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ESLI 컨소시엄 활성화를 위한 운영현황 및 요구분석
Operation Status and Needs Analysis for the Improvement of KESLI Consortium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0 no.1 = no.87, 2013년, pp.221 - 236  

이용구 (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박성재 (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  김정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저널 컨소시엄 참여기관의 현황과 그들의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KESLI 운영의 문제점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참여기관을 대상으로 컨소시엄 선정 및 관리, 평가의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응답한 179개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KESLI 참여기관은 장서개발정책, 편목, 이용자교육 및 평가방법에 대한 요구를 나타냈다. 따라서 KESLI는 참여기관의 요구를 반영하여 장서개발정책 마련을 위한 정책 예를 제공하고 편목의 간소화를 위한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기관에서의 이용자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교재 및 프로그램을 개발지원하며 평가방법 및 기술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KESLI consortium by analyzing the status of participant organizations and their needs. A survey questionnaire including questions on consortium selection, management, and evaluation was distributed. The findings from the 179 responses indicate that the nee...

주제어

참고문헌 (15)

  1. 김혜련 (2000). 대학도서관에서의 전자저널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Kim, Hae-Ryoun (2000). A study on management issues of electronic journals in university librar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 박성재, 김재훈, 이용구 (2013). AHP를 이용한 컨소시엄 기반 전자저널 업무의 요인별 중요도 분석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1), 229-247. (Park, Sungjae, Kim, Jayhoon, & Lee, Yong-Gu (2013). A study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criterion in the e-journal consortium process using AHP.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1), 229-247.) 

  3. 윤만영 (2004). 대학도서관 전자저널 수집 및 관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전공. (Yun, Man-Young (2004). A study on the acquisition & management of the electronic journals in the university librar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Cheongju University, Department of Educatio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4. 이란주, 황신혜 (2003) 전자저널의 효과적인 관리 및 이용자서비스에 관한 연구: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0(2), 135-156. http://dx.doi.org/10.3743/KOSIM.2003.20.2.135 (Lee, Lan-Ju, & Hwang, Shin-Hye (2003). A study on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user services for electronic journals in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0(2), 135-156. http://dx.doi.org/10.3743/KOSIM.2003.20.2.135) 

  5. 이소연 (2008) 새로운 학술커뮤니케이션 환경과 미래형 전자저널 컨소시엄 운영모형: KESLI를 중심으로. 정보관리연구, 39(1), 1-25. (Lee, So-Yeon (2008). A business model for electronic journal licensing consortia in an emerging scholarly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KESLI case.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9(1), 1-25.) 

  6. 송영희, 노진영, 권은경, 유혜영 (2012). 디지털시대의 장서관리 (3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Song, Young-Hee, No, Jin-Young, Kwon, Eun-Kyung, & Yu, Hae-Young (2012). Collection Management on Digital Age (3rd ed.). Seoul: Korea Library Association.) 

  7. 장덕현, 최원찬 (2008). 대학도서관 전자저널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5(4), 165-184. http://dx.doi.org/10.3743/KOSIM.2008.25.4.165 (Chang, Durk-Hyun, & Choi, Won-Chan (2008).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e-journal evaluation model for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5(4), 165-184. http://dx.doi.org/10.3743/KOSIM.2008.25.4.165) 

  8. 정동열 (1999). 전자학술저널의 이용행태 분석에 의한 관리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3(3), 5-21. (Jeong, Dong-Youl (1999). A study on management issues based on user attitudes of electronic academic journ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3(3), 5-21.) 

  9. 정영임, 김정환 (2012). 컨소시엄 기반 전자저널 이용통계 수집 및 분석 개선 방안. 정보관리학회지, 29(2), 7-25.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2.007 (Jung, Youngim, & Kim, Jeonghwan (2012). Improving efficiency of usage statistics collection and analysis in e-journal consort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9(2), 7-25.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2.007) 

  10. 조순영 (2002). 해외 학술DB 공동활용을 위한 도입.지원 정책 개발 연구 (연구보고 KR 2002-1).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Cho, Soon-Young (2002). A study on developing policy of co-utilization about overseas academic DB (KERIS KR 2002-1). Seoul: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11. 한국도서관협회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 (개정판). 서울: 계문사. (Korea Library Association (2010).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v. ed.). Seoul: KLA.) 

  12. Bertot, J. C., & Snead, J. T. (2004). Selecting evaluation approaches for a networked environment. In J. C. Bertot & D. M. Davis (Eds.), Planning and evaluating library networked services and resources (pp. 23-48). Westpot, CT: Libraries Unlimited. 

  13. Chan, L. (1999). Electronic journals and academic libraries. Library Hi Tech, 17(1), 10-16. 

  14. Keating, L. R. II, Reinke, C. E., & Goodman, J. A. (1993). Electronic journal subscriptions. Library Acquisitions: Practice & Theory, 17(4), 455-463. 

  15. Nisonger, T. E. (1997). Electronic journal collection management issues. Collection Building, 16(2), 58-6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