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수명 공동주택 설계시스템 개발
A Study on the Design Method for the Longlife Multi-family Housing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연구책임자 김수암
참여연구자 임석호 , 황은경 , 이성옥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4-12
과제시작연도 2004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KA
사업 관리 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등록번호 TRKO201500019165
과제고유번호 1350007261
사업명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B 구축일자 2015-09-26
키워드 환경공생빌딩.장수명 주택.설계지침.가동경량칸막이 벽체.서포트 인필.Symbiotic Building.Long-lifeHousing.Design Guideline.Movable Panel -type (partition) wall.Support & Infill.

초록

본 연구는 "PLUS 50 환경공생빌딩 기술개발" 의 제 1세부과제로 수행되었으며 , 5개년 중 2차년도의 연구이다.
본 연구는 크게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 구조, 설비 , 외피녹화 및 옥상녹화와 2중외피 등을 결합하여 "PLUS 50 환경공생빌딩"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두 번째로, 한국 실정에 적합한 장수명 공동주택의 설계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즉, 가변성능과 리모델링 용이성을 갖춘 장수명 공동주택의 설계지침을 개발하고, 계속연구를 거쳐 본 시스템뿐만 아니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설계기술을 제안

Abstract

This study is performed one of 'the developmentof the Plus 50 Symbiotic Building Technology' and 2nd year project of total 5 year project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composedof three parts.
First, we make "Plus 50 Symbiotic Building System "with assembly of Structural system, Utilities syst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머리말 ... 2
  • 요약문 ... 3
  • EXECUTIVE SUMMARY ... 7
  • 목차 ... 11
  • CONTENTS ... 13
  • 표목차 ... 15
  • 그림목차 ... 17
  • 1. 서론 ... 26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6
  • 1.2 연구목표 ... 28
  • 1.3 연구 내용 및 범위 ... 31
  • 1.4 연구추진 체계 ... 33
  • 1.5 연구성과 활용 방안 및 기대효과 ... 34
  • 2. PLUS 50 환경공생주택 종합 시스템 구성 ... 35
  • 2.1 PLUS 50 환경공생주택 구성개념 ... 35
  • 2.1.1 환경공생주택과PLUS 50 환경공생주택 ... 35
  • 2.1.2 PLUS 50 환경공생주택의 구성체계 ... 44
  • 2.2 장수명 주택의 개념 및 필요성 ... 47
  • 2.3 PLUS 50 환경공생주택 종합 시스템 ... 51
  • 3. 장수명 공동주택의 기본 요건 ... 53
  • 3.1 장수명 공동주택 개념과 구성 요건 ... 53
  • 3.1.1 국내 공동주택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53
  • 3.1.2 장수명 주택의 기본 요건 ... 55
  • 3.1.3 오픈빌딩(OpenBuilding) 및 SI(Support/Skeletonand Infill)주택 ... 56
  • 3.2 장수명 주택으로서의 오픈하우징의 기본이론 ... 57
  • 3.2.1 레벨이론 ... 57
  • 3.2.2 CTC(Capacity to Change)와 공간설계 ... 61
  • 3.2.3 TSI 구분과 분리 ... 62
  • 4. 한국형 장수명 공동주택 설계기준 및 지침 작성 ... 68
  • 4.1 국내외 장수명 공동주택 설계기준 분석 ... 68
  • 4.1.1 스켈톤.인필주택 (SI주택 ) 지침안 ... 68
  • 4.1.2 리모델링을 고려한 건축물 설계기준 ... 73
  • 4.1.3 국내외 관련 기준의 비교 ... 75
  • 4.2 장수명 공동주택의 설계기준 작성 ... 78
  • 4.2.1 장수명 공동주택 설계기준 작성을 위한 기본 방향 설정 ... 78
  • 4.2.2 장수명 공동주택 설계기준(안) ... 83
  • 4.2.3 장수명 공동주택설계기준 해설 ... 88
  • 5. 장수명 공동주택의 모듈정합설계 및 접합 ... 108
  • 5.1 모듈정합 설계 지침서 ... 108
  • 5.1.1 모듈정합 설계 지침서 작성의 목적 및 배경 ... 108
  • 5.1.2 모듈정합설계의 주요내용 ... 109
  • 5.1.3 PLUS 50 MC설계지침의 세부 구성항목 ... 110
  • 5.1.4 PLUS 50 MC설계지침 작성 프로세스 ... 111
  • 5.1.5 PLUS 50 모듈정합 설계 지침 주요 내용 ... 112
  • 5.2 부품의 접합 및 호환성 원칙 ... 143
  • 5.2.1 부품 및 부품군의 개념 ... 143
  • 5.2.2 주요 요소기술의 접합부 설계원칙 ... 145
  • 5.2.3 주요 요소기술의 접합부 설계 ... 154
  • 5.2.4 모듈정합 설계 원형제안 ... 159
  • 6. 장수명 공동주택용 내장벽체 시스템 개발 ... 164
  • 6.1 공동주택용 가동형 칸막이 벽체의 성능 ... 164
  • 6.2 국내외 가동 칸막이 벽체 현황분석 및 방향설정 ... 165
  • 6.2.1 국내 칸막이 벽체 현황분석 ... 165
  • 6.2.2 가동 칸막이 벽체 시스템 개발방향 및 구성 ... 172
  • 6.3 가동칸막이 벽체 개발 ... 173
  • 6.3.1 실험주택의 개요 및 가동칸막이 벽체 개발 ... 173
  • 6.3.2 가 동 칸 막이 벽 체 설 치 과정 의 문제 점 종합 및 대 응 방향 ... 183
  • 7. 결론 ... 185
  • 참고문헌 ... 187
  • 서지자료 ... 194
  • BIBLIOGRAPHIC DATA ... 195
  • 끝페이지 ... 195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