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생태 복원 · 관리를 위한 법제도 개선 및 정책대안 연구
Research on the Legal System Improvement and Policy Alternatives for the Aquatic Ecosystem Restoration and Managemen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HanYang University
연구책임자 김홍균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1-06
과제시작연도 2010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700005533
과제고유번호 1485008859
사업명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7-09-20
키워드 생태계복원.수생태계.수생태 복원.복원사업.유역 거버넌스.Ecosystem Restoration.Aquatic Ecosystem.Aquatic Ecosystem Restoration.Restoration Project.Watershed Governance.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05533

초록

◦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수생태 복원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및 정책대안 제시와 수생태 복원과 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체계 구축방안 마련이며 연구개발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첫째, 수생태 복원과 관리를 위한 법제 정비방안으로 수생태복원의 개념을 좁은 의미의 수생태복원과 하천정비를 구분하여 유형화하였고, 기본이념과 원칙으로 환경부가 주관하여 수질 및 수생태계의 보전에 관한 법률상 원칙과 이념을 규정하도록 하였음. 환경영향평가등으로 사전예방수단을 강화하고, 복원의 주체와 비용부담에 관해 원인자부담원칙을 설정하는

Abstract

Korean legislation has conserved our aquatic ecosystems based on traditional command-and-control systems until now. As a result our aquatic ecosystems have been significantly degraded and damaged. Thus it is required not only to prevent ecological degradation, but also to restore the aquatic-ecosyst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3
  • 보고서 초록 ... 4
  • 요 약 문 ... 6
  • S U M M A R Y ... 9
  • 목차 ... 11
  • 표목차 ... 15
  • 그림목차 ... 16
  • 제 1 장 서 론 ... 18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18
  • 제 2 절 연구의 구성과 방법 ... 18
  • 제 2 장 수생태계의 훼손 실태와 복원 사례 ... 20
  • 제 1 절 수생태계의 훼손실태 ... 20
  • 1. 생태계훼손의 개념과 범위 ... 20
  • 2. 수생태계의 훼손실태 ... 21
  • 제 2 절 수생태계복원의 개념 ... 26
  • 1. 수생태계복원의 개념 ... 26
  • 2. 생태계복원의 필요성 ... 29
  • 제 3 절 수생태복원의 사례 ... 31
  • 1. 국내사례 ... 31
  • 2. 국외사례 ... 40
  • 3. 분석 및 평가 ... 47
  • 제 3 장 수생태복원 관련법제의 현황과 문제점 ... 50
  • 제 1 절 수생태복원 관련법제의 현황 ... 50
  • 1. 생태계 일반 ... 51
  • 2. 하천생태계의 복원 ... 56
  • 3. 습지생태계의 복원 ... 60
  • 제 2 절 현행 수생태복원 법제의 문제점 ... 61
  • 1. 복원 개념의 혼란 ... 62
  • 2. 복원의 기본이념과 원칙의 부재 ... 62
  • 3. 법률의 분산 및 부정함 ... 63
  • 4. 복원의 기준·절차·방법 등의 미비 ... 65
  • 5. 복원시행자의 자격요건 미비 ... 66
  • 6. 복원사업의 재원 문제 ... 67
  • 7. 거버넌스 체계 미흡 ... 68
  • 제 4 장 주요 외국의 수생태복원 관련법제 ... 69
  • 제 1 절 국제환경법상의 수생태복원 ... 69
  • 1. 생물다양성협약 ... 69
  • 2. 람사르협약 ... 71
  • 3. 본협약 ... 72
  • 4. 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 ... 73
  • 제 2 절 미 국 ... 74
  • 1. 미국 환경법상 생태계복원의 의의 ... 75
  • 2. 종합환경대응보상책임법(CERCLA) ... 78
  • 3. 어족복원·관개저감법(FRIMA) ... 83
  • 4. 어류·야생생물협력법(Partners Act) ... 84
  • 5. 연안습지계획·보호·복원법 (CWPPRA) ... 85
  • 6. 평가 및 시사점 ... 85
  • 제 3 절 유럽연합과 독일 ... 86
  • 1. NATURA 2000에 따른 생태계복원 ... 87
  • 2. 독일 연방자연보호법상의 생태계복원 ... 95
