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합관리에 기반한 먹는물 수질기준 선진화 방안 연구(III) - 먹는물 우선관리대상물질 선정 -
A Study on advanced standards of drinking water quality based on integrated management (III) - Selected Priority Management List (PML) in Drinking water -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아주대학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연구책임자 허유정
참여연구자 권오상 , 박주현 , 정원화 , 유순주 , 조양석 , 박수정 , 박상민 , 이연희 , 양미희 , 안경희 , 최자윤 , 김은석 , 장석재 , 김근수 , 김지혜 , 김창수 , 한진석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12
과제시작연도 2012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700008296
과제고유번호 1485010887
사업명 생활환경조사연구
DB 구축일자 2017-10-12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08296

초록

Ⅰ. 서 론

세계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화학물질의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고, 분석기술의 발달로 과불화물, 내분비계 장애물질, 의약물질 등 신규 오염물질의 환경 중 발견도 증가하고 있다. 새로운 국제관심 대상물질이나 미생물에 의한 오염사고의 발생빈도가 늘어남에 따라 이에 대한 국제적인 규제강화와 관심 또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994년 낙동강 페놀 오염 사고부터 2009년 먹는샘물 중의 브롬산염 사고까지 다양한 먹는물 관련 오염사고가 발생하였다. 현재 먹는물과 관련된 수질관리는 여러 기관으로 분산되어

Abstract

Recently, some problems in drinking water have been caused by the emerging contaminants those are not regulated by law. Many foreign countries make a priority list to regulate these contaminants preparing for the future.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law (Safe Drinking Water Act), every five years U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목차 ... 4
  • 표목차 ... 6
  • 그림목차 ... 7
  • Abstract ... 8
  • Ⅰ. 서 론 ... 10
  • Ⅱ. 연구내용 및 방법 ... 12
  • 1. 연차별 추진현황 ... 12
  • 2. 수질기준 설정현황 ... 13
  • 가. 국내 먹는물 수질기준 설정현황 ... 13
  • 나. 외국의 먹는물 수질기준 설정현황 ... 15
  • 3. 연구내용 ... 17
  • 가. 미규제 화학물질의 건강영향(Health Effect Data) 및 출현(Occurrence Data) 자료수집 ... 17
  • 나. 우선관리대상물질(PML) 선정을 위한 기법 마련 ... 17
  • 다. 최종 우선관리대상물질(PML) 선정 ... 18
  • Ⅲ. 연구결과 및 고찰 ... 19
  • 1. 국내외 우선순위 관리항목 운영 및 관련연구 ... 19
  • 가. 미국의 미규제물질 관리(CCL3) ... 19
  • 나. 국내 지하수 중 우선순위항목 선정방법 ... 20
  • 다. 수질 및 수생태계 우선순위 항목 선정방법 ... 20
  • 2. PML (Priority Management List) 선정 ... 21
  • 가. PPML 선정 ... 21
  • 나. 유해오염물질 자료조사 ... 21
  • 다. 1단계 PML 선정 ... 22
  • 라. 2단계 PML 선정 ... 26
  • 마. 2단계 PML 평가 및 최종 PML 선정 ... 34
  • Ⅳ. 결 론 ... 36
  • 참고문헌 ... 39
  • 부록 ... 41
  • 끝페이지 ... 52

표/그림 (1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