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연구책임자 |
조병희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5-02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건강증진개발원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ion |
등록번호 |
TRKO201500007207 |
DB 구축일자 |
2015-06-20
|
초록
▼
Ⅱ.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건강증진사업의 접근방향
- 현재까지는 개인을 대상으로 생활습관을 바꾸도록 유도하는 사업이 중심이 되어왔다.
- 개인중심 사업은 이론적으로나 실천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 따라서 향후 제도적 접근 방식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개인행동변화중심의 건강증진사업의 문제점
- 지난 20여 년간 금연, 체중감량, 운동, 영양, 질병조기발견 프로그램 참여 등 개인의 행위변화를 통해 이환율 및 사망률 감소를 달성하고자 하였다.
- 이론적 측면에서 생각할 때 이러한 접근
Ⅱ.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건강증진사업의 접근방향
- 현재까지는 개인을 대상으로 생활습관을 바꾸도록 유도하는 사업이 중심이 되어왔다.
- 개인중심 사업은 이론적으로나 실천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 따라서 향후 제도적 접근 방식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개인행동변화중심의 건강증진사업의 문제점
- 지난 20여 년간 금연, 체중감량, 운동, 영양, 질병조기발견 프로그램 참여 등 개인의 행위변화를 통해 이환율 및 사망률 감소를 달성하고자 하였다.
- 이론적 측면에서 생각할 때 이러한 접근방식은 건강에 대한 개인책임 원칙을 강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개인이 건강하지 못한 것은 금연의 해악성을 모르고, 금연의 과실을 실감하지 못하며, 금연할 수 있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그러나 금연의 이점을 알면서도 금연하지 못하는 사람들이나 운동이 좋은 것을 알면서도 운동하지 않는 사람이 많다는 최근의 연구들은 개인의 지식과 태도형성을 통한 건강증진 전략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사회제도적 건강증진 접근
- 오타와 선언은 지역사회 차원의 참여와 부문간 협력을 통한 건강증진을 강조한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에 입각하여 건강도시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이것은 개인중심의 접근법과는 분명히 다르지만 그렇다고 서로 배타적이지는 않다.
- 여기서 제도적/환경적 요인이라 함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조직적 정책적 환경으로서 , 개인의 행동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적 조건을 말한다. 개인의 건강행동이 이러한 외적 조건의 영향을 받는 것은 틀림없다.
- 인간을 합리적 존재로 가정하면 경제적 유인책에 의한 동기화가 좋은 전략일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은 동시에 문화적인 존재이다. 이러한 인간들에게는 개인적 경제적 접근보다는 사회적 제도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 연구의 목적
- 이 연구는 기존 건강증진 사업에 대하여 제도적 개선책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개인차원을 포함하되 개인간, 조직, 지역사회의 영향을 포괄할 수 있는 생태학적 관점에 기초하여 건강증진 사업의 성과와 문제점을 평가하고, 제도적 개선책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Ⅲ. 연구내용 및 범위
□ 우리나라 건강증진 사업 접근방향 분석
-기존의 평가기준은 보건소의 조직과 역량을 양적으로 평가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보건소별로 인력과 재정 등 투입요인이 얼마나 되고, 추진과정과 목표달성의 정도를 중심으로 하는 평가방식은 보건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평가방식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평가방식 대신에 생태학적 모형에 기초한평가방식을 새롭게 개발하여 적용하고자 하였다.
-생태학적 개념을 이용한 건강증진 사업 모델
。개인수준; 개인의 행동변화가 주된 목표이고, 위험에 대한 정보와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차원에서 위험에 대한 개인의 특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개인간 수준; 건강상태와 행위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지지와 사회관계망이 강조된다. 사회적 관계망 속에 내재되어 있는 사회적 기준은 건강행동에 영향을 주고, 개인들의 행동변화 능력과 동기 및 지속여부에 큰 영향을 미친다.
