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Korea University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5-02 |
과제시작연도 |
2014 |
주관부처 |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
등록번호 |
TRKO201500014193 |
과제고유번호 |
1711021297 |
사업명 |
과학기술종합조정지원사업 |
DB 구축일자 |
2015-08-15
|
키워드 |
기술영향평가.수용과 활용.Technology Assessment.Acceptance.Utilization.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500014193 |
초록
▼
○ 본 연구는 크게 2가지의 목적으로 진행되었음.
- 첫째, 2013년까지 기 시행된 기술영향평가 결과의 정책 반영도를 조사하는 것임. 예를 들어 각 평가대상기술 관련 법, 중장기 계획, R&D 사업 기획 등에 기술영향평가 결과가 반영된 내역을 조사
- 둘째, 기술영향평가 결과를 정책에 반영하는 과정에서의 행태적 특성을 검토하고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도출
○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음.
- 사례조사 실시: 기술영향평가를 수행하는 주요 해외 국가들의 사례와 우리나라의 사례를 조사함. 기술영향평가 결과의 정책
○ 본 연구는 크게 2가지의 목적으로 진행되었음.
- 첫째, 2013년까지 기 시행된 기술영향평가 결과의 정책 반영도를 조사하는 것임. 예를 들어 각 평가대상기술 관련 법, 중장기 계획, R&D 사업 기획 등에 기술영향평가 결과가 반영된 내역을 조사
- 둘째, 기술영향평가 결과를 정책에 반영하는 과정에서의 행태적 특성을 검토하고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도출
○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음.
- 사례조사 실시: 기술영향평가를 수행하는 주요 해외 국가들의 사례와 우리나라의 사례를 조사함. 기술영향평가 결과의 정책적 활용을 위한 제도적 사항 조사.
- 문헌조사 실시: 기술영향평가 대상기술 관련 법, 제도, 사업 등을 분석. 예를 들어 평가시점 이후 제정‧시행된 각 평가대상기술 관련 중장기 계획, R&D 사업 내용을 조사하고 기술영향평가 정책 제언 내용과 해당 중장기 계획, R&D 사업 등 내용과의 연관성 조사.
- 전문가조사 실시: TA와 관련된 전문가(현업 공무원, 과학기술정책 전문가, 행정 및 조직전문가, TA참가 전문가, TA운영 전문가 등)를 선정하여 기술영향평가 결과의 정책 반영도를 높이기 위해 기술영향평가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 및 결과 통보 절차상 필요한 과정 등을 조사.
○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음.
- 분석 및 조사 결과를 토대로 기술영향평가 활용도 제고 방안 수립에 기여함. 기술영향평가 결과의 정책 반영 과정(제도적, 현실적)을 분석하고 평가결과의 정책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제도 및 평가절차‧내용의 개선방안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Abstract
▼
Technology assessments conducted for the past 10 years were aimed at predicting the influences of developments in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on humankind, society and the environment; uncertainties were minimized by sharing such predictions with relevant parties such as citizens, policy make
Technology assessments conducted for the past 10 years were aimed at predicting the influences of developments in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on humankind, society and the environment; uncertainties were minimized by sharing such predictions with relevant parties such as citizens, policy makers, and administrator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how the results of technology assessments, involving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organizations and experts, are being reflected and/or utilized in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by government departments.
While determining the impact of technology assessment results on government policies is a highly difficult task that faces many constraints, it is necessary as it can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echnology assessm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echnology assessments conducted up to 2013 on government policies and examin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policy making process.
This study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wo types of content and scope. First,the study focused on the reflection of technology assessment results up to 2013 in government policies. This was achieved by investigating the reflection of technology assessment results in relevant laws, long-term plans, and R&D business planning. Second, the study review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rising in the reflection of technology assessment results in policies and proposed solutions to the identified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opinions on the acceptance and utilization of technology assessment results by government organizations were presented. First, the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and precedents involved an investigation of how the past results of technology assessments, conducted from 2003 to 2013, were reflected in project planning and reports of various government departments.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the form of a table. The analysis showed that most government departments established policies that were similar to recommendations made by technology assessments. Although this cannot be interpreted as active utilization of the results of technology assessments, the close match between assessment results and policy directions is a meaningful finding.
