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명주기 기반 디지털 콘텐츠 아카이빙 정책 연구
Best Practices for Archiving Digital Content by Life Cycl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곽승진
참여연구자 최재황 , 김진묵 , 정영미 , 김정택 , 배경재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0-07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KA
사업 관리 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등록번호 TRKO201500007778
DB 구축일자 2015-06-13
키워드 디지털 콘텐츠,아카이빙,디지털 보존,디지털 큐레이션,정책,수명주기,품질관리,무결성,가독성,접근성,마이그레이션,에뮬레이션,심층집단면접Digital Content,Archiving,Digital Preservation,Digital Curation,Policy,Life-cycle,Quality Control,Integrity,Readability,Accessibility,Migration,Emulation,Focus Group Interview

초록

□ 디지털 콘텐츠는 종이기록물과 달리 유실되기 쉬운 휘발성을 가지고 있어 망실되기 쉬우며 변형이나 훼손도 쉽게 이루어지며, 매체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와 운영체제, 이 모두를 포괄하는 보존시스템의 수명을 가까운 미래에도 보장할 수 없다는 사실임
□ 디지털 콘텐츠의 수명주기상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과 더불어 디지털 콘텐츠의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기적인 보존 방안과, 정보기술 발전추이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가독성과 접근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함. 또한, 한정된 인력과 예산으로 최대의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Abstract

