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도국 교육지표 개발·협력 사업 : 아시아 중점협력국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Education Indicator Development and Statistical Capacity Building Focused on Asian Countri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교육개발원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연구책임자 김창환
참여연구자 임후남 , 박성호 , 박경호 , 안해정 , 김본영 , 이기준 , 박재민 , 오요섭 , 이한승 , 엽승현 , 김정겸 , 박종효 , 송기상 , 이찬희 , 채재은 , Roshan Bajracharya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7-12
과제시작연도 2017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1800037917
과제고유번호 1105012993
사업명 한국교육개발원
DB 구축일자 2018-09-15
키워드 교육통계.교육지표.통계 컨설팅.개도국.지속가능발전목표.education statistics.education indicator.statistical capacity building.statistics consulting.developing country.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37917

초록

□ 연구의 결과
첫째, 개도국 교육지표 및 개발 협력 사업의 개념과 의미, 개도국 교육통계 컨설팅의 개념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개도국 교육지표와 관련된 연구, 개도국 교육통계 컨설팅과 관련된 연구, 아시아 3개국 교육통계 및 교육지표 관련 연구물들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개도국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지표의 개념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개도국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지표의 개념, 영역, 개발 현황, 개발 조건 등을 분석하였다. 개도국 교육지표는 개도국 교육 수준을 진단하고 교육 분야에서 향후 나아가야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of statistical capacity of developing countries. It plans to carry out for a total of nine years, and it include a ‘3-years-long Consulting Project’ for a period of three years by countries.

The first period from 2017 to 2019 of the 3-years-long consulting project h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머리말 ... 5
  • 연구요약 ... 7
  • 목차 ... 15
  • 표목차 ... 17
  • 그림목차 ... 21
  • Ⅰ. 연구사업의 개요 ... 23
  • 1. 전체 10년(2016~2025) 연구사업의 계획 ... 25
  • 2. 2017년 연구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 30
  • 3. 2017년 연구사업의 내용 ... 34
  • 4. 2017년 연구사업의 방법 ... 36
  • Ⅱ. 이론적 배경 ... 49
  • 1. 선행연구 분석 ... 51
  • 가. 개도국 교육지표와 관련된 연구 ... 52
  • 나. 개도국 교육통계 컨설팅과 관련된 연구 ... 54
  • 다. 아시아 3개국 교육통계 및 교육지표 관련 연구 ... 56
  • 라. 본 연구사업에 주는 시사점 ... 57
  • 2. 개도국 교육지표에 대한 이론적 고찰 ... 58
  • 가. 개도국 교육지표의 개념과 의미 ... 58
  • 나. 개도국 교육통계 역량 개발의 의미와 가치 ... 62
  • 다. 개도국 교육통계 역량 개발 컨설팅의 의미 ... 65
  • Ⅲ. 아시아 3개국 교육통계 실태조사 결과 분석 ... 69
  • 1. 아시아 3개국 교육통계 실태조사 도구 개발 ... 71
  • 2. 몽골 교육통계 실태조사 결과 분석 ... 79
  • 3. 베트남 교육통계 실태조사 결과 분석 ... 94
  • 4. 스리랑카 교육통계 실태조사 결과 분석 ... 107
  • Ⅳ. 아시아 3개국 교육통계 수요조사 결과 분석 ... 125
  • 1. 아시아 3개국 교육통계 수요조사 도구 개발 ... 127
  • 2. 몽골 교육통계 수요조사 결과 분석 ... 134
  • 3. 베트남 교육통계 수요조사 결과 분석 ... 142
  • 4. 스리랑카 교육통계 수요조사 결과 분석 ... 152
  • Ⅴ. 아시아 3개국 교육통계 역량 진단 결과 분석 ... 163
  • 1. 아시아 3개국 교육통계 역량 진단 도구 개발 ... 165
  • 2. 몽골 교육통계 역량 진단 결과 분석 ... 167
  • 3. 베트남 교육통계 역량 진단 결과 분석 ... 170
  • 4. 스리랑카 교육통계 역량 진단 결과 분석 ... 173
  • Ⅵ. 아시아 3개국 교육통계 컨설팅 추진 방안 ... 179
  • 1. 몽골 교육통계 컨설팅 추진 방안 ... 181
  • 2. 베트남 교육통계 컨설팅 추진 방안 ... 189
  • 3. 스리랑카 교육통계 컨설팅 추진 방안 ... 198
  • Ⅶ. 결론 및 정책제안 ... 207
  • 1. 연구의 요약 ... 209
  • 2. 결론 및 논의 ... 213
  • 3. 정책제안 ... 217
  • 참고문헌 ... 221
  • Abstract ... 225
  • 부록 ... 229
  • 부록1. 컨설팅 약정서 ... 231
  • 부록2. 조사 도구 ... 237
  • 부록3. 2017 아시아 교육통계전문가 역량강화를 위한 국내 초청 워크숍 기본계획 ... 294
  • 끝페이지 ... 30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