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용 이중편파레이더 활용기술개발
Development of Applied Technology for Dual-polarization Research Radar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국립기상연구소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연구책임자 류상범
참여연구자 최영진 , 이철규 , 남경엽 , 강미영 , 허솔잎 , 장복수 , 서은경 , 박소라 , 김정훈 , 류찬수 , 박근영 , 모선진 , 김진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12
주관부처 기상청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등록번호 TRKO201700002518
DB 구축일자 2018-02-10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02518

초록

II. 연구의 필요성
1. 이중편파레이더를 활용한 레이더 강수량추정 알고리즘의 지상검증 및 강수량추정의 정확도 평가 펼요
2. 위험기상 진단 및 예측 능력 향상을 위한 이중편파 레이더의 고품질 기상자료를 기반으로 눈/비/우박 대기수상체 구분의 상세예측 필요
3. 다중도플러 레이더 바람장 산출기술 개선을 통한 항공 예보나 수치예보 자료에 활용 가능한 고해상도의 3차원 바람장 자료가 필요
4. 여름철 남서해상에 발달하는 위험기상에 대한 고품질의 레이더 상세관측 수행 및 관측기반 구축 필요

III. 연구

Abstract

II. Necessities of the Research
1. Ground validation of radar precipitation estimated from dual-polarization radar
2. High resolution forecast of hydrometeors classification using dual polarization radar for improvement of forecast ability and severe weather diagnostics
3. The retrieval of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보고서 ... 3
  • 목차 ... 4
  • LIST OF TABLE ... 8
  • LIST OF FIGURES ... 9
  • 요약문 ... 14
  • Summary ... 25
  • 제1장 서론 ... 38
  • 제1절 연구 개발의 필요성 ... 38
  • 제2절 국내·외 연구 동향 ... 39
  • 제2장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 기술 개발 ... 42
  • 제1절 서론 ... 42
  • 제2절 연구용 X-밴드 이중편파레이더 ... 44
  • 1. 소개 ... 44
  • 2. 제원 및 관측 스케줄 ... 45
  • 제3절 NIMR-X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 알고리즘 기술 ... 46
  • 1. 레이더 자료 전처리 ... 46
  • (1) ΦDP의 접힘 풀기 ... 47
  • (2) FIR 필터링 ... 48
  • (3) KDP 계산 ... 49
  • (4) 강우감쇄 보정 ... 49
  • (5) 비기상 에코 및 랜덤 노이즈 제거 ... 53
  • 2. 레이더 시스템 이득보정 ... 53
  • 3. 대기수상체 분류 알고리즘 ... 55
  • 4. NIMR-X 강수량 추정 관계식 ... 57
  • 제4절 레이더 추정강수량과 AWS 지상우량자료의 정확도 비교 ... 60
  • 1. 레이더 및 지상 AWS 자료 ... 60
  • 2. 레이더 및 AWS 지상 자료 비교 방법 ... 62
  • 3. NIMR-X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 정확도 분석결과 ... 64
  • 제5절 요약 및 결론 ... 70
  • 제3장 이중편파레이더 대기수상체 분류 ... 71
  • 제1절 서론 ... 71
  • 제2절 자료 및 방법 ... 72
  • 1. 비슬산 S-밴드 이중편파레이더 ... 72
  • (1) 제원 및 관측 스케줄 ... 72
  • (2) 관측 자료 및 이중편파 관측자료의 특성 ... 74
  • 2. 대기수상체 분류 알고리즘 ... 76
  • (1) 퍼지로직을 이용한 대기수상체 분류 ... 76
  • (2) NACR 대기수상체 분류 알고리즘 ... 79
  • (3) NIMR-X 대기수상체 분류 ... 82
  • 제3절 사례분석 ... 84
  • 1. 대구우박 사례분석 ... 84
  • (1) 종관상태 ... 85
  • (2) 강수분포도 및 단일편파레이더 영상 ... 86
  • (3) 선행연구를 통한 HDR 분석 ... 86
  • (4) NIMR-X 대기수상체 알고리즘 적용 ... 88
  • 제4절 요약 및 결론 ... 91
  • 제4장 다중 레이더 바람장 산출기술 개선 ... 92
  • 제1절 서론 ... 92
  • 제2절 다중도플러 레이더 산출 기술 ... 93
  • 1. 도플러 레이더 네트워크 ... 93
  • 2. 다중 도플러 레이더 3차원 바람장 산출 기술 ... 96
  • 제3절 다중도플러 레이더 3차원 바람장 사례 분석 ... 99
  • 1. 서론 ... 99
  • 2. 자료 및 종관 환경 ... 100
  • 3. 중규모 대류계의 발달 개요 ... 103
  • 4. 발달 단계별 분석 ... 105
  • (1) 발생기 : 2240∼2300 KST ... 105
  • (2) 발달기 : 2320∼0020 KST ... 105
  • (3) 성숙기 : 0040∼0130 KST ... 107
  • (4) 돌풍기 : 0200∼0230 KST ... 109
  • 5. 산출 바람장 연직구조 ... 111
  • 제4절 요약 및 결론 ... 114
  • 제5장 남서해안 위험기상 관측기반 구축 ... 115
  • 제1절 서론 ... 115
  • 제2절 관측 환경 ... 116
  • 1. 설치장소 및 이전과정 ... 116
  • 2. 주변 지형 ... 118
  • 제3절 레이더 관측 및 장비 구성 ... 119
  • 1. 레이더 제원 및 관측 스케줄 ... 119
  • 2. 레이더 장비 구성 ... 122
  • 제6장 요약 및 결론 ... 123
  • 사사 ... 124
  • 참고문헌 ... 124
  • 부록 A. 학술용역보고서 ... 130
  • 부록 B. 레이더 운영일지 ... 257
  • B.1 기상개황 및 주요 작업일지 ... 257
  • B.2 레이더 정기점검 일지 ... 275
  • 부록 C. 국제기상레이더 워크숍 ... 299
  • C.1 초청강연 발표 주요내용 ... 300
  • C.2 국제기상레이더 워크숍 초청장 ... 301
  • C.3 국제 기상레이더 워크숍 사진 ... 302
  • 부록 D. 2012년 연구성과 ... 303
  • 끝페이지 ... 30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