Ⅳ. Result of the study
A number of organizations/institutions in many nations has been putting their effort to ensure the permanent preservation of digital contents for years. As a result, there are many ongoing projects in the area of digital preservation that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보고서 요약서 ... 3
  • 요 약 문 ... 4
  • Summary ... 7
  • CONTENTS ... 11
  • 목차 ... 15
  • 표 차례 ... 19
  • 그림 차례 ... 25
  • 제 1 장 서론 ... 28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8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0
  • 3. 용어의 정의 ... 32
  • 제 2 장 디지털 콘텐츠 아카이빙 국내·외 사례조사 및 분석 ... 34
  • 1. 해 외 ... 34
  • 1.1 단일 국가주도 유형 ... 35
  • 1.2 컨소시움 유형 ... 47
  • 1.3 기관주도 유형 ... 59
  • 1.4 기타 해외 사례 ... 68
  • 2. 국 내 ... 94
  • 3. 국내외 사례분석의 시사점 및 KISTI에서의 적용 ... 99
  • 제 3 장 KISTI 디지털 콘텐츠 현황 조사 및 분석 ... 101
  • 1. 논문 ... 103
  • 2. 특허 ... 105
  • 3. 연구보고서 ... 106
  • 4. 동향분석 ... 107
  • 5. 산업표준 ... 108
  • 6. 사실정보 데이터베이스 ... 108
  • 7. KISTI의 디지털 콘텐츠 분석 ... 114
  • 제 4 장 디지털 콘텐츠 수명주기 및 평가 모델 ... 116
  • 1. 수명주기 정의 및 평가모델 분석 ... 116
  • 1.1 수명주기의 정의 ... 116
  • 1.2 도서관 기반 수명주기 평가 모델 ... 117
  • 1.3 디지털 콘텐츠 수명주기 평가 모델 ... 126
  • 1.4 수명주기 평가모델 요소 비교 ... 149
  • 2. 디지털 콘텐츠 보존비용 평가 모델 ... 151
  • 2.1 CEDARS(CURL Exemplars in Digital ARchiveS) ... 151
  • 2.2 네덜란드 국립 도서관(Koninklijke Bibliotheek) ... 154
  • 2.3 LIFE 보존 모델 (The Generic LIFE Preservation Model) ... 155
  • 3. 디지털 콘텐츠 수명주기 평가사례연구 ... 157
  • 3.1 납본 전자 출판물(VDEP-the voluntary deposited electronic publications) ... 157
  • 3.2 영국 도서관의 웹 아카이빙 ... 163
  • 3.3 런던 대학의 전자저널 ... 166
  • 4. 사용성 기반 정보수명주기 모델 ... 170
  • 5. 디지털 콘텐츠 수명주기 접근법 적용에 대한 제언 ... 174
  • 6. KISTI 자료 형태별 수명주기 현황 분석 ... 181
  • 제 5 장 디지털 콘텐츠 품질관리 현황 분석 ... 187
  • 1. 디지털 콘텐츠 품질관리의 개념 ... 187
  • 2. 디지털 콘텐츠 품질관리의 기준 및 사례 ... 190
  • 2.1 ISO 14721 OAIS 참조모형 ... 190
  • 2.2 UKDA/TNA 보고서 ... 208
  • 2.3 TRAC ... 213
  • 2.4 DRAMBORA ... 223
  • 2.5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디지털 아카이브 평가지표 ... 236
  • 3. 디지털 콘텐츠 품질관리 평가지표 모형 설계 ... 243
  • 4. 디지털 콘텐츠 품질관리 현황 분석 ... 258
  • 5. 결론 및 시사점 ... 272
  • 제 6 장 콘텐츠 유형별 아카이빙 필요성 평가기준의 설정 및 아카이빙 우선순위의 결정 ... 277
  • 1. 연구의 목적 ... 277
  • 2. 선행연구 및 연구의 틀 ... 277
  • 3. 연구방법 ... 280
  • 4. 연구의 제한점 ... 282
  • 5. 연구의 결과 ... 283
  • 5.1 디지털 아카이빙에 대한 관심도 및 중요도 ... 283
  • 5.2 아카이빙 필요성 평가 기준 ... 284
  • 5.3 콘텐츠 유형별 아카이빙 우선순위 ... 287
  • 5.4 평가기준별 아카이빙 대상 콘텐츠 유형의 우선순위 ... 290
  • 5.5 공동 아카이빙의 필요성 ... 297
  • 5.6 아카이빙 대상 콘텐츠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평가모형 ... 299
  • 6. 결론 및 시사점 ... 300
  • 제 7 장 디지털 콘텐츠의 무결성/접근성 유지 방안 ... 302
  • 1. 개요 ... 302
  • 1.1 디지털 콘텐츠의 무결성과 접근성 개념 ... 302
  • 1.2 무결성/접근성 유지를 위한 활동들 ... 303
  • 2. 디지털 콘텐츠의 무결성 유지 ... 306
  • 2.1 저장 매체와 파일 포맷 ... 306
  • 2.2 매체와 포맷 변환 ... 313
  • 2.3 재난 방지와 복구 정책 ... 314
  • 2.4 관리와 취급 ... 317
  • 2.5 검사와 모니터링 ... 318
  • 2.6 보안 ... 319
  • 3. 디지털 콘텐츠의 장기적인 접근성 유지 ... 320
  • 3.1 정보 기술 변화에 따른 접근성 유지 ... 321
  • 3.2 접근성 유지를 위한 메타데이터 ... 328
  • 4. 디지털 콘텐츠 무결성/접근성 유지 방안에 대한 제언 ... 345
  • 4.1 디지털 콘텐츠 무결성 유지 방안 ... 345
  • 4.2 디지털 콘텐츠 장기적인 접근성 유지 방안 ... 347
  • 제 8 장 수명주기 기반의 디지털 아카이빙 정책 수립 ... 350
  • 1. 디지털 아카이빙 정책 프레임워크 ... 350
  • 2. KISTI의 디지털 콘텐츠 아카이빙 정책 수립 ... 358
  • 2.1 KISTI의 디지털 아카이빙 환경 분석 ... 358
  • 2.2 KISTI 디지털 아카이빙 추진 전략 ... 364
  • 제 9 장 결론 및 제언 ... 368
  • 참고문헌 ... 374
  • 부록 1 KISTI 자료 형태별 수명주기(Lifecycle) 분석을 위한 설문서 ... 386
  • 부록 2 콘텐츠 형태별 아카이빙 필요성 평가기준 설정 및 아카이빙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설문서 ... 389
  • 부록 3 포커스그룹 인터뷰: 수명주기 기반 디지털 콘텐츠 아카이빙 정책연구 ... 396
  • 끝페이지 ... 399

표/그림 (5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