조직 환경수준 조직구성원의 。/ ; 행동변화를 지지하는 조직의 특성, 건강증진 활동의 목표로 조직변화의 중요성,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확산에 있어서 조직상황의 중요성을 말하는 것이다.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이 건강관련부서의 단독사업이 아니라 지역사회차원의 계획, 지역사회 각 부분과의 협력강화, 문화관련 활동과의 연계, 협조체계구축 등을 통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정책수준; 건강을 위한 지역차원(조례 등), 국가차원의 법률제정과 각종 규제조치의 마련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 건강증진을 위한 사회제도적 개선방안 제시
- 생태학적 접근전략을 사용하여 개인, 개인간, 조직/환경, 지역사회, 그리고 정책의 차원별로 나누어서 각 수준별로 어떤 이론적 관점과 방법론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한지에 대하여 설명하고, 건강증진사업의 전 영역을 포괄하여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부분들을 정리하였다.
Ⅳ.우리나라 건강증진 사업의 접근방향 분석 결과
□ 개인수준
- 대상자 분류 및 맞춤자료 개발
주로 생애주기별 관점에 따라 대상자 선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각대상자의 니드, 특히 특성에 대한 조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남. 대상자들에게 주어지는 자료나 프로그램의 난이도 평가나 질적 평가가 부족한것으로 나타났다.
- top-down식의 일방적 전시 형태에서 벗어나 대상자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이벤트로 다양한 방식의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개인 간 수준
- 대상 집단에 대한 기초조사 부실로 인해 대상 집단에게 가장 영향력 있는 관계망에 대한 파악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금연사업의 경우에서처럼 -유치원, 초등학생의 금연예방교육 후 부모에게 금연 편기 쓰기가 많이 사용되었으며 청소년의 경우 또래 금연지도자 교육이 실시되었으나 지속적인 접근전략으로 활용되지 않았다.
□ 조직/환경적 수준
- 대상자 모집을 위한 장소나 개입지점으로서 학교나, 직장조직 활용이 높았으나 조직적 특성을 반영한 사업의 전개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 및 규범, 지지그룹의 형성 등 조직적 접근의 장점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사회수준
- 자원봉사자, 자문위원회, 건강파수꾼 등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지역사회의 합의와 참여를 이끌어줄 적절한 매개 조직이나 기관이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내 가용한 조직을 일방적으로 지정하는 방식이 보편적인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의 리더를 동기화 할 수 있는 적절한 인센티브 개발로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 정책수준
-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지역사회수준의 제도적 장치인 조례의 제정은 금연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일부 보건소를 제외하고는 모든 사업부분에 있어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Ⅴ.건강증진사업의 제도적 개선방안
□ 지역사회진단
현재 우리나라의 지역사회 진단 과정에서는 지역사회 핵심주제와 강점을 사정하는 지역사회 구성원의 의견수렴 과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또한 지역사회의 변화를 위한 역량에 대한 진단 과정이 부족하다. 그렇기 때문에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는 조직적, 정치적, 물리적, 기술적, 환경적, 과학적, 법적 윤리적 역량 혹은 강점을 , 파악할 수가 없다. 따라서 지역사회를 대표할수 있는 대표자 및 지역사회 구성원의 발굴을 통해 지역사회 진단의 계획과 문제 설정, 지역사회의 조직진단 등에 지역사회 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기전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지역사회 핵심 주제와 강점을 사정하기 위해서는 소위원회를 만들어 지역사회 구성원을 대상으로 공청회, 포커스 그룹 인터뷰, 서베이 등을 통해 지역사회 안에서의 삶의 질, 지역사회 자산과 역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 한다.
- 지역사회의 변화에 대한 역량에 대한 진단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진단 팀 혹은 지역사회 핵심 정보원, 리더 그룹 사이에서 브레인스토밍 그룹을 만든다.
- 지역사회 진단이 건강증진 사업의 계획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칠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위험요인 파악 위주에서 그치지 않고, 지역사회 역량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진단의 영역을 확장해야 한다.
□ 사회마케팅
대상자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회마케팅 관점에서 본다면 우리나라의 금연, 절주, 영양, 운동 부분의 홍보활동은 그 중요성과 실행 노력에 비해 효과적인 성과를 거두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홍보활동전반에 걸쳐 대상자 중심과 지역사회 참여라는 사회마케팅의 근본 원리가 적용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건강증진 마케팅 전략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효율적 홍보활동을 위한 개선책은 다음과 같다.