Meanwhile expert opinions were gather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on-site civil servants; experts participating in technology assessments; experts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experts on administrative policies; and technology assessment coordinators. Interviews focused on the introductory and productive aspects of technology assessments found that relevant civil servants under-utilized technology assessments when reviewing business plans, annual reports, and service contracts, and in some cases, were unaware of the results of technology assessments. In terms of the transitional aspect of technology assessments, experts emphasized the need for pre-evaluation and proposed the development of methodologies with classification into technologies requiring immediate response and technologies worth evaluating over the long term.
In addition to the above, this study derived implications from the utilization of technology assessment results by government organizations. From an organizational perspective, it is first necessary to re-examine the utilization of technology assessment results, along with the possibilities of conceptual and symbolic utilization. Second, visibility, accountability, and jurisdiction are factors that must be acknowledged and considered. Third, citizen-centered assessment efforts should be adopted in relation to instrumental utilization. From a policy making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and review the structural constraints of technology selection. This is also related to the purpose of technology assessments. Second, the selection of experts and relevant guidelines must be re-examined. This is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reports and the quality of future reports on technology assessments. Third, it is essential to improve communication between persons-in-charge instead of simply exchanging official documents.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보고서 요약서 ... 5
- 요약문 ... 7
- SUMMARY ... 11
- CONTENTS ... 13
- 목차 ... 15
- 표목차 ... 17
- 그림목차 ... 17
- 제1장 서론 ... 19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9
-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 22
- 제2장 이론적 배경의 검토와 논의의 틀 ... 24
- 제1절 과학기술정책과 기술영향평가 ... 24
- 1. 기술영향평가의 개념과 유형 ... 24
- 2. 과학기술정책과정에서 기술영향평가의 역할과 의미 ... 29
- 제2절 기술영향평가 활용의 실제와 개선을 위한 이론적 검토 ... 31
- 1. 활용의 여러 가지 모습: 개념, 수단, 상징적 활용 ... 31
- 2. 활용 개선을 위한 논의의 틀: 정책과정에 대한 검토 ... 36
- 제3절 본 연구를 위한 분석과정 ... 39
- 제3장 외국과 우리나라에서 TA내용과 과정 ... 40
- 제1절 외국의 TA 내용과 과정 ... 40
- 1. 도구적/엘리트 모형: 미국과 영국 ... 40
- 2. 참여자 모형: 덴마크와 네덜란드 ... 42
- 제2절 우리나라에서 TA 내용과 과정 ... 46
- 제4장 정부 조직에서 TA 활용의 실제 ... 52
- 제1절 실제 검토의 필요성과 방향 ... 52
- 1. 본 연구의 방법과 관련한 선행연구 검토 ... 52
- 2. 실제 검토를 위한 연구의 방향 ... 54
- 제2절 문헌 및 사례조사 결과 ... 56
- 1. 전반적인 내용과 구체적인 조사방법 ... 56
- 2. TA결과에 대한 정부 조직의 활용: 개념적 활용의 흔적과 조직성과의 가시성 ... 56
- 3. TA결과에 대한 정부 조직의 활용: 수단적 활용의 흔적과 조직생존의 기여성 ... 80
- 4. TA결과에 대한 정부 조직의 활용: 상징적 활용의 흔적과 조직 이해관계의 복잡성 ... 94
- 제5장 기술영향평가 결과 활용을 위한 개선방안 ... 101
- 제1절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전문가조사의 방향과 방법 ... 101
- 제2절 TA 결과 활용에 대한 전문가조사 결과 ... 104
- 1. TA의 도입적 측면: 정책의 인식과 목적 ... 104
- 2. TA의 전환적 측면: 정책운영과 내용 ... 109
- 3. TA의 산출적 측면: 정책결과의 전달과정 ... 116
- 제3절 TA 결과 활용을 위한 노력 ... 123
- 1. TA의 도입적 측면에서 노력 ... 123
- 2. TA의 전환적 측면에서 노력 ... 125
- 3. TA의 산출적 측면에서 노력 ... 128
- 제6장 결론 ... 131
- 제1절 연구의 요약과 정책적 시사점 ... 131
- 제2절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의 필요성 ... 135
- 참고문헌 ... 136
- 부록 1. 문헌 및 사례 조사결과의 내용 전문 ... 139
- 부록 2. 전문가조사 결과의 내용 전문 ... 194
- 부록 3. 향후 설문조사 필요내용(예시) ... 222
- 끝페이지 ... 22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