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벌이 가구의 영아양육을 위한 조부모 양육지원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hild Support Measures for Grandparents in the Dual-income Household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책임자 유희정
참여연구자 이솔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5-12
과제시작연도 2015
주관부처 여성가족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등록번호 TRKO201600001110
과제고유번호 1105010545
사업명 한국여성정책연구원
DB 구축일자 2016-04-23

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조부모 손자녀 육아지원의 증가는 사회변화 현상에 기인한다. 맞벌이 가구 혹은 취업모의 증가는 자녀양육이 여성의 책임인 상황에서 조부모 손자녀 육아지원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더욱이 한 국가가 자녀양육 지원과 관련하여 적절한 육아지원정책을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는 조부모 손자녀 육아 참여 정도와 직결된다. 부모 모두가 취업 중이어서 낮 동안 어린 자녀를 돌볼 지원이 필요한데 이를 국가가 잘 지원해주지 못하면 취업모들은 개별적으로 별도의 육아지원 방법을 찾아야 하거나 그렇지 못하다면 직

Abstract

In South Korea, the number of grandparents who are taking care of the grand children have been expanding. This stems from the fact that Korea’s typical working environment system is from 9am-6pm(full-time) and also due to a corporate culture that take overtime as a typical working condition. Therefo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4
  • 연구요약 ... 6
  • 목차 ... 16
  • 표목차 ... 18
  • Ⅰ. 서론 ... 22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4
  • 2. 연구내용 ... 28
  • 3. 연구방법 ... 28
  • 4. 연구의 제한점 ... 29
  • Ⅱ. 조부모 육아지원 현황 ... 32
  • 1. 육아지원정책 개괄 ... 34
  • 가. 어린이집, 유치원 이용 영유아 현황 ... 34
  • 나. 어린이집, 유치원 현황 ... 36
  • 다. 보육, 유아교육 지원 ... 37
  • 라. 아이돌봄지원사업 ... 41
  • 2. 조부모 육아지원 ... 44
  • 가. 조부모 육아지원 추이 ... 44
  • 나. 선행연구 ... 47
  • 다. 조부모 육아지원 교육 프로그램 운영 실태 ... 51
  • 라. 조부모 육아지원 외국 사례 ... 57
  • Ⅲ. 조부모 육아 실태 ... 78
  • 1. 조사개요 ... 80
  • 가. 설문조사 ... 80
  • 나. 심층면접조사 ... 87
  • 2.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 현황 ... 89
  • 가. 조부모 돌봄 손자녀의 특성 및 손자녀 돌봄 시간 ... 89
  • 나. 손자녀 돌봄 현황 ... 96
  • 다. 손자녀를 돌보면서 느끼는 점 및 손자녀 돌봄 지속에 대한 전망 ... 123
  • 3.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 정책화 가능성 ... 146
  • 가. 영유아 보육 정책에 대한 인지 정도 ... 146
  • 나.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 정책 활성화에 대한 의견 ... 148
  • 다.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 정책화를 위한 적정 돌봄 연령 및 사례비 ... 160
  • 라. 맞벌이 가구 영유아 양육 및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에 대한 정책 요구 ... 167
  • 4. 소결 ... 182
  • 가. 손자녀 돌봄 현황 ... 182
  • 나.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 정책화 가능성 ... 188
  • Ⅳ. 조부모 육아지원을 위한 정책과제 ... 194
  • 1. 조부모 육아지원의 정책화 전망 ... 196
  • 2. 조부모 육아지원 방안 ... 199
  • 가. 조부모 육아지원 대상 ... 199
  • 나. 조부모 육아지원에 대한 비용 지원 ... 200
  • 다. 보조인력 지원 ... 202
  • 라. 육아활동 지원 ... 203
  • 마. 조부모 육아 모니터링, 관리지원 ... 204
  • 바. 조손가구 종합지원 ... 204
  • 참고문헌 ... 206
  • 부록 ... 210
  • 부록 1 부표 ... 212
  • 부록 2 맞벌이 가구 내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 현황조사 설문지 (조부모·아이부모용) ... 213
  • Abstract ... 232
  • 끝페이지 ... 236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