- 대상자 집단에 대한 정보수집 방법 개선
- 마케팅 대상자 집단 선정 명확화
- 메시지의 경로 개선
- 사업 특성에 맞는 메시지 전달자 선정
- 피드백 과정 개선; 다차원적 평가
- 조직 수준 별 역할규정 및 협력; 중앙정부와 보건소, 지역사회 내 조직
□ 자원봉사자활용
- 자원봉사활용 프로그램 관리자의 선발
현재 우리나라 보건사업에서 자원봉사자들의 활동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이유는 그들에 대한 모집, 교육, 감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과 이를 관리할 수 있는 관리자가 필요하다.
- 다양화된 인센티브 개발
자원봉사자들을 위해 적절한 보상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지만, 여러 가지 제약과 인센티브와 관련된 인식의 문제로 적절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과제이다. 미국의 경우 지역사회의 행사에서 도우미로 참여한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보상과 유인책으로 자치단체 운영 골프 코스에 대한 무료입장, 식음료 제공, 각종 기념물(티셔츠, 극장표, 경품, 유료공원 무료입장권)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경품 이외에 봉사자들의 참여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서 메달이나 트로피, 봉사참가 증명서 등을 제공한다. 태국의 경우 마을건강지도자로 활동하는 사람들에게는 의료비 면제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 지역 단체들과의 연계
지역시민단체들의 연계를 이끌어내고 지속하기 위해서는 각 단체와 보건소의 책임과 권한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 자신들의 참여가 지역사회의 건강을 증진시킴을 물론 자신들의 조직목표와 활동에 혜택이 되는 것이 있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참여한다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설득시켜야 한다.
- 지역사회 건강지도자(community health worker) 선발
지역의 건강지도자를 선발하는 경우에는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 가운데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시간, 지역주민들과의 관계성을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또한 이들이 역할 모델로서 활동이 가능한 지에 대한고려도 필요하다.
□ 지역사회참여
- 지역사회진단의 강화; 지역사회조직자원의 현황파악을 중심으로
- 지역사회조직의 리더십활성화
- 자발적 결사체의 활성화
- 참여의 멤버십형성
- 시민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참여제도 정비
- 건강증진사업의 주체에 대한 인식 전환
□ 법률적 지원
건강증진사업정책의 성공을 위해서는 각각의 사업에 대해 포괄적인 정책이 실시되어야 하는데 여기에는 전체적인 건강증진사업의 기획 및 해당사업별 모니터링 및 평가가 수반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각의 사업 실시에앞서 장단기 사업 기획, 사업 시행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평가에 대한 피드백체계의 수립 및 이를 위한 예산 배정도 필요하다. 그러므로 건강증진사업 내용과 관련한 법적기준의 제시 및 확인이 반드시 필요하다. 아울러 규제와 감시가 수반되어야 하는데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건강증진사업들에 대해 동시에 시행이 가능하도록 법령의 체계를 수립하고 상호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법은 그 특성상 변화에 대비하여 그내용을 미리 규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할 경우에는 법으로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여 국민들에게 피해를 끼칠 뿐 아니라 비능률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법적 규제 외에도 행정적, 재정적인 지원이 수반되어야만 사업의 지속성과 효율성을 도모하여 국민건강증진이라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예컨대 건강증진사업시설에 대해 설치비용보조 등의 혜택을 주기 위해서는 현재 절대적으로 부족한 행정력을 보강하여 필요한 행정지원이 가능해야 하며 이에 대한 인력 및 재정지원등 후속조치가 따라줘야 한다.
