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단국대학교 DanKook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천재식
|
참여연구자 |
이종헌
,
박경주
,
오충훈
,
오세광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7-06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건강증진개발원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ion |
등록번호 |
TRKO201500007292 |
DB 구축일자 |
2015-06-20
|
초록
▼
Ⅳ.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field study를 통하여 개원가의 치과진료기자재 위생상태 및 소독 실태를 점검한 결과, DNA 염기서열 분석법에 의해 30여종의 미생물을 동정해 낼 수 있었고, 3개종의 병원성 미생물 및 26개종의 비병원성 미생물이 동정되었다. 병의원 진료실 공기에서 채취된 세균은 1000 liter당 세균집락수를 기준으로 계수했을 경우 64~157개 까지 계수되었고,단일 세균 종을 기준으로 분류 하였을 경우에는 적게는 2개 균주부터 많게는 12개의 균주들이
Ⅳ.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field study를 통하여 개원가의 치과진료기자재 위생상태 및 소독 실태를 점검한 결과, DNA 염기서열 분석법에 의해 30여종의 미생물을 동정해 낼 수 있었고, 3개종의 병원성 미생물 및 26개종의 비병원성 미생물이 동정되었다. 병의원 진료실 공기에서 채취된 세균은 1000 liter당 세균집락수를 기준으로 계수했을 경우 64~157개 까지 계수되었고,단일 세균 종을 기준으로 분류 하였을 경우에는 적게는 2개 균주부터 많게는 12개의 균주들이 동정되었다. 또한 핸드피스, 파일, 버, 머리받침대, 타구통에서 분리된 세균 수는 개인 병의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세균집락수를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적게는 하나 혹은 검출되지 않은 병의원부터 많게는 200여개의 세균집락수가 검출되어진 곳도 있었고, 단일 세균 종을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적게는 하나의 균주부터 많게는 9개의 균주를 동정해 낼 수 있었다.동정되어진 세균들의 병원성 여부를 파악해본 결과 비병원성 균주들이 대다수를 이루었지만 몇몇의 병원성 균주들이 진료실내 공기, 타구통, 머리받침대에서 검출 되었고, 다른 곳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개체의 세균과 비병원성 미생물들이 검출되어졌다. 이로써 상대적으로 멸균및 소독이 어려운 진료실내 공기, 머리받침대, 타구통 등이 그렇지 아니한 다른 기자재에 비해 세균감염에 많이 노출되어져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2)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개원가의 감염방지에 대한 현황을 파악해 본결과, 치과 진료시 일반적인 준수사항들에 있어서는 상당히 양호하게 지켜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몇몇의 항목들(보안경 착용, 진료실 청결유지 환자병력 , 기록)에 있어서는 미흡한 면이 확인되었다.치과진료기자재의 보유 여부에 따른 멸균 및 소독 여부와 보관상태에 대해서는 멸균 및 소독은 주기적으로 또한 우수하게 실행되어지고 있는것이 확인 되었지만 멸균 및 소독후의 보관에 있어서는 대다수의 병의원에서 상당히 소홀하게 관리되어지고 있다는 점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보았을때 기본적인 감염방지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우수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겠으나, 세부적인 항목들에 있어서는 부족한 면이 많이 확인되어졌다.
(3) 미국, 일본, 영국 등 선진국의 치과진료기자재 관리 사례를 각각 수집하였고, 이를 근간으로 국내 치과진료기자재의 효율적인적정관리를 위한 근간을 마련하였다.
(4) 치과의 각과에서 사용하고 있는 치과진료기자재의 종류와 특성에 대하여 전문가를 초청하여 면밀히 검토하였다.
(5) 보건복지부 실무지침에 따른 치과진료기자재의 소독 및 유지 관리를 위한 치과진료기자재의 품질기준을 개발하고 표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
Ⅳ. Result
(1) From theresults of field dtudy in dental clinics. We identified 29 bacterial species using the PCR based DNA sequencing techniques.Among then, these were 3 pathogenic bacteria and 26 non pathogenic bacteria. We took the samples in 10 dental clinics. 4sites(hand piece, head rest, roo
Ⅳ. Result
(1) From theresults of field dtudy in dental clinics. We identified 29 bacterial species using the PCR based DNA sequencing techniques.Among then, these were 3 pathogenic bacteria and 26 non pathogenic bacteria. We took the samples in 10 dental clinics. 4sites(hand piece, head rest, room air and cuspidor) were sampled in each clinic.The 64~157 colony per 1000 liter and 2~12 bacterial species were detected in room air. Bacterial number from hand piece, head rest and cuspidor were diversed. The 16S rDNA sequncing data show that most of detected bacteria was non pathogenic bacteria. Except room air, cuspidor, head rest. it may be exist that room air,cuspidor and head rest are more riskable rather than other dental equipments.
(2) By questionare, domestic dental clinics performed the average guideline of M.O.H.W`s highly, but some items was not enough.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dental equipment were performed well, but storage of disinfected material were poor. We could find that basic infection control was good, but some specific items were not. We made the basic concept of effective maintenance program of domestic dental equipment by studied the cases of U.S.A, Japan,U.K, about maintenance of dental equipment.
(3) We made effective guideline of infection control about domestic dental equipment by collecting the cases of advanced countries such as U.S.A, Japan, U.K.
(4) We examined the specific characters and sorts of dental treatment equipments which were used several departments in dental clinic with specialists
(5)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developing of quality standard and insure method according to the guideline of infection control of M.O.H.W`s.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요약문 ... 4
- SUMMARY ... 7
- 목차 ... 10
- 표목차 ... 13
- 그림목차 ... 14
- 제1장 서론 ... 15
- 제1절 연구배경 ... 15
- 제2절 연구목적 ... 16
- 제3절 연구내용 및 범위 ... 16
- 제2장 국내.외 연구현황 ... 18
- 제3장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 20
- 제1절 연구내용 및 방법 ... 20
- 1. 병원성미생물 배양법을 이용한 개원가 치과진료기자재의 소독상태 점검 ... 20
- 2. 국내외 치과진료기자재 관리 현황 파악 및 개선안 마련 ... 22
- 3. 기존의 치과진료기자재의 관리현황에 대한 자료수집 및 평가 ... 23
- 4. 치과진료기자재의 종별 소독관리유지를 위한 지침서 개발 ... 25
- 제2절 연구결과 ... 27
- 1. 병원성미생물 배양법을 이용한 개원가 치과진료기자재의 소독상태 점검 ... 27
- 2. 국내외 치과진료기자재 관리 현황 파악 및 개선안 마련 ... 40
- 3. 기존의 치과진료기자재의 관리현황에 대한 자료수집 및 평가 ... 43
- 4. 치과진료기자재의 종별 소독관리유지를 위한 지침서 개발 ... 49
- 5. 감염방지를 위한 치과진료기자재 적정관리방안을 위한 홍보 및 교육 ... 88
- 제4장 연구 목표 달성도, 연구의 제한점 및 대외기여도 ... 91
- 제1절 연구목표의 달성도 ... 91
- 제2절 연구의 제한점 ... 92
- 제3절 대외기여도 ... 92
- 제5장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94
- 제1절 추가연구의 필요성 ... 94
- 제2절 타연구에의 응용방안 ... 95
- 참고문헌 ... 96
- 부록 ... 97
- 끝페이지 ... 10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