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무여과상자 여과박스 분리기술 및 시공개선기술
Filter Separation and Construction Technologies Improvements for Tree Box Filter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연구책임자 조혜진
참여연구자 김세형 , 임정윤 , 한지훈 , 신일형 , 박순영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6-12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등록번호 TRKO201700001041
DB 구축일자 2017-09-20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01041

초록

IV. 연구개발의 내용 및 연구결과
본 과제는 나무여과상자를 기존도로와 신규도로에 적용할시 문제점을 분석하고 기존의 나무여과상자의 기존도로의 적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시설의 설계 및 시공방법을 개선하는 것이고 기존의 가로수목을 활용할 수 있는 공법의 보완 및 관련 기술을 개발하였다.
국내외 사례등을 검토하여 여과박스의 분리기술을 개발하고 특허를 출원하였다. 기존 수목을 활용한 가루수목의 시공방법 및 관련 기술을 개발하여 특허를 출원하였다. 더불어서 국내외 유사시설의 설계 사례 및 국외의 설계기준을 검토하여 한국에 적용할

Abstract

IV. Contents and Results
This research analyzed the problems from the existing tree box filter application to the existing and new roads and developed the facility design and construction technology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s and efficiency of tree box filters. After reviewing the national

목차 Contents

  • 표지 ... 1제출문 ... 3요약문 ... 4Executive Summary ... 6목차 ... 8표목차 ... 12그림목차 ... 13제1장 서론 ... 16 1. 연구개발의 필요성 ... 16 1.1 연구개발의 필요성 ... 16 1.2 도로비점오염저감시설의 제도 ... 17 1.3 국내외 현황 ... 19 1.4 기술지원 필요성 ... 20 1.5 연차별 연구내용 ... 21제2장 LID 계획 및 설계 ... 24 1. 개요 ... 24 2. LID 설계 ... 24 2.1 고밀도/도시계획 ... 25 2.2 저밀도/넓은 부지(Low Density/Large Lots) ... 36 2.3 상업지구(Commercial) ... 36 2.4 단지 설계(Lot Layout) ... 40 2.5 건축물 설계(Building Design) ... 44제3장 국내 설계기준 ... 46 1. 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계획 ... 46 1.1 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 계획시 고려사항 ... 46 1.2 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치 계획 ... 48 1.3 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 선정 ... 48 2. 설계 기준 ... 54 2.1 식생시설 ... 54 2.2 유지관리 ... 58 2.3 식생관리 ... 59 2.4 여과재 관리 ... 60제4장 국외 도로비점저감시설의 적용사례 ... 62 1. 필라델피아의 Green Street Infrastructure 사업 ... 62 2. 적용시설 종류 및 사례 ... 62 2.1 Stormwater Planter ... 62 2.2 Stormwater bump-out ... 64 2.3 Stormwater tree ... 66 2.4 Stormwater tree trench ... 68 3. Central Coast Region의 Greent Street 사업 ... 71 3.1 시범사업 ... 71 3.2 LID의 시설 설계기준 ... 78제5장 기술 개발 ... 82 1. 개요 ... 82 2. 가로수목 식재 박스 및 이를 설치하기 위한 식재박스설치공법 ... 83 2.1 나무여과상자 개요 ... 83 2.2 여과박스 분리기술 필요성 ... 83 2.3 기술의 특징 ... 84 3. 식생 수로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 85 3.1 기술의 개요 ... 85 3.2 기존 기술의 한계 ... 86 3.3 기술의 특징 ... 86제6장 사업화를 위한 국내적용방안 검토 ... 88 1. 현장 적용성 증대 필요 ... 88 2. 국내 표준단면도 작성 ... 89 2.1 광로 및 대로 ... 89 2.2 중로 ... 89 2.3 소로 ... 92 3. 나무여과상자 시공모형 제작 ... 93제7장 결론 및 향후 연구 계획 ... 96 1. 나무여과상자 여과박스 기술 및 시공기술 현황 ... 96 2. 연구결과 및 파급효과 ... 96참고문헌 ... 98끝페이지 ... 99

표/그림 (8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