건강증진은 문화적으로 습관화된 불 건강 행동들을 건강 지향적이게 바꾸는 작업이다. 습관을 법적 규범으로 만드는 것은 사회적 저항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엄격한 법규범화 하여 건강행동을 강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건강증진은 문화운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주체는 시민사회가 되어야 한다. 국가는 이러한 시민문화운동이 활성화되도록 국민건강증진법의 방향을 재정립하고 이를 지원하는 체계를 갖추도록 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
1. Problems in the current health promotion projects
Health promotion had been one of the major activities of government's health centers. The health promotion projects in Korea are characterized by its top-down approach and its focus on individuals. Most health promotion projects are designed an
1. Problems in the current health promotion projects
Health promotion had been one of the major activities of government's health centers. The health promotion projects in Korea are characterized by its top-down approach and its focus on individuals. Most health promotion projects are designed and practiced by health centers. They have a concern on provid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to the people by utilizing their own manpower. Community resources are not fully identified, nor organized for health promotion. Only some volunteer helpers are allowed to support their activity. Their roles are not actively defined. Since the manpower of health centers is limited, their service provision is also limited to satisfying only a few risk group individuals instead of all of community people.
Another problem in health promotion projects is excessive emphasis on individual behavior. They focus on individuals with unhealthy habits of smoking and drinking. These people are regarded as a risk group and targeted for changing their habit through health education. However, smoking and drinking are not practiced only by themselves, but with other people and within a culture allowing smoking and drinking. Ecological perspective to take consideration of interpersonal, organizational and community factors to influence over individuals is to be applied for health promotion projects.
2. Evaluation of health promotion projects
This research aims at evaluating the existing health promotion projects from the ecological perspective and at making suggestions for improving health promotion projects. First of all, annual reports of 100 health centers conducting health promotion projects were analyzed. The evaluation indices were developed for personal, interpersonal, organizational, & community level for each area of health promotion (smoking, drinking, nutrition, and physical exercise). For instance, the indices of personal level for the smoking area are 1) program development designed for each subgroup of the target people, 2) developing diverse education materials, 3) developing motive-inducing campaign for behavior change, 4) providing material incentives. Each index has 4 points of grade from 1(bad) to 4(very good).
The results of evaluation show that most projects were marked on 1 to 2 point at most levels in all areas of health promotion. It means that health promotion projects were not fully activated at the community. Developing community resources and uniting them into a network for health promotion was never tried at all. Even programs at the personal level got the poor grades, since health centers lacked the capacity to develop diverse education materials to satisfy diverse health needs of community people. Since center members were accustomed to bureaucratic top-down culture, they were not able to lead the bottom-up approach. To speak figuratively, health promotion projects had one color, while community people had diverse colors of needs. In order to upgrade health promotion projects, the emphasis is to move from health center to community people, and from person to organization/community.
3.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health promotion
We suggest that health promotion projects are to change their strategy toward community initiative. The first step is carrying out community based diagnosis for community resources and health problems. Many health centers conducted community diagnosis for defining risk groups. However, they lacked identifying community capacity to treat their own problems. Community participation should be started from the stage of community diagnosis. Thus, the new format and the new approach of community diagnosis are suggested.
For improving personal level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we suggest to utilizing the theory of social marketing. Health promotion can be regarded as a commodity, so that it should be made into salable design and competitive price. Also, consumer groups are to be differentiated into subgroups with similar needs. Strategy to approach each subgroup is also differentiated. Education materials, campaigns, health schools, and other activities can be designed into a new format by applying social marketing theory.
For developing interpersonal level of programs, the system of volunteer helpers is to be organized. Decision to quit smoke is relatively easy, but keeping their decision in mind is very difficult. In order to continue their decision of quitting smoking, somebody help them by watching and encouraging. Friends and family members could do such a role. But we suggest the higher level of outside helping network is desirable. The helpers are to be trained for the skills to help others and to be given the role of semi-professional helper for watching and encouraging the target persons.
For developing organizational and community resources, the theory of community coalition and social capital could be applied. There are a lot of groups and organizations in the community. Currently, they are not health oriented. If community groups are organized and formed a network for community development and health promotion, health promotion could be activated to the full and the health status of the community could be improved considerably. The concept of 'health city' is one version of this theory.
