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하 화산재 처리 및 활용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disposal and utilization of ash deposi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강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김근영
참여연구자 연규석 , 장동수 , 배수빈 , 민연식 , 조우선 , 그외 다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5-02
과제시작연도 2014
주관부처 국민안전처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사업 관리 기관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 TRKO201500007944
과제고유번호 1665006327
사업명 2014년 백두산 화산대응기술개발사업
DB 구축일자 2015-06-27
키워드 Baegdusan Volcano.Volcano ash clean.Effective Microorganism-applied Volcanic Ash Block.Asphalt Filler.geo-polymer.

초록

<연구목적>
○ 낙하 화산재 청소 및 처리기술의 메뉴얼 제시
○ 화산분출물 재활용 기술 개발
<연구내용>
○ 도로, 주택, 농업시설에서의 화산재 청소 및 처리방법 수립
○ 국내외 화산분출물 재활용 기술 검토
○ 화산분출물 재활용 적용분야 검토
○ 백두산 화산분출물에 대한 공학적 특성 분석
○ 화산분출물 재활용 시제품 개발
○ 화산분출물 재활용 시제품의 활용방안 제시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
○ 일본 등 화산폭발이 빈번한 나라를 중심으로 화산재를 건설재료로 활용하는 연구가

Abstract

Ⅳ. Conclusions
1. Investigation on rules for treatment and disposal of volcanic ash at road, residence and agricultural facility
2. Examining recycling technology and field of application on pyroclastic materials
3. Suggestion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schemes of trial product made of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보고서 초록 ... 4
  • 요 약 문 ... 6
  • SUMMARY ... 7
  • 차 례 ... 8
  • 그 림 차 례 ... 13
  • 표 차 례 ... 22
  • 제 1 장 서론 ... 25
  • 1.1 연구배경 ... 25
  • 1.2 연구목적 ... 26
  • 1.3 과업의 내용 및 기대효과 ... 27
  • 1.3.1 과업의 내용 ... 27
  • 1.3.2 과업의 기대효과 ... 28
  • 제 2 장 화산재 처리 및 활용기술 개발을 위한 방안 ... 29
  • 2.1 연구의 개요 ... 29
  • 2.2 낙하 화산재 피해사례 ... 36
  • 2.2.1 아이슬란드 화산재 피해사례 ... 36
  • 2.2.2 미국 화산재 피해사례 ... 37
  • 2.2.3 뉴질랜드 화산재 피해사례 ... 39
  • 2.2.4 일본 화산재 피해사례 ... 41
  • 2.2.5 인도네시아 화산재 피해사례 ... 42
  • 2.2.6 기타 화산재 피해사례 ... 43
  • 2.3 낙하 화산재 관련 대응 방안 및 정책 조사 ... 45
  • 2.3.1 낙하 화산재의 제거 목적 ... 45
  • 2.3.2 낙하 화산재 제거 전의 유의사항 ... 45
  • 2.3.3 낙하 화산재의 청소 대책 ... 46
  • 2.3.4 일본 신모에다케 화산 분화에 따른 낙하 화산재 처리 대책 ... 50
  • 2.4 낙하 화산재 처리 방안 제시 및 적용성 검토 ... 67
  • 2.4.1 낙하 화산재 대응 방안 ... 68
  • 2.4.2 낙하 화산재 정책 방안 ... 68
  • 2.4.3 낙하 화산재 처리 연구의 국내 적용성 검토 ... 68
  • 2.5 낙하 화산재 활용 사례 및 기술 동향 ... 72
  • 2.5.1 낙하 화산재의 기본 개념 ... 72
  • 2.5.2 낙하 화산재 활용을 위한 연구 동향 ... 77
  • 2.6 낙하 화산재의 활용을 위한 연구 ... 84
  • 2.6.1 낙하 화산재의 공학적 특성 분석 ... 84
