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1-05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건강증진개발원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ion |
등록번호 |
TRKO201500006600 |
DB 구축일자 |
2015-06-13
|
초록
▼
Ⅳ. 연구결과
1. 서울의 1,500병상 대학병원에 입원한 249명의 환자에 대한 의무 기록을 검토하여 재입원실태를 조사하였고, 별도의 60세 이상 노인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제공받고 있는 병원서비스 내용을 분석하였다.
1-1. 환자의 재입원실태
1-1-a. 재입원 환자 249명 중 77명(30.9%)은 처음 재입원을 하였고, 69.1%는 중복적인 재입원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1-1-b. 재입원 249명의 환자 중 의료서비스의 질적 문제로 지적되는 ‘계획되지 않은 재입원’은 17명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Ⅳ. 연구결과
1. 서울의 1,500병상 대학병원에 입원한 249명의 환자에 대한 의무 기록을 검토하여 재입원실태를 조사하였고, 별도의 60세 이상 노인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제공받고 있는 병원서비스 내용을 분석하였다.
1-1. 환자의 재입원실태
1-1-a. 재입원 환자 249명 중 77명(30.9%)은 처음 재입원을 하였고, 69.1%는 중복적인 재입원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1-1-b. 재입원 249명의 환자 중 의료서비스의 질적 문제로 지적되는 ‘계획되지 않은 재입원’은 17명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계획된 재입원군에 비해 재입원시 응급실을 경유한 경우가 많았으며(23.5%>9.5%), 이전 입원 당시 76.5%만이 입원목적이 해결된 것으로 나타나 계획된 재입원군의 93.1%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이전 입원기간을 통해 해결되지 않은 임상적 문제가 재입원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1-1-c. 이전입원시 퇴원계획지를 조사한 결과 계획된 재입원은 92.2%가 퇴원계획지가 있었는데 반해, 계획되지 않은 재입원군은 76.5%만이 퇴원계획지가 있었다.
1-1-d. 이전입원시 비정상적인 진단 및 결과는 계획되지 않은 재입원군이 높게 나타났다(12.5%>1.7%).
1-1-e. 본 연구의 결과는 병원 재입원이 퇴원후 추후 관리가 안되어 초래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반복적인 재입원으로 인한 의료자원의 효율성이 떨어짐과 동시에 이러한 불필요한 병상점유로 인해 정작 입원을 필요로 하는 환자의 입원이 힘들어지게 됨으로서 의료서비스의 시의적절한 제공을 어렵게 하고 있다.
1-2. 노인환자의 병원서비스구성 분석
1-2-a. 의무기록분석 대상 노인입원환자의 진료과는 내과(52.0%)가 가장 많았고, 질환군별로는 48.6%가 암․신생물로 인한 입원이었다. 이들의 입원경로는 75.3%가 외래를 통해 이루어졌고, 수술을 위한 입원은 31.5%에 해당하였다.
1-2-b. 노인입원환자가 제공받고 있는 의료서비스는 활력징후 측정이 하루 2-3회가 79.7%로 대개 안정적 상태에 해당하는 범위였고, 투약은 없거나 단순정맥주사 및 경구투약이 80%를 차지했다. 아무런 검사도 없이 입원해 있는 경우가 29.3%에 해당하였고 제공받고 있는 특수케어로는 정맥주사가 41.5%로 제일 많았다.
2. 대학병원 4개소에서 조사기간동안 입원된 360명의 노인환자에 대하여 퇴원시 간호요구를 사정하였다.
2-1. 정보 요구
2-1-a. 대상자중 61.9%는 투약 계획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원하고 있었다.
2-1-b. 운동에 관한 정보요구는 68.1%
2-1-c. 식이요법에 대한 정보 요구는 62.5%
2-1-d. 방광 훈련에 대한 정보 요구는 44.7%
2-1-e. 퇴원후 지역사회에서 계속 치료 간호를 받을 수 있는 방법 의뢰/소개 요구는 65.0%
2-1-f. 가정간호 서비스에 관한 정보는 67.0%
2-1-g. 동 질환의 동우회(자조그룹) 소개
2-1-h. 가족에게 질병관리/ 간병 교육
2-1-i. 환자의 질병과 관련된 정보 요구는 주의해야 할 합병증과 예방법(83.6%), 증상관리법(80.6%), 부작용에 관한 정보요구(78.8%) 등이 있었다.
환자 정보 요구는 매우 컸으며, 그러한 요구는 퇴원 전 적절한 퇴원 계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3. 신체적 간호 요구
개인 위생(46.4%), 통증 간호(55.6%), 뇨실금 간호(30.0%), 물리 재활치료(43.3%), 영양간호(55.0%) 등이 주 신체 간호 요구로 나타났다. 간호 제공자는 환자의 충분한 신체 간호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교육받기원하고 있었다.
