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R&D연구보고서]신체활동 리더쉽개발 및 관련부문 참여를 통한 지역역량 강화 중심의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ment of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 through Capacity Building by Leadership and Participation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고신대학교 Kosin University
보고서유형
최종보고서
발행국가
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
2006-10
주관부처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연구관리전문기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ion
등록번호
TRKO201500006738
DB 구축일자
2015-06-13
초록▼
Ⅳ. 연구결과 가.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 모형개발 1. 행정지도자 리더쉽 조사 및 대안 :활동적 생활도시(Active living city)에 대한 행정지도자 및 보건공무원 들의 리더쉽 조사결과 신체활동기회 제공, 정책적 중요성에 대한 인식, 지역사회의 기획/디자인과의관계 및 주민참여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나 지방정부에서 보다는 상위 기관으로부터의 지원을 더 필요로 하였다. 관련통계나 교육부문과의 협조도 중요하게 평가하였으나 문화체육국과 건설교통국의 주도적역할을 요청하였다.리더쉽 활동 전략으로는 ‘보행 및 자전거 이용 증
Ⅳ. 연구결과 가.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 모형개발 1. 행정지도자 리더쉽 조사 및 대안 :활동적 생활도시(Active living city)에 대한 행정지도자 및 보건공무원 들의 리더쉽 조사결과 신체활동기회 제공, 정책적 중요성에 대한 인식, 지역사회의 기획/디자인과의관계 및 주민참여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나 지방정부에서 보다는 상위 기관으로부터의 지원을 더 필요로 하였다. 관련통계나 교육부문과의 협조도 중요하게 평가하였으나 문화체육국과 건설교통국의 주도적역할을 요청하였다.리더쉽 활동 전략으로는 ‘보행 및 자전거 이용 증진’을 기존에 실행되고 있는 항목으로, ‘활동적 생활을 지원하는 도시계획’을 단기 실행방안으로 그리고 ‘공원 접근성과 연계로 확보’를 장기 실행 방안으로 높이 평가하였다. 활동적 생활도시 조성의 장애요인에 대한 극복 방안으로는 ‘예산확보’, ‘이해당사자의 참여’, ‘표본 정책과 프로그램’ 등을 지적하였다.보건지도자들의 ‘건강유지증진을 위한 신체활동량’과 ‘국민건강 증진계획의 신체활동 목표’에 대한 인식이 낮았고 ‘지역민의 신체활동 현황에 대한 지식수준’은 매우 낮았다. 또한 보건지도자들 스스로의 신체활동 실천도 낮았으며 대부분은 ‘의도단계’에 머물러 있었고 6개월 이상의 ‘유지 단계’는 10.3%에 불과하였다. 활동적 생활에 대한 의도도대부분 보통이하의 수준으로 낮았다. 한편 보건지도자들의 신체활동기회 제공역할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고 도시계획과의 관련성에 대한지식도 높았으며 상위기관 뿐 아니라 지방정부의 역할도 높이 평가 하였다. 활동적 생활도시 조성에 있어서는 보건소의 주도적 역할을 기대하였다. 2. 지역사회 연계 신체활동 활성화 모형 : 다양한 구미모델 등을 검토하여 지역의 신체활동 관련 연계 형성에 필요한 대안을 제시함. 나. 신체활동 권고체계 및 교육ㆍ홍보전략 개발 1. 권고문 메시지 개발을 위한 지역사회 서베이 : 울산광역시민을 대상으로 활동적 생활 홍보전략 개발을 위한 메시지 조사결과 규칙적인 신체활동 실천율은 20.5%에 불과하였고 29.7%가 의도전단계, 30.1%가 의도단계에 머물러 있었지만 지만 일상생활 속에서의 활동적 생활전략 채택 의도는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2. 교육ㆍ홍보를 위한 기본 자료 개발 및 타당도 조사 : 구미각국의 자료를 참조하여 연구진회의를 통해 가이드와 피라미드형 모형을 개발하였고 산업보건관리자, 보건의료인, 학부모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하여 타당도 조사 결과 높은 타당도를 보였다. 3.신체활동 권고 모형 및 전략 개발 : 사회마케팅 이론을 중심으로 하여신체활동 권고 모형을 검토하여 제안함. 세계보건기구 Move for Health운동을 중심으로 한 홍보 모형2), Active aging 이론에 근거한 Global Embrace 모형에 의한 노인 신체활동 증진 모형3) , CDC 중등도 신체활동 홍보 모형의 검토 하여 정책세미나와 세미나를 통하여 대안을 개발하였다.
Abstract▼
Results : A. Development of leadership of public officers : According to the active living leadership survey for high level public officers and public health officers, physical activity opportunity provision, awareness of importance of active living policy, knowledge about relationship between
Results : A. Development of leadership of public officers : According to the active living leadership survey for high level public officers and public health officers, physical activity opportunity provision, awareness of importance of active living policy, knowledge about relationship between city planning and physical activity opportunity and the need for community participation were highly rated. But they more needed national support than that of local authorities. They have been done and leadership action strategies presented. They regarded relevant statistics and cooperation with educational sector important and they expected major role of the cultural educational department and constructive transport department.As for the leadership action strategies they thought walking and bicycling encouragement as already implemented initiatives, city planning supporting active living as short term strategy and ensuring accessibility to parks and related trails as long term strategy. And they needed funding, community participation and sample policy and program as priority measures to overcome barriers.Public health leaders have low knowledge about minimum amount for health maintenance and promotion and new health promotion objectives They had lowest knowledge about physical activity status of citizen. They themselves practiced regular physical activity poorly, most of them were in contemplation stage according to the trans-theorhetical model and maintainer of regular physical activity more than 6 months were only 10.3%. The will to incorporate physical activity as part of daily routine through active living strategy were not high. They highly appreciate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physical activity opportunity by public health leaders, had good knowledg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ity planning and physical activity opportunity and highly thought about the leading role of local authorities as well as national government. They also thought the leading role of public health centers highly. B. Development of scientific public relation strategy for active living Community survey for the scientific : public relation strategy were done to 5,000 household. Although regular practicing rate of physical activity was only 20.5%, 29.7% were in precontemplation period and 30.1% were in contemplation stage according to the trantheoretical theory about the behavioral change, the will to adopting active living was high.As a result of reviewing, discussing, seminars and symposium,major examples of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trategies including WHO move for health strategy, Global embrace model based on Active Ageing framework and CDC case , strategy for physical activity strategy were presented. C. Development of scientific public relation material for active living : Through reviewing various articles by researchers, practical application and refinement, seminars and symposium 4 physical activity guide for children, adolescent, adult and elderly and physical activity pyramid were developed and used by public health initiatives and refined. D. Suggestion of Inter-sectoral physical activity promotion model :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development session, seminars and symposium inter-sectoral physical activity promotion model was suggested.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