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협력기반 정보공유를 위한 맞춤정보서비스 제공에 대한 연구
A Basic Study of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Service for E-resource Consortium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이용구
참여연구자 박성재 , 김용광 , 양은혜 , 정유선 , 김영우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07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KA
사업 관리 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등록번호 TRKO201500007852
DB 구축일자 2015-06-13
키워드 컨소시엄 현황조사,수요조사,데이터 분석,맞춤 정보서비스,AHP 분석Consortia's Recent State,Need Survey,Data Analysis,Customized Service Model,Efficiency AHP Analysis

초록

□ 국내외 전자정보 컨소시엄의 최근 동향 분석
□ KESLI 참여기관 담당자 수요 분석
- 전자저널 구독을 위한 선정, 관리, 평가 요소별 우선 순위 산정
- 컨소시엄 관련 서비스 우선순위 산정
□ 데이터 분석
- KISTI와 KESLI 홈페이지 분석 및 데이터 추출
- 추출 데이터의 구비정도 산정
□ 맞춤 정보 서비스 모형 제안
- 단기 서비스: 통합검색인터페이스 설계, 중복체크기능, 통계분석기법
- 중기 서비스: 컨소시엄 리뷰정보, 기관 구독정보, 기관 이용자의 이용통계, 연간 리

Abstract

Ⅳ. Result of the study
□ KESLI service priority (data-oriented)
• Short-term: Integrated search interface, duplication check function,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including quantitative techniques)
• Medium-term: consortium review, subscription information, usage statistics, annual repo

목차 Contents

  • 표 지 ... 1
  • 제 출 문 ... 3
  • 보고서 요약서 ... 5
  • 요 약 문 ... 7
  • SUMMARY ... 9
  • CONTENT ... 11
  • 목 차 ... 13
  • 표차례 ... 17
  • 그림차례 ... 22
  • 제1장 서론 ... 23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3
  • 제 2 절 연구내용 및 방법 ... 24
  • 제2장 전자저널과 컨소시엄 ... 26
  • 제 1 절 출판환경의 변화 ... 26
  • 제 2 절 전자저널 ... 27
  • 1. 전자저널의 정의 ... 27
  • 2. 전자저널의 특성 및 용도 ... 28
  • 제 3 절 컨소시엄의 개념 및 의의 ... 30
  • 1. 컨소시엄의 정의 및 목적 ... 30
  • 2. 컨소시엄의 유형 ... 31
  • 3. 컨소시엄의 효과와 한계점 ... 31
  • 제 4 절 주요 컨소시엄 및 최근 활동 ... 32
  • 1. 국외 전자저널 컨소시엄 현황 ... 32
  • 2. 국내 주요 컨소시엄 ... 37
  • 제 5 절 컨소시엄 관련 업무 절차 ... 43
  • 1. 컨소시엄 선정 및 계약 ... 43
  • 2. 관리업무 ... 46
  • 3. 평가업무 ... 50
  • 제3장 연구방법론 ... 52
  • 제 1 절 혼합방법론 (Mixed Methodology) ... 52
  • 제 2 절 선행연구에 대한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 54
  • 제 3 절 포커스 그룹 인터뷰 (FGI: Focus Group Interview) ... 54
  • 1. FGI 질문지의 구성 ... 55
  • 2. FGI 진행절차 ... 55
  • 3. 인터뷰 결과분석방법 ... 56
  • 제 4 절 설문지법 ... 56
  • 1. 설문지의 구성 ... 57
  • 2. 설문지의 배포 및 수집, 분석 ... 58
  • 제 5 절 계층분석법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 59
  • 1. 계층분석법 소개 ... 59
  • 2. AHP 설문조사 ... 59
  • 제4장 맞춤정보서비스를 위한 수요조사 ... 62
  • 제 1 절 포커스 그룹 인터뷰 ... 62
  • 1. 전자저널 선정요인 ... 62
  • 2. 현 KESLI 시스템 인식도 및 만족도 질문 ... 62
  • 3. 전자저널 담당자들의 이용자 수요조사 방법 ... 64
  • 4. 기관별 품의 시 고유한 형태의 여부 ... 65
  • 5. 커뮤니티활성화에 관한 질문 ... 66
  • 제 2 절 수요조사 설문 ... 66
  • 1. 전자저널 선정 ... 66
  • 2. 컨소시엄 계약 ... 77
  • 3. 전자저널의 관리 ... 79
  • 4. 전자저널 평가 ... 89
  • 5. KESLI 웹사이트 ... 95
  • 6. 컨소시엄 관련 서비스 우선운위 ... 99
  • 7. KESLI 컨소시엄에 대한 만족도 ... 105
  • 8. 기관 특성에 따른 요소별 차이 ... 109
  • 제 3 절 상대적인 중요도 산출 ... 121
  • 1. 전자저널 선정업무 관련 요인의 중요도 ... 121
  • 2. 전자저널 관리 업무관련 요소의 상대적인 중요도 ... 125
  • 3. 전자저널 평가 업무관련 요소의 상대적인 중요도 ... 126
  • 제5장 데이터 분석 및 활용방안 ... 127
  • 제 1 절 데이터 분석의 개요 ... 127
  • 1. 데이터 분석의 필요성 ... 127
  • 2. 데이터 분석 방법 ... 128
  • 제 2 절 KISTI 제공 서비스 ... 129
  • 1. KISTI ... 129
  • 2. NDSL ... 130
  • 3. DDS ... 132
  • 4. WiseCat ... 134
  • 제 3 절 KESLI 시스템 분석 ... 136
  • 1. KESLI ... 136
  • 2. KESLI 웹사이트 ... 138
  • 3. 전자라이선스 정보 ... 140
  • 4. 인쇄소장 정보 ... 144
  • 5. 전자저널 이용통계 ... 144
  • 제 4 절 업무별 데이터 분석 ... 147
  • 1. 선정업무 데이터 분석 ... 148
  • 2. 관리업무 데이터 분석 ... 150
  • 3. 평가업무 데이터 분석 ... 151
  • 제 5 절 KESLI 관점에서 서비스 제안 ... 152
  • 제6장 맞춤정보서비스 모형 ... 153
  • 제 1 절 맞춤정보서비스 모형 ... 153
  • 1. 맞춤 서비스의 의미 ... 153
  • 2. 맞춤정보서비스 기본 모형 ... 154
  • 제 2 절 시스템 기반 정보서비스 ... 155
  • 1. 전자저널 선정업무용 서비스 ... 155
  • 2. 전자저널 관리업무용 서비스 ... 157
  • 3. 전자저널 평가업무용 서비스 ... 159
  • 4. 전자저널 기타 업무용 서비스 ... 160
  • 5. 서비스별 장단기 개발계획 ... 162
  • 제 3 절 프로그램 기반 정보서비스 ... 164
  • 1. 전자저널 선정업무 관련 ... 164
  • 2. 전자저널 관리업무 관련 ... 166
  • 3. 평가 및 기타 서비스 ... 167
  • 4. 서비스별 장단기 개발계획 ... 168
  • 제7장 결론 ... 170
  • 제 1 절 맞춤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안 마련 ... 170
  • 제 2 절 시사점 ... 171
  • 참고문헌 ... 173
  • [부록 1] 전자저널 선정 및 관리, 평가 업무관련 요소의 상대적인 중요도 ... 178
  • 끝페이지 ... 180

표/그림 (44)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