Health as social well-being is well known to health professionals and health center bureaucrats, since WHO defined it in 1947. However, the current health promotion projects are oriented toward individuals instead of communities and social groups. Since health and health behaviors are social products, health promotion projects also should be oriented toward social groups. When the individual is connected with healthy social groups, their behaviors are to be healthy. If they exist in isolation, their decision to change their unhealthy habits seems to be unrealized and unsuccessful. Thus, health promotion projects should focus on developing health oriented helpers and social groups and on uniting individuals to them.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요약문 ... 3
- SUMMARY ... 10
- 제목 차례 ... 14
- 표 차례 ... 17
- 그림 차례 ... 20
- 1장 서론 ... 21
- 1절. 연구의 필요성 ... 21
- 2절. 연구 목적 ... 25
- 3절. 연구내용 및 범위 ... 26
- 1. 우리나라 건강증진 사업 접근방향 분석 ... 26
- 2. 건강증진을 위한 사회제도적 개선방안 제시 ... 29
- 4절. 연구 방법 ... 31
- 1. 우리나라 건강증진 사업 접근방향 분석 ... 31
- 2. 건강증진을 위한 사회제도적 개선방안 제시 ... 33
- 2장 우리나라 건강증진사업의 접근방향 분석 ... 34
- 1절. 금연사업 ... 34
- 1. 우리나라 보건소의 금연사업 현황 ... 35
- 2. 금연사업의 접근전략 현황 분석 ... 36
- 3. 소결 ... 58
- 2절. 절주사업 ... 60
- 1. 보건소 절주사업 현황 ... 61
- 2. 보건소 절주사업의 접근전략 분석 ... 64
- 3. 소결 ... 85
- 3절. 영양사업 ... 87
- 1. 우리나라 보건소의 영양사업 현황 ... 88
- 2. 영양사업의 접근전략별 분석 ... 91
- 3. 소결 ... 112
- 4절. 운동사업 ... 116
- 1. 우리나라 보건소의 운동사업 현황 ... 117
- 2. 운동사업의 접근전략 현황 분석 ... 120
- 3. 소결 ... 143
- 5절. 사업장 건강증진 사업 ... 146
- 1. 우리나라 사업장 건강증진사업의 현황 및 문제점 ... 147
- 2. 외국의 사업장 건강증진사업 사례 ... 155
- 3. 소결 ... 158
- 3장 건강증진사업의 제도적 개선방안 ... 159
- 1절. 지역사회 진단 ... 161
- 1. 지역사회 진단의 개요 ... 161
- 2. 외국의 지역사회진단 사례 ... 163
- 3. 우리나라 지역사회 진단의 현황 및 문제점 ... 166
- 4. 개선방안 ... 174
- 2절. 사회마케팅(Social Marketing) ... 178
- 1. 사회마케팅의 정의와 활용 ... 178
- 2. 외국의 사회마케팅 사례 ... 190
- 3. 우리나라의 사회 마케팅 현황 및 문제점 ... 193
- 4. 개선방안 ... 197
- 3절. 자원봉사자활용 ... 200
- 1. 건강증진 사업에서의 자원봉사자의 활용 ... 201
- 2. 외국의 자원봉사활용 사례 ... 203
- 3. 우리나라 건강증진 사업에서 자원봉사활용 현황 ... 205
- 4. 개선방안 ... 209
- 4절. 지역사회참여 ... 215
- 1. 지역사회 협력 및 사회자본의 개요 ... 215
- 2. 외국의 사례 ... 220
- 3. 우리나라 지역사회 조직참여 및 사회자본 현황 및 문제점 ... 225
- 4. 개선방안 ... 228
- 5절. 법률상의 지원 ... 232
- 1. 국민건강증진법의 총론분석 ... 232
- 2. 금연사업 ... 235
- 3. 절주사업 ... 238
- 4. 영양사업 ... 240
- 5. 운동사업 ... 241
- 6. 소결 ... 243
- 6절. 사회제도적 개선방안의 활용 ... 245
- 1.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담당자를 위한 평가척도 ... 245
- 2. 건강증진 사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변화 방향 ... 259
- 3. 개인의 행동개선과 지지적 환경 ... 261
- 4. 사업 대상자의 선정 ... 264
- 5. 사업 수행의 1 단계 : 사회마케팅 ... 268
- 6. 사업수행의 2단계: 자원봉사자의 활용 ... 272
- 7. 사업의 수행 3단계: 사회자본의 축적 ... 275
- 4장 맺음말 ... 280
- 참고문헌 ... 283
- 끝페이지 ... 29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