 대한 직원들의 참여가 필수적인 요인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
Ⅳ. Result
Part 1: The survey shows a response rate of 63%. With regard to smoking-room and non-smoking areas, 59% of governmental offices designated smoking room and 91% of offices designated non-smoking areas. Out of 154 government offices analyzed for the survey, 34 offices already implemented
Ⅳ. Result
Part 1: The survey shows a response rate of 63%. With regard to smoking-room and non-smoking areas, 59% of governmental offices designated smoking room and 91% of offices designated non-smoking areas. Out of 154 government offices analyzed for the survey, 34 offices already implemented non-smoking programs. Among governmental offices which responded to the survey, 78% of governmental offices did not run smoking cessation programs. Most of them felt it was necessary to adopt smoking cessation programs.
Part 2: Many health director felt that the health center needs to be provided more human(49.5%) and financial resources (33.0%) to aid smoking programs. They reported that the most efficient smoking cessation program was for school program with students.
Part 3: Most of the smoking cessation clinics were not so active and gave counselling to a few smokers. To activate smoking-cessation clinic were needed the health insurance payment of smoking-cessation counselling, introduction of effective drug for smoking-cessation, and concern of hospital top managers to smoking cessation clinic.
Part 4: Schools and colleges preferred non-smoking videos as a teaching method wherea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preferred school nurs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interested in prevention of smoking, whereas in middle school, they preferred knowledge and attitude of smoking and high school students preferred method of non-smoking.
Part 5: The survey shows a shortage of responsible persons. Educational subjects are mainly elementary students, middle school-pupils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 6: The survey shows the responding rate of 50.8%. With regard to smoking and non- smoking areas, 93.3% of the workplaces designated non-smoking rooms which composed of 41.8% of the total non-smoking areas and 51.5% of a part designated for non-smoking area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