  • 2.6.2 낙하 화산재의 경제성 분석 ... 87
  • 2.6.3 낙하 화산재의 안정성 분석 ... 91
  • 2.7 낙하 화산재 적용성 검토 및 활용 방안 제시 ... 100
  • 2.7.1 시멘트 혼입에 따른 화산재의 적용성 검토 ... 101
  • 2.7.2 시멘트 혼입에 따른 화산력의 적용성 검토 ... 104
  • 2.7.3 낙하 화산재 활용 방안 ... 107
  • 제 3 장 국외 화산재 처리기술 사례 조사 ... 116
  • 3.1 미국 ... 116
  • 3.1.1 도로에서의 화산재 처리 ... 116
  • 3.1.2 건물에서의 화산재 처리 방법 ... 119
  • 3.1.3 낙하 화산재 처리장 ... 121
  • 3.2 일본 ... 123
  • 3.2.1 화산 폭발 관련한 대책 ... 123
  • 3.2.2 시설별 처리사례 ... 130
  • 3.3 화산재 처리 장비 운용 사례 ... 138
  • 3.4 시사점 ... 145
  • 제 4 장 낙하 화산재 청소 및 처리기술의 매뉴얼 ... 146
  • 4.1 개요 ... 146
  • 4.1.1 목적 ... 146
  • 4.1.2 적용범위 ... 146
  • 4.2 도로편 ... 146
  • 4.2.1 도로 화산재 처리 개요 ... 146
  • 4.2.2 화산재 청소 및 처리작업 절차 ... 148
  • 4.2.3 기존 청소장비 현황조사 ... 149
  • 4.2.4 화산재 청소 및 처리방법 ... 152
  • 4.3 주택지편 ... 163
  • 4.3.1 주택지 화산재 처리 개요 ... 163
  • 4.3.2 화산재 청소 및 처리작업 절차 ... 164
  • 4.3.3 화산재 청소 및 처리방법 ... 164
  • 4.4 농업시설편 ... 168
  • 4.4.1 농업시설 화산재 처리 개요 ... 168
  • 4.4.2 화산재 청소 및 처리작업 절차 ... 169
  • 4.4.3 화산재 청소 및 처리방법 ... 169
  • 4.5 화산재 청소 및 처리 후 관리방안 ... 174
  • 4.5.1 화산재 임시처리장 및 처분장 실태 조사 ... 174
  • 4.5.2 해외 낙하 화산재 처리 프로세스 동향 분석 ... 185
  • 4.5.3 화산재 처리방법 검토 ... 206
  • 4.5.4 화산재 임시처리장 및 처분장 적지선정 방법 검토 ... 209
  • 4.5.5 낙하 화산재 처리 프로세스 수립방안 제시 ... 212
  • 4.6 기타 ... 222
  • 4.6.1 긴급지원체계 구축 ... 222
  • 4.6.2 상황관리체계의 구축 ... 225
  • 4.6.3 화산재 처리를 위한 제도 개선 ... 226
  • 제 5 장 화산분출물 활용 기술 및 적용분야 검토 ... 229
  • 5.1 개요 ... 229
  • 5.2 화산분출물 활용기술 검토 ... 229
  • 5.2.1 국내의 화산분출물 활용 기술 검토 ... 229
  • 5.2.2 해외의 화산분출물 활용 기술 검토 ... 234
  • 5.3 화산분출물 활용 적용분야 검토 ... 236
  • 5.3.1 화산분출물 활용 분야 검토 ... 236
  • 5.3.2 화산분출물 활용 분야의 국내 적용성 검토 ... 238
  • 제 6 장 백두산 화산분출물을 활용한 시제품 개발 ... 239
  • 6.1 개요 ... 239
  • 6.2 백두산 화산분출물의 공학적 특성분석 ... 239
  • 6.3 낙하 화산재 처리를 위한 재료특성 분석 ... 249
  • 6.3.1 화산재 시료채취 ... 249
  • 6.3.2 화산재 멸균처리 ... 250
  • 6.4 화산재의 성분 분석 ... 253
  • 6.4.1 화산재의 SEM/EDS 분석 ... 253
  • 6.4.2 화산재의 XRD 분석 ... 261
  • 6.4.3 화산재의 용출시험 ... 262
  • 6.5 화산재의 재료 특성 분석 ... 264
  • 6.5.1 백두산 화산재의 토질시험 결과 분석 ... 264
  • 6.5.2 사쿠라지마 화산재의 토질시험 결과 분석 ... 269
  • 6.6 화산분출물 활용 시제품 개발 ... 272
  • 6.6.1 화산분출물을 활용한 수질정화용 미생물 블록 ... 272
  • 6.6.2 미생물 블록의 중성화 과정 및 수질정화특성 분석 ... 286
  • 6.6.3 화산 분출물을 활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채움재 ... 307
  • 6.6.4 화산분출물을 이용한 시멘트 모르타르 ... 328
  • 제 7 장 결 론 ... 338
  • 참고 문헌 ... 341
  • 끝페이지 ... 34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