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도국 교육지표 개발·협력 사업 : 중장기 실행전략 수립
A Study on Educational Indicator Development and Statistical Capacity Building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교육개발원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연구책임자 김창환
참여연구자 임후남 , 박성호 , 문성빈 , 김본영 , 이기준 , 박재민 , 김진희 , 이석희 , 박종효 , 이정재 , 채재은 , 이수진 , 이은주 , 최유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6-12
과제시작연도 2016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1700003938
과제고유번호 1105011401
사업명 한국교육개발원
DB 구축일자 2017-09-20
키워드 educational indicator.statistical capacity building.indicator development.capacity building.international cooperation.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03938

초록

본 연구는 2016년부터 향후 10년 동안 추진될 개도국 지표 개발사업의 1차 년도 연구로 추진되었다. 1차 년도에서는 향후 9개년 동안 추진될 연구사업의 실행전략을 마련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였다. 1차 년도에는 개도국들의 교육통계 및 지표 실태를 분석하고, 개도국들의 수요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개도국의 교육통계시스템을 진단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개도국 통계발전 모델을 개발하고, 개도국 컨설팅 방안을 수립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도국 교육지표 개발사업의 실행전략을 수립하기

Abstract

This research, on educational indicator development and statistical capacity building,aims to develop useful educational indicators and to build capacities of Korea's 24 priority partner countrie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education data and further utilization of data for policy making.

목차 Contents

  • 표지 ... 1머리말 ... 3연구요약 ... 5목차 ... 9표목차 ... 12그림목차 ... 16Ⅰ 연구의 개요 ... 1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1 2 연구의 내용 ... 24 3 연구의 방법 ... 29Ⅱ 이론적 배경 ... 31 1 개도국 협력의 새로운 방향 ... 33 2 개도국 교육지표의 성격과 의미 분석 ... 40 3 개도국 교육통계 생산 역량 ... 45Ⅲ 개도국 교육통계 실태 분석 ... 51 1 가나 ... 53 2 네팔 ... 56 3 라오스 ... 59 4 르완다 ... 61 5 모잠비크 ... 63 6 몽골 ... 66 7 미얀마 ... 68 8 방글라데시 ... 71 9 베트남 ... 74 10 볼리비아 ... 77 11 세네갈 ... 79 12 스리랑카 ... 82 13 아제르바이잔 ... 84 14 에티오피아 ... 87 15 우간다 ... 89 16 우즈베키스탄 ... 92 17 인도네시아 ... 94 18 캄보디아 ... 97 19 콜롬비아 ... 100 20 탄자니아 ... 103 21 파라과이 ... 106 22 파키스탄 ... 108 23 페루 ... 111 24 필리핀 ... 113 25 요약 및 시사점 ... 115Ⅳ 개도국 교육지표 생산 실태 분석 ... 123 1 개도국 교육지표 제공 현황 ... 125 2 개도국의 SDG 교육지표 확보 현황 ... 172Ⅴ 개도국 교육통계 수요 분석 ... 187 1 개도국 교육통계 수요조사 도구 개발 ... 189 2 개도국 교육통계 수요조사 결과 분석 ... 191Ⅵ 개도국 교육통계 진단도구 개발 ... 195 1 개도국 교육통계 진단도구 사례 ... 197 2 개도국 교육통계 진단도구 개발 ... 200Ⅶ 개도국 교육통계시스템 구축 방안 ... 203 1 교육통계 발전단계 분류 요소 ... 205 2 한국의 교육통계 발전 단계 ... 206 3 개도국 교육통계시스템 모형 ... 235Ⅷ 개도국 교육통계 컨설팅 방안 ... 241 1 개도국 컨설팅 사례 조사 ... 243 2 국내외 개도국 컨설팅 사례 특징 및 시사점 ... 262 3 교육통계시스템 개도국 컨설팅 방안 ... 265 4 컨설팅 수행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방안 ... 272Ⅸ 요약 및 결론 ... 275 1 연구의 요약 ... 277 2 결론 ... 279참고문헌 ... 283Abstract ... 293부 록 ... 295 <부록 1> 수요조사지(국문) ... 297 <부록 2> 수요조사지(영문) ... 300 <부록 3> UIS DQAF 세부 진단도구 ... 305 <부록 4> TASC 세부 진단도구 ... 308 <부록 5> PARIS21의 통계 생산 역량 지표(STATISTICAL CAPACITY BUILDING INDICATORS) ... 317 <부록 6> 24개 중점협력국가 교육통계 관련 홈페이지 ... 327 <부록 7> 국제회의: 교육통계 역량 강화를 위한 아시아 협력 회의 Agenda ... 332끝페이지 ... 337

표/그림 (13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