4. 정서적 간호 요구
같이 있어 주는 것,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 걱정할 때 안심시켜 주는것, 영적지지 등이 주요 정서적 간호 요구 문제로 나타났다. 절반 이상의 대상자들이 정서적 간호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5. 노인 입원환자의 퇴원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노인 입원환자와 보호자에게 병원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서, 병원의 시설 및 환경에 대한 만족정도가 가장 높아, 매우 만족과 만족하는편의 응답율이 69.5%였으며, 반면 의료비용에 관한 항목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만족과 만족하는 편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16.1%로 가장 낮았다. 퇴원시 가장 불편한 항목으로 퇴원후 환자관리에 대한 정보 부족이 39.2%였으며, 퇴원후 관리에 대한 설명을 의료진으로부터 듣지못한 경우가 36.2%나 되었다. 노인 입원환자와 보호자는 퇴원후 지속적인 전화상담(75.6%), 퇴원 결정 직후 전문인의 병실 방문(59.4%), 퇴원후 재가 환자 관리를 위한 교육 및 상담교실 운영(58.6%) 등을 필요로 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대부분의 퇴원 프로그램의 제공주체는 의사 인력이기를 원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에 대한 지불의사가 가장 높은 것은 가정방문 간호(61%)였으나, 그 외의 항목에서는 지불의사가 없다는 의견이 과반수이상을 차지하였다.
6. 퇴원관리 프로그램과 퇴원 조정자 직종개발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퇴원계획 조정자 직종 개발을 위한 의견 조사에는 의사(5.5%), 간호사(34.0%), 약사(29%), 사회복지사(23.7%), QI실무자(7.9%) 들이 설문에 답하였는데, 10년이상(34.2%)의 실무경험이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퇴원관리 조정자로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자격은 간호사(75.0%)로서, 대학을 졸업(84.2%)하고, 5-10년 정도의 실무 경력(60.5%)과 1주일 정도의 전문 교육과정(42.1%), 2주일 정도의 임상 실무기간(44.7%)을 거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견해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
IV. Results of the Study:
1. Analysis of Readmission
The patient's chart review survey was done for 249 inpatient those who were admitted at the 1,500 bed university hospital. Among the total, 77 patients(30.9%) had the first time experience of re-hospitalization. The others were the repeated-
IV. Results of the Study:
1. Analysis of Readmission
The patient's chart review survey was done for 249 inpatient those who were admitted at the 1,500 bed university hospital. Among the total, 77 patients(30.9%) had the first time experience of re-hospitalization. The others were the repeated-readmission cases(69.1%). Three cases answered 16th times of readmission. This result indicate that there are lack of care after discharge from the hospital and hospital bed-occupancy problems raises from the readmitted elderly patients.
2. Analysis of Hospital Care Services
This study evaluated for 515 elderly inpatient those who hospitalized during the study period. Among the total, 80% of the elderly inpatient, were clinically stable and they were received vital sign checks only for 2 to 3 times in a day. This data indicate those 80% of elderly inpatient classified as non-acute and non-special care patient.
3. Patients nursing need assessed on 360 elderly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during the survey period at four university hospital.
3-1. Information Needs:.
3-1-a. among the total 61.9 % of the patient want to know further information about medication treatment plan.
3-1-b. about exercise information and guideline services-68.1%
3-1-c. about diet therapy and food information-62.5%
3-1-d. about bladder training-44.7%
3-1-e. about referral agency where continuing care are able to offer to the discharged patients-65.0%
3-1-f. about home care services-67.0%
3-1-g. about self help group information-31.4%
3-1-h. teaching program for care-giver-8.2%
3-1-I. counseling service about patient care after discharge-prevention method of complication-83.6%.; prognosis-82.3%; symptom management skill-80.6% side reaction control technique-87.8%.
The Patients information Needs was great. those needs can be supplemented through discharge planning services before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4 .Physical Care Needs;
Personal care needs(46.4%), pain control(55.6%), incontinence care (30.0%), rehabilitation and exercise(43.3%), diet(55.0%) and others were the main problem areas of physical care needs. The care givers wanted to receive knowledge and skill about adequate physical care for patients.
5. Emotional Care Needs;
Friendly sitting together, talk with patient ,encouragement to positive thinking about health maintenance, spiritual care needs were the main problem areas to be supported as an emotional care. More than half(50%) answered they needed emotional care services.
5. Long Term Care Model at the Community after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were developed- Types of care institutions suggested -First one type is to strengthening the skilled nursing services at the existing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and Short Stay House for the Elderly. The Second one is to enhancing the services and expand the services of the Visiting Nursing Services. The Third one is to utilizing the Health Center Services incorporate with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Nursing Services.
6. Discharge Team and Coordinator Services are recommended at the hospital level to reduce the readmission cases as well as to meet the patients' needs and to prevent phobia of care problems of the care givers at home.
7.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validate and test the assumption of the solution which is developed in this researc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