  • 3. 평가 및 시사점 ... 98
  • 제 4 절 일 본 ... 100
  • 1. 자연공원법과 자연환경보전법 ... 101
  • 2. 하천법 ... 105
  • 3. 자연재생추진법 ... 108
  • 4. 평가 및 시사점 ... 121
  • 제 5 장 수생태복원 관련법제 정비방안 ... 124
  • 제 1 절 기본적인 정비방향 ... 124
  • 1. 수생태복원의 법적 개념 정립 ... 124
  • 2. 수생태복원의 기본이념과 원칙 설정 ... 127
  • 3. 사전예방수단의 개선 ... 129
  • 4. 수생태복원의 주체와 비용부담 ... 131
  • 5. 수생태복원의 대상 설정 ... 136
  • 6. 수생태복원의 방법 및 사후관리 ... 138
  • 7. 거버넌스의 구축 ... 140
  • 제 2 절 구체적인 법제화 방안 ... 140
  • 1. 입법 필요성의 판단 및 입법형식의 선택 ... 140
  • 2. 하천생태계 복원의 법제화 방안 ... 142
  • 3. 습지생태계 복원의 법제화방안 ... 159
  • 제 6 장 수생태 복원과 관리를 위한 정책대안 ... 163
  • 제 1 절 수생태 복원의 개념 정립 ... 163
  • 제 2 절 국가 수생태 복원을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의 제시 ... 165
  • 제 3 절 수생태 복원사업의 중·장기적인 목표 설정 ... 168
  • 1. 수생태 복원의 기준 설정 ... 168
  • 2. 수생태 복원의 범위 설정 ... 168
  • 3. 수생태 복원사업의 목표 설정 ... 169
  • 4. 수생태 복원사업 수립 시 설계 기준 강화 ... 170
  • 제 4 절 수생태 복원의 기본계획 수립 ... 171
  • 제 5 절 수생태 복원의 방법 ... 173
  • 1. 통합적 하천 복원·관리 ... 173
  • 2. 건강한 수생태 환경 구축 ... 174
  • 3. 종·횡적 생태 네트워크 구축 ... 174
  • 4. 생물종과 서식지 모두를 고려한 복원 ... 175
  • 제 6 절 수생태계 건전성에 대한 철저한 사전·사후 모니터링 및 평가 ... 178
  • 1. 사전 모니터링 ... 178
  • 2. 사후 모니터링 ... 179
  • 제 7 절 지역주민, 이해관계인 및 전문가의 절차적 참여 보장 ... 180
  • 1. 절차적 참여의 의의 ... 180
  • 2. 절차적 참여의 모형 ... 180
  • 3. 절차적 참여 구축에 관한 가이드라인 ... 181
  • 4. 일본의 자연재생추진법상 주민참여 사례 ... 181
  • 제 8 절 이해관계자 간 협력방안 구축 ... 182
  • 제 9 절 기술 인프라 및 네트워크 확충 ... 183
  • 제 10 절 수생태 복원을 위한 전문 업종 신설 ... 183
  • 제 11 절 복원사업 시 관련 전문가 참여 활성화 ... 185
  • 제 12 절 복원된 생태계의 사후관리 강화 ... 185
  • 1. 지속적인 모니터링 시행 ... 185
  • 2. 수생태계 사후 모니터링 및 평가 ... 186
  • 3. 사후관리의 방법 ... 186
  • 4. 이행수단의 확보 ... 187
  • 제 13 절 교육 및 홍보의 강화 ... 187
  • 1. 수생태 복원의 중요성에 대한 주민·일반인의 인식 제고 ... 187
  • 2. 조사와 복원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강화 ... 188
  • 3. 생태교육과 생태관광을 기반으로 한 도입프로그램 개발 ... 188
  • 제 7 장 수생태 복원 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방안 ... 189
  • 제 1 절 기본 방향 ... 189
  • 1. 구축배경 및 목적 ... 189
  • 2. 구축의 기본방향 ... 190
  • 제 2 절 거버넌스 구축 사례 ... 191
  • 1. 해외 사례 ... 191
  • 2. 국내 사례 ... 192
  • 제 3 절 거버넌스 구축 및 활동의 가이드라인 작성 ... 196
  • 1. 거버넌스 구축 방안 ... 196
  • 2. 거버넌스의 역할 및 활동 방안 ... 202
  • 제 4 절 거버넌스의 효율적 추진 방안 ... 205
  • 1. 주민 참여의 유도 ... 205
  • 2. 전문가와 주민의 협력적 역할 모색 ... 206
  • 3. 거버넌스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방안 ... 214
  • 제 5 절 주민참여형 수생태 복원 모니터링 매뉴얼 작성 및 시행 ... 219
  • 1. 배경 및 필요성 ... 219
  • 2. 모니터링 사례 ... 220
  • 3. 모니터링 조사지침 ... 227
  • 4. 조사 인자 선정 및 판단 ... 229
  • 5. 평가방법 ... 239
  • 6. 모니터링 조사 방법 ... 240
  • 7. 모니터링 조사표 작성 ... 242
  • 제 6 절 주민참여형 수생태 복원, 관리 평가 기법 개발 ... 246
  • 1. 하천의 계절적 변동 모습 확인 ... 246
  • 2. 수생태 복원 사업 이후의 안정성 검토 ... 249
  • 3. 식재된 수생식물의 지속적인 활착 여부 조사 ... 252
  • 4. 사업 이후의 수질개선 효과 판단 ... 252
  • 5. 사업 이후의 생물서식 효과 판단 ... 253
  • 제 8 장 참고문헌 ... 254
  • 부 록 도림천 거버넌스 활동 사례 ... 259
  • 끝페이지 ... 270

표